$\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원가족 부모와의 관계 및 현 배우자와의 관계에 대한 어머니의 지각 및 어머니의 양육효능감과 양육행동과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Perceptions of their Relationships with their Parents and Husbands, Mothers' Parenting Self-efficacy, and Parenting Behaviors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v.12 no.2, 2016년, pp.73 - 88  

김수정 (캘리포니아대학교 버클리캠퍼스 교육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perceptions of their relationships with their parents and husbands (as the predictors of parenting self-efficacy), mothers' parenting self-efficacy (PSE), and parenting behaviors among contemporary Korean mother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현 시대를 살고 있는 한국의 어머니들의 양육효능감의 예측변인으로서, 원가족의 부모와의 관계에 대한 지각 및 현재 배우자와의 관계에 대한 지각, 구체적으로 양육과 관련된 배우자의 지원이 아니라, 포괄적인 배우자와의 관계로부터 얻게 되는 사회적인 지원에 관한 지각과 양육효능감 간의 관계를 살펴보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양육효능감의 예측변인과 양육효능감 간의 관계뿐 아니라, 양육효능감과 이에 따른 부모의 양육행동특성 간의 인과적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에 따라 연구문제를 설정하였고, 각각의 연구문제에 해당하는 구체적인 연구 가설은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는 현 시대를 살고 있는 한국의 어머니들의 양육효능감의 예측변인으로서, 원가족의 부모와의 관계에 대한 지각 및 현재 배우자와의 관계에 대한 지각, 구체적으로 양육과 관련된 배우자의 지원이 아니라, 포괄적인 배우자와의 관계로부터 얻게 되는 사회적인 지원에 관한 지각과 양육효능감 간의 관계를 살펴보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양육효능감의 예측변인과 양육효능감 간의 관계뿐 아니라, 양육효능감과 이에 따른 부모의 양육행동특성 간의 인과적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 또한, 남편과의 관계에 있어서도 양육에의 참여와 같은 실제적인 도움이 어머니의 양육효능감과 어떠한 관계에 있는지를 살피는 데에 집중한 나머지 이들 연구들은 어머니가 형성하고 있는 사회적인 관계 그 자체를 통해 경험할 수 있는 심리정서적인 지지가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을 증진시킬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하여 간과해 온 것이 사실이다. 이에, 본 연구는 어머니가 형성하는 다양한 사회적 관계에 대한 어머니의 심리적인 지각과 양육효능감 간의 관계에 주목하고자 한다. 특히, 어머니의 부모 역할 수행에 있어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인간관계로 Suzuki 등(2009)이 제안한 원가족 부모와 배우자와의 관계를 고찰하고자 한다.
  • 특히, 어머니의 부모 역할 수행에 있어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인간관계로 Suzuki 등(2009)이 제안한 원가족 부모와 배우자와의 관계를 고찰하고자 한다. 즉, 본 연구에 서는 어머니 자신이 자녀로서 양육 받았을 때의 기억 회고를 통한 원가족 부모와의 관계에 대한 지각 및 현재 배우자와의 관계에 대한 지각을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을 주요하게 예측하는 심리적인 자원으로서 상정한 구조모형을 분석해 보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는 어머니가 형성하는 다양한 사회적 관계에 대한 어머니의 심리적인 지각과 양육효능감 간의 관계에 주목하고자 한다. 특히, 어머니의 부모 역할 수행에 있어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인간관계로 Suzuki 등(2009)이 제안한 원가족 부모와 배우자와의 관계를 고찰하고자 한다. 즉, 본 연구에 서는 어머니 자신이 자녀로서 양육 받았을 때의 기억 회고를 통한 원가족 부모와의 관계에 대한 지각 및 현재 배우자와의 관계에 대한 지각을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을 주요하게 예측하는 심리적인 자원으로서 상정한 구조모형을 분석해 보고자 한다.

가설 설정

  • 둘째, 현 남편과의 관계에 대한 지각은 한국의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을 증진시키는가? 본 연구에서는 현 남편과의 관계를 긍정적으로 지각하는 한국의 어머니들이 자신의 부모로서의 능력에 관하여 긍정적으로 지각하고 있을 것으로 가정하였다.
  • 셋째,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은 긍정적인 부모의 양육행동특성을 지원하고, 역기능적인 부모의 양육행동을 저지하는 기능을 하는가? 본 연구는 양육효능감이 높을수록 한국의 어머니들이 아동중심적인 양육행동특성을 나타내는 반면, 비일관적이거나 허용적인 양육행동특성은 덜 나타낼 것으로 가정하였다.
  • 둘째, 현 남편과의 관계에 대한 지각은 한국의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을 증진시키는가? 본 연구에서는 현 남편과의 관계를 긍정적으로 지각하는 한국의 어머니들이 자신의 부모로서의 능력에 관하여 긍정적으로 지각하고 있을 것으로 가정하였다.
  • 첫째, 원가족 부모와의 관계에 대한 지각은 한국의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을 증진시키는가? 이에, 본 연구는 한국의 어머니들 중 원가족 부모와의 관계를 긍정적으로 지각할수록 양육효능감을 높이 지각할 것으로 가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많은 부모들은 자녀들의 양육에 있어 무엇을 자녀양육의 가치로 여겨야 하는지에 대한 갈등과 혼란의 결과는 어떠한가? 단기간의 근대화 성공으로 인한 사회구조의 급격한 변화 가운데 놓인 한국사회에서, 많은 부모들은 자녀들의 양육에 있어 무엇을 자녀양육의 가치로 여겨야 하는지에 대하여 갈등과 혼란을 겪고 있음이 여러 학자들에 의해 지적되어 오고 있다(Park & Kwon, 2009; Yang & Shin, 2008). 그 결과, 현 시대를 살아가고 있는 한국의 부모들은 자녀 양육에 관한 견고한 원칙의 부재 및 이로 인한 자녀 양육에 관한 자신감 결여를 보고하고 있으며, 이는 부모들로부터 자녀양육을 통해 경험할 수 있는 즐거움을 앗아가고 있다. 이는 부인할 수 없게도 부적절한 부모의 양육행동의 경향을 부추기는 원인으로 작용할 것이다.
부모의 양육효능감이란 무엇인가? 이러한 한국의 어머니들의 부모로서의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주요한 심리적 자원으로서 양육효능감의 중요성은 이미 많은 연구들을 통해서 부각되어 왔다(김미숙, 문혁준, 2005; 김현미, 도현심, 2004; 문혁준, 2005; 서소정, 2004; 송미혜, 송연숙, 김영주, 2007; 이정신, 최영희, 2010; 이주연, 2009; 최형성, 정옥분, 2001; Cutrona & Troutman, 1986; Sanders & Wooley, 2005; Teti & Gelfand, 1991). 부모의 양육효능감은 부모로서의 역할을 수행함에 있어 자기 스스로의 역량에 대한 자기 평가 혹은, 부모 스스로가 자신의 자녀의 성장과 발달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는 자신의 능력에 대한 지각을 의미한다(Coleman & Karraker, 1997; Suzuki, Holloway, Yamamoto, & Mindnich, 2009). 기존의 많은 연구들을 통해 부모의 양육효능감이 부모의 긍정적인 양육행동 및그들의 정서적인 안녕을 증진시키는 주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음이 밝혀져 왔다(Coleman & Karraker, 1997; Hastings & Brown, 2002; Teti & Gelfand, 1991).
애착이론은 무엇을 강조하고 있는가? 우선, 어머니가 자녀를 양육함에 있어 영향을 받게 되는 주요한 사회적 관계로 원가족 부모와의 관계는 어머니가 자녀를 양육하면서 어머니들은 자신의 어머니와의 관계에 대한 내적인 표상을 자신의 자녀와의 관계에 투영할 수 있다는 이론적 근거에 비추어 볼 때 그 중요성이 있겠다. 애착이론은 인생의 초기시기에 형성한 인간관계에 관한 인지적 내적 모델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는데, 이론에 따르면 원가족과의 관계가 얼마나 신뢰로웠는지, 원가족으로부터 얼마나 스스로가 가치 있게 받아들여졌었는가의 경험을 통해 구성된 인지적 내적 모델은 한 개인이 성장하면서 형성해 가는 다양한 사회적 관계의 근간이 되어준다는 것이다(Main, Kaplan, & Cassidy, 1985). 애착이론에 따르자면, 이러한 인생의 초기시기에 형성된 인간관계에 대한 인지적 내적 모델은 부모가 된 후, 자녀와의 관계를 형성함에 있어서도 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제안되어 왔다(Suzuki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김미숙, 문혁준 (2005).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 및 양육 효능감과 양육 행동과의 관계. 대한가정학회지, 43(8), 25-35. 

  2. 김선애, 한유진 (2009). 아버지의 양육수행, 양육스트레스 및 양육지식이 부모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과학회지, 18(1), 55-64. 

  3. 김정희, 문혁준 (2006). 취업모와 비취업모의 부모역할만족도 및 양육행동. 대한가정학회지, 44(1), 115-129. 

  4. 김현미, 도현심 (2004).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양육효능감 및 양육행동과 아동의 사회적 능력간의 관계. 아동학회지, 25(6), 279-298. 

  5. 문혁준 (2005). 취학적 아동을 둔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관련 변인 연구. 아동학회지, 26(5), 139-149. 

  6. 서소정 (2004). 양육효능감: 자녀양육행동 매개 모델. 대한가정학회지, 42(4), 11-27. 

  7. 송미혜, 송연숙, 김영주 (2007). 유아기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및 사회적 지지가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12(5), 165-183. 

  8. 안지영, 박성연 (2002). 2-3세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 신념, 효능감 및 스트레스가 양육 행동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40(1), 53-68. 

  9. 윤지원, 조헌하 (2011). 미취학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행동 구조모형. 한국아동간호학회지, 17(2), 111-119. 

  10. 이정신, 최영희 (2010).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원이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놀이치료학회지, 13(1), 19-32. 

  11. 이주연 (2009).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지식과 양육행동 간의 관계 연구: 양육효능감의 매개효과 분석. 대한가정학회지, 47(5), 35-48. 

  12. 최형성, 정옥분 (2001).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척도의 개발. 아동학회지, 22(3), 1-15. 

  13. 최형성 (2005).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3(4), 111-123. 

  14. 최형성 (2005). 양육효능감의 매개 역할: 양육행동의 인과관계 모형. 아동학회지, 26(6), 351-365. 

  15. Bandura, A. (1989). Human agency in social cognitive theory. American Psychologist, 44(9), 1175-1184. 

  16. Behrens, K. Y., Hesse, E., & Main, M. (2007). Mothers' attachment status as determined by the Adult Attachment Interview predicts their 6-year-olds' reunion responses: A study conducted in Japan. Developmental Psychology, 43(6), 1553-1567. 

  17. Belsky, J., & Vondra, J. (1989). Lessons from child abuse: The determinants of parenting. In D. Cicchetti & V. Carson (Eds.), Child Maltreatment: Theory and Research on the Causes and Consequences of Child Abuse and Neglect (pp. 153-202). N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8. Bentler, P. M. (1990). Comparative fit indexes in structural models. Psychological Bulletin, 107(2), 238-246. 

  19. Browne, M. W., & Cudeck, R. (1993). Alternative ways of assessing model fit. Sage Focus Editions, 154, 136-136. 

  20. Coleman, P., & Karraker, K. (1997). Self efficacy and parenting quality: Findings and future applications. Developmental Review, 18(1), 47-85. 

  21. Crockenberg, S. (1988). Social support and parenting. In H. E. Fitzgerald, B. M. Lester, & M. W. Yogman (Eds.), Theory and Research in Behavioral Pediatrics, Vol. 4 (pp. 141-174). NY: Plenum Press. 

  22. Cutrona, C. E., & Troutman, B. R. (1986). Social support, infant temperament, and parenting self-efficacy: A mediational model of postpartum depression. Child Development, 57(6), 1507-1518. 

  23. Dumka, L. E., Stoerzinger, H. D., Jackson, K. M., & Roosa, M. W. (1996). Examination of the cross-cultural and cross-language equivalence of the parenting self-agency measure. Family Relations, 45(2), 216-222. 

  24. Fowers, B. J., & Olson, D. H. (1993). ENRICH Marital Satisfaction Scale: A brief research and clinical tool. Journal of Family Psychology, 7(2), 176-185. 

  25. Harvey, B., Matte-Gagne, C., Stack, D. M., Serbin, L. A., Ledingham, J. E., & Schwartzman, A. E. (2016). Risk and protective factors for autonomy-supportive and controlling parenting in high-risk families. Journal of Applied Developmental Psychology, 43, 18-28. 

  26. Hastings, R. P., & Brown, T. (2002). Behavior problems of children with autism, parental self-efficacy, and mental health. American Journal on Mental Retardation, 107(3), 222-232. 

  27. Holloway, S. D., & Behrens, K. Y. (2002). Parenting self-efficacy among Japanese mothers: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perspectives on its association with childhood memories of family relations. In J. Bempechat & J. Elliot (Eds.), Learning in culture and context: Approaching the complexities of achievement motivation in student learning. New Directions for Child Development. No. 96. (pp. 27-43). San Francisco: Jossey-Bass. 

  28. Holloway, S. D., Suzuki, S., Yamamoto, Y., & Behrens, K. (2005). Parenting self-efficacy among Japanese mothers. Journal of Comparative Family Studies, 36, 61-76. 

  29. Hu, L. T., & Bentler, P. M. (1999). Cutoff criteria for fit indexes in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Conventional criteria versus new alternativ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 Multidisciplinary Journal, 6(1), 1-55. 

  30. Jeon, S. (2007). The effects of parents' and teachers' motivating styles on adolescents' school outcome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 test of self-determination theory in a Korean context.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Iowa, Iowa, USA. 

  31. Kline, R. B. (2004). Beyond Significance Testing: Reforming Data Analysis Methods in Behavioral Research.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32. Main, M., Kaplan, N., & Cassidy, J. (1985). Security in infancy, childhood, and adulthood: A move to the level of representation. Monographs of the Society for Research in Child Development, 50(1/2) 66-104. 

  33. Park, J., & Kwon, Y. (2009). Parental goals and parenting practices of upper-middle-class Korean mothers with preschool children. Journal of Early Childhood Research, 7(1), 58-75. 

  34. Pettit, G. S., Laird, R. D., Dodge, K. A., Bates, J. E., & Criss, M. M. (2001). Antecedents and behavior -problem outcomes of parental monitoring and psychological control in early adolescence. Child Development, 72(2), 583-598. 

  35. Sanders, M. R., & Woolley, M. L. (2005).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self-efficacy and parenting practices: Implications for parent training. Child: Care, Health and Development, 31(1), 65-73. 

  36. Simons, R. L., Lorenz, F. O., Wu, C. I., & Conger, R. D. (1993). Social network and marital support as mediators and moderators of the impact of stress and depression on parental behavior. Developmental Psychology, 29(2), 368-381. 

  37. Smetana, J. G., & Daddis, C. (2002). Domain-specific antecedents of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monitoring: The role of parenting beliefs and practices. Child Development, 73(2), 563-580. 

  38. Steiger, J. H. (1990). Structural model evaluation and modification: An interval estimation approach. Multivariate Behavioral Research, 25(2), 173-180. 

  39. Suzuki, S., Holloway, S. D., Yamamoto, Y., & Mindnich, J. D. (2009). Parenting self-efficacy and social support in Japan and the United States. Journal of Family Issues, 30(11), 1505-1526. 

  40. Teti, D. M., & Gelfand, D. M. (1991). Behavioral competence among mothers of infants in the first year: the mediational role of maternal self-efficacy. Child Development, 62(5), 918-929. 

  41. Weinverger, D. A., Feldman, S. S., & Ford, M. E. (1989). Validation of the Weinberger parenting inventory for preadolescents and their parents. Unpublished manuscript. 

  42. Yang, S., & Shin, C. S. (2008). Parental attitudes towards education: What matters for children's well-being? Children and Youth Services Review, 30(11), 1328-1335.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보고서와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