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반응성 질소화합물로 인한 토양 및 물 환경 생태계의 산성화 영향 및 대응방안
The Effects of Reactive Nitrogen (Nr) Compounds on the Acidification in Soil and Water Environment Ecosystems and the Mitigation Strategy 원문보기

생태와 환경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v.49 no.1, 2016년, pp.1 - 10  

조영일 (평택대학교 환경융합시스템학과) ,  강혜순 (성신여자대학교 생명과학.화학부) ,  전의찬 (세종대학교 환경에너지공간융합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산업 및 기술의 발달과 인간 활동의 증가로 인해 자연적인 질소 순환의 균형이 무너지고 다량의 질소가 대기, 토양 및 물 환경 생태계에 과잉으로 존재하게 되었다. 이로 인한 과잉의 반응성 질소화합물이 토양과 물 환경생태계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을 국내외 문헌과 사례 조사를 통해 확인하고 유역생태계에서 질소화합물로 인한 토양 및 물 환경 생태계의 산성화 영향 감소방안을 제시하였다. 반응성 질소는 대기, 토양 및 물의 여러 매체를 이동하면서 다른 유형으로 전환될 수 있으며 유형 간 상호작용이 일어나기도 한다. 효과적인 질소관리 방안으로 반응성질소 배출원의 다양성 및 유형에 따른 배출량을 규제하는 정책과, 반응성 질소화합물로 인한 토양 및 물 환경생태계의 환경적 피해 (산성화)를 조사 및 평가 (모니터링 및 안전성 지표 적용)하고 복원하는 전략 (예, 화학적 복원 연구 및 개발)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increases of industrial and technological development and human activities have disturbed the balance of natural nitrogen (N) circulation. These phenomena have induced that large amounts of N are to be present in excess in air, soil and water environment.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excess o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럼에도 질소순환과 질소과잉에 대한 많은 부분이 아직까지 불분명한 상태로 남아있다. 본 연구는 과잉의 반응성 질소화합물이 토양 및 물 환경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문헌을 통해 조사 및 평가하고, 반응성 질소화합물에 대한 정책을 비교 분석하며, 과잉의 반응성 질소화합물로 인해 발생하는 토양 및 물 환경 생태계의 산성화 영향을 최소화하고 생태계를 복원 관리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 호수, 하천 및 산림 유역 생태계의 자연적인 화학적 복원의 촉진을 위해 유역 생태계 내 염기 물질을 첨가하여 질소 화합물의 대기 산성 침적물로 인한 토양 및 수생태계의 산성화를 중화시키는 방안을 모색할 수 있다. 앞에서 언급한 토양과 지표수의 안전성 지표 중 염기포화도와 산중화능력을 표현하는 BS와 ANC는 Fig.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질소는 무엇인가? 질소 (N, nitrogen)는 비금속 화학 원소로 지구의 대기, 지표, 수계 및 생명체 등에 존재하며 질소기체 (N 2) 부피 기준으로 약 78.09%가 지구의 대기에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Considine, 2005). 질소는 질산 (HNO3), 암모니아 (NH3), 암모늄 이온 (NH4+), 질산성 질소 (NO3--N), 아질 산성 질소 (NO2--N), 질소산화물 (NOx), 유기질소 등과 같이 화학적으로 불안정하고 반응성이 높은 질소 (Reactive nitrogen, Nr)화합물의 형태로 존재하여 (Parker, 1993) 대기,토양 및 물 환경 생태계를 통해 다양한 종류의 형태로 질소 순환이 이루어지며 인위적인 환경 요인이 없을 경우 자연의 기본적인 순환 과정으로 균형을 이루고 있다.
질소는 어떠한 형태로 존재하는가? 09%가 지구의 대기에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Considine, 2005). 질소는 질산 (HNO3), 암모니아 (NH3), 암모늄 이온 (NH4+), 질산성 질소 (NO3--N), 아질 산성 질소 (NO2--N), 질소산화물 (NOx), 유기질소 등과 같이 화학적으로 불안정하고 반응성이 높은 질소 (Reactive nitrogen, Nr)화합물의 형태로 존재하여 (Parker, 1993) 대기,토양 및 물 환경 생태계를 통해 다양한 종류의 형태로 질소 순환이 이루어지며 인위적인 환경 요인이 없을 경우 자연의 기본적인 순환 과정으로 균형을 이루고 있다.
질소산화물 과잉 공급의, 원인과 부작용은 무엇인가? , 2011; The Ministry of Enviro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2014d).온실가스 증가에 의한 대기오염과 비료 등의 사용으로 인한 반응성 질소화합물의 과잉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토양 및 토양수의 산성화 (산성 침적의 영향)와 지하수 오염(비료 사용 및 토양 산성화 영향 등)을 유발한다 (Cho et al., 2009, 2010). 이렇게 축적된 반응성 질소화합물은 호소 또는 하천을 경유하여 바다로 유출되는데 이러한 과정 에서 호소, 하천 및 해역의 부영양화와 저층의 빈산소화, 영양물질의 불균형 현상 등을 유발하며 지역 생태계의 건강과 생물다양성 감소를 초래한다 (Galloway et al., 2003;United Nations Environ­ment Programme, 200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8)

  1. Bobbink, R., K. Hicks, J. Galloway, T. Spranger, R. Alkemade, M. Ashmore, M. Bustamante, S. Cinderby, E. Davidson, F. Dentener, B. Emmett, J.W. Erisman, M. Fenn, F. Gilliam, A. Nordin, L. Pardo and W. De Vries. 2010. Global assessment of nitrogen deposition effects on terrestrial plant diversity: a synthesis. Ecological Applications 20: 30-59. 

  2. Cho, Y., C.T. Driscoll and J.D. Blum. 2009. The effects of a whole-watershed calcium addition on the chemistry of stream storm events at the Hubbard Brook Experimental Forest in NH, USA.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407: 5392-5401. 

  3. Cho, Y., C.T. Driscoll, C.E. Johnson and T.G. Siccama. 2010. Chemical changes in soil and soil solution after calcium silicate addition to a northern hardwood forest. Biogeochemistry 100: 3-20. 

  4. Cho, Y., C.T. Driscoll, C.E. Johnson, J.D. Blum and T.J. Fahey. 2012. Watershed-level responses to calcium silicate treatment in a northern hardwood forest. Ecosystems 15: 416-434. 

  5. Considine, G.D. 2005. NITROGEN. Van Nostrand's encyclopedia of chemistry 5th edition, Wiley-Interscience. Hoboken. 

  6. Cronan, C.S. 1994. Aluminum biogeochemistry in the ALBIOS forest ecosystems: The role of acidic deposition in aluminum cycling. In: effects of acid rain on forest process. Wiley-Liss Incorporation: 51-81. 

  7. Cronan, C.S. and C.L. Schofield. 1990. Relationship between aqueous aluminum and acidic deposition in forested watersheds of North America and northern Europe. Environmental Science and Technology 24: 1100-1105. 

  8. Cronan, C.S. and D.F. Grigal. 1995. Use of calcium/aluminum ratios as indicators of stress in forest ecosystems. Journal of Environmental Quality 24: 209-226. 

  9. De Graaf, M.C.C., R. Bobbink, J.G.M. Roelofs and P.J.M. Verbeek. 1998. Differential effects of ammonium and nitrate on three heathland species. Plant Ecology 135: 185-196. 

  10. Dise, N.B., M. Ashmore, S. Belyazid, A. Bleeker and R. Bobbink. 2011. Nitrogen as a threat to European terrestrial biodiversity. In: Sutton, M.A., C.M. Howard, J.W. Erisman, G. Billen, A. Bleeker, P. Grennfelt, H. van Grinsven and B. Grizzetti (eds.). The European nitrogen assessment: sources, effects and policy perspectives. Cambridge, UK. Cambridge University Press. 

  11. Driscoll, C.T., C.P. Cirmo, T.J. Fahey, V.L. Blette, P.A. Bukaveckas, D.A. Burns, C.P. Gubala, D.J. Leopold, R.M. Newton, D.J. Raynal, C.L. Schofield, J.B. Yavitt and D.B. Porcella. 1996. The Experimental Watershed Liming Study: Comparison of lake and watershed neutralization strategies. Biogeochemistry 32: 143-174. 

  12. Driscoll, C.T., G.B. Lawrence, A.J. Bulger, T.J. Butler, C.S. Cronan, C. Eagar, K.F. Lambert, G.E. Likens, J.L. Stoddard and K.C. Weathers. 2001. Acidic deposition in the northeastern United States: sources and inputs, ecosystem effects, and management strategies. BioScience 51: 180-198. 

  13. Galloway, J.N., J.D. Aber, J.W. Erisman, S.P. Seitzinger, R.W. Howarth, E.B. Cowling and B.J. Cosby. 2003. The nitrogen cascade. BioScience 53: 341-356. 

  14. Galloway, J.N., S.N. Norton and M.R. Church. 1983. Freshwater acidification from atmospheric deposition of sulfuric acid: A conceptual model. Environmental Science and Technology 17: 541-545. 

  15. Juice, S.M., T.J. Fahey, T.G. Siccama, C.T. Driscoll, E.G. Denny, C. Eagar, N.L. Cleavitt, R. Minocha and A.D. Richardson. 2006. Response of sugar maple to calcium addition to northern hardwood forest. Ecology 87: 1267-1280. 

  16. Kim, M.S., Y.R. Chung, E.H. Suh and W.S. Song. 2002. Eutrophication of Nakdong River and Statistical Analysis of Environmental Factors. ALGAE 17(2): 105-115. 

  17. Kim, T., K. Lee, R.G. Najjar, H-D. Jeong and H.J. Jeong. 2011. Increasing N abundance in the Northwestern Pacific Ocean due to atmospheric nitrogen deposition. Science 334: 505-509. 

  18.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2007. A feasibility study on the development project of pollution prevention technology in soil and groundwater. 

  19. Kleijn, D., R.M. Bekker, R. Bobbink, M.C.C. De Graaf and J.G.M. Roelofs. 2008. In search for key biogeochemical factors affecting plant species persistence in heathland and acidic grasslands: A comparison of common and rare species. Journal of Applied Ecology 45: 680-687. 

  20.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2015. (http://kfri.go.kr). 

  21. Lee, M.H., S.I. Choi, J.Y. Lee, K.G. Lee and J.W. Park. 2011.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Donghwa Publishing Co. Paju-si, Gyeonggi-do, South Korea. 

  22. Lee, Y. 2003. Nutrient balances of farm land area in Korea.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14: 28-32. 

  23. Likens, G.E., C.T. Driscoll and D.C. Buso. 1996. Long-term effects of acid rain: Response and recovery of a forest ecosystem. Science 272: 244-246. 

  24. Likens, G.E. 1998. The biogeochemistry of calcium at Hubbard Brook. Biogeochemistry 41: 89-173. 

  25. Lofgren, S., N. Cory, T. Zetterberg, P.E. Larsson and V. Kronnas. 2009. The long-term effects of catchments liming and reduced sulphur deposition on forest soils and runoff chemistry in southwest Sweden.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258: 567-578. 

  26. MacAvoy, S.E. and A.J. Bulger. 1995. Survival of brook trout (Salvelinus fontinalis) embryos and fry in streams of different acid sensitivity in Shenandoah National Park, USA. Water Air and Soil Pollution 85: 439-444. 

  27. Organis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2013. Environment at a Glance 2013: OECD Indicators. 

  28. Parker, S.P. 1993. Nitrogen, McGraw-Hill encyclopedia of chemistry, McGraw-Hill Book Co. 

  29. Paulissen, M.P.C.P., P.J.M. Van der Ven, A.J. Dees and R. Bobbin. 2004. Differential effects of nitrate and ammonium on three fen bryophyte species in relation to pollutant nitrogen input. New Phytologist 164: 551-558. 

  30. Shin, J.H., C.W. Yoo, S.W. An and J.W. Park. 2014. 2011 Nitrogen Budget of South Korea Including Nitrogen Oxides in Gas Phas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36(2): 75-83. 

  31. Sutton, M.A., C.M. Howard, J.W. Erisman, G. Billen, A. Bleeker, P. Grennfelt, H. van Grinsven and B. Grizzetti. 2011. The European Nitrogen Assessment: Sources, Effects and Policy Perspectiv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32. Sutton, M.A., K.E. Mason, L.J. Sheppard, H. Sverdrup, R. Haeuber and W.K. Hicks. 2014. Nitrogen Deposition Critical Loads and Biodiversity. Springer, NY. 

  33. The Ministry of Enviro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2015a. (http://www.me.go.kr). 

  34. The Ministry of Enviro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2015b. (http://stat.me.go.kr). 

  35. The Ministry of Enviro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2015c (http://stat.me.go.kr/nesis/index.jsp). 

  36. The Ministry of Enviro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2006. A master plan of water environment management. 

  37. The Ministry of Enviro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2009. A master plan of soil conservation. 

  38. The Ministry of Enviro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2014a. Training business of experts in biodiversity by the analysis of policy inventories regarding nitrogen management. 

  39. The Ministry of Enviro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2014b. Monitoring and evaluation of non-point source management area in Lake Soyang (VI). 

  40. The Ministry of Enviro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2015d. The effects of excess nitrogen on climate change and biodiversity, and management plan. 

  41. The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of the Republic of Korea. 2012. Management of land pollution source, and introduction and implementation of TMDLs in coastal zones (III). 

  42. The Ministry of Ocean and Fisheries of the Republic of Korea. 2014.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management plan for environmental management area of the sea. 

  43. Ulrich, B. 1983. Soil acidity and its relation to acid deposition. In: Ulrich, B. and J. Pankrath (eds.). Effects of accumulation of air pollutants in ecosystems. Reidel Publishing, Boston. 

  44. Ulrich, B. 1991. An ecosystem approach to soil acidification. In: Ulrich, B. and M.E. Summer (eds.). Soil acidity. Springer. Berlin. 

  45. United Nations Environment Programme. 2007. Reactive Nitrogen in the Environment: too much or too little of a good thing. 

  46. United Nations Environment Programme. 2010. Environmental consequences of ocean acidification: a threat to food security. 

  47. Van Breemen, N., P.A. Burrough, E.J. Velthorst, H.F. Van Dobben, T. De Wit and T.B. Ridder. 1982. Soil acidification from atmospheric ammonium sulphate in forest canopy throughfall. Nature 299: 548-550. 

  48. Van den Berg, L.J.L., C.J.H. Peters, M.R. Ashmore and J.G.M. Roelofs. 2008. Reduced nitrogen has a greater effect than oxidised nitrogen on dry heathland vegetation. Environmental Pollution 154: 359-369.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