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위기의 지구'에 대한 인지프레임 비교: 대학교 신입생들 대상으로
A Comparison of the Freshmen's Cognitive Frame about the 'Crisis of Earth' 원문보기

한국지구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v.37 no.2, 2016년, pp.117 - 131  

정덕호 (전북대학교 과학교육학부) ,  최현아 (전북대학교 과학교육학부) ,  박선옥 (전북대학교 과학교육학부)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에서의 지구과학 I 이수 여부에 따른 대학교 신입생들의 '위기의 지구'에 대한 인지프레임을 비교하여 이것이 교육과정을 반영하고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정규 교육과정을 거쳐 고등학교를 졸업한 67명에게 위기의 지구에 대해 그림으로 표현하고 그에 대해 설명하도록 했으며, 그림으로부터 각각의 의미 단위를 추출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는 언어네트워크 분석법을 통하여 단어 분석과 프레임 분석을 하고 이를 시각화 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수 집단과 비이수 집단에서 모두 '위기의 지구'에 대한 인지프레임을 구성할 때, 지구환경을 구성하는 각 영역을 서로 연결시켰으며 상호 영향을 미치면서 변화하는 관계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두 집단 모두 위기의 지구에 대한 인지프레임을 구성할 때 인간 활동과 관련지어 인식하고 있으며 특히 이수 집단에서 인지프레임을 구성할 때 교육과정을 충분히 반영했다고 할 수 있다. 다만 대부분의 학생들이 '위기의 지구'에 대해 지구 외적인 현상보다는 지구 내부의 현상과 강하게 연결시키고 있으므로 지구 내부뿐만 아니라 전 우주적인 관점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하고, 위기의 지구 문제 해결에 대한 당위성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학교 현장에서의 노력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of freshmen's cognitive frames about the 'Crisis of the Earth' upon taking the Earth science I course in high school to confirm if they reflect the goal of the curriculum reasonably. Data were collected from 67 freshmen who graduated from high school. All pa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는 지구 과학 I의 성격이 현대 지식기반 사회의 시민이 갖추어야 할 기초 소양을 함양하기 위한 과목이기 때문에 잔존 효과를 통해 교육과정 반영 여부를 알아보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그리고 본 연구의 결과를 반영하여 일선 학교에서 어떤 내용 체계를 강화해야 할 것인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의 시사점을 찾아볼 수 있다.
  • 지구는 끊임없이 인간에게 살아갈 수 있는 모든 것을 주지만, 인간은 지구를 살 수 없게 만든다. 때문에 지구를 위협하는 인간의 모습을 그려보았다.
  •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교에서의 지구과학 I 이수 여부에 따른 대학교 신입생들의 ‘위기의 지구’에 대한 인지프레임이 교육과정을 반영하고 있는지를 확인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대학교 신입생들이 고등학교에서 지구 과학 I을 이수하고 현재 잔존하고 있는 위기의 지구에 대한 인지프레임이 교육과정을 반영하고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이는 지구 과학 I의 성격이 현대 지식기반 사회의 시민이 갖추어야 할 기초 소양을 함양하기 위한 과목이기 때문에 잔존 효과를 통해 교육과정 반영 여부를 알아보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 에너지 소비의 대부분은 다량의 온실가스를 배출하는 환경 공해를 유발합니다. 현대인의 가장 친숙한 행위가 지구 반대편에서 일으키는 심각한 환경 공해의 모습을 함께 보여주고자 하였습니다.

가설 설정

  • 사례 3: 지구를 위기에 빠트리는 것은 인간이다. 스스로를 치료하는 지구의 노력이 무색하게 인간은 그보다 더한 위협을 가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현대 사회의 문제점은? 현대 사회는 기후 변화, 에너지, 식량, 환경 등의 분야에서 심각한 어려움이 있고, 과학 기술과 관련된 복합적인 사회 문제가 대두되는 사회로서 이를 합리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인재가 필요한 시대이다(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09). 이런 이유로 2009년 교육과학기술부는 고시 제2009-41호를 통해 ‘미래 과학기술 사회가 요구하는 높은 수준의 창의성과 인성을 고루 갖춘 합리적 인재를 양성’을 목표로 하는 2009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을 고시하였다.
학습자가 가지고 있는 프레임은 어떠한 역할을 하는가? , 2003; Tannen, 1993). 이를 통해 자신에게 직면한 문제의 핵심이 무엇이며 어떻게 해결해야 하는지를 규정짓는다.
지구 과학 I의 구성은? 이 때 개정 고시된 교육과정은 지구 과학 I을 비롯한 과학과 교육과정도 포함되었으며, 2011년부터 고등학교에 단계적으로 적용되었다. 지구 과학 I은 지구와 우주에 대한 통합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지구 과학에 대한 기초 소양을 함양하기 위한 과목으로 규정하고 소중한 지구, 생동하는 지구, 위기의 지구, 다가오는 우주의 내용으로 구성되었다(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09). 좋은 의미에서 출발한 교육과정이라고 하더라도 시대 상황이 변화하고, 이에 따른 사회 문화적 요구와 학교 현장에서 현실적으로 교육과정이 운영될 수 있도록 여건을 조성할 필요가 있을 때 그 교육과정은 개정이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Bullough, R.V. and Stokes, D.K., 1994, Analyzing personal teaching metaphors in preserve teacher education as a means for encouraging professional development.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31(1), 197-224. 

  2. Cheong, C. Kim, M,G., and Park, H.K., 2005, Environmental Awareness of Middle School Students' Through Drawing, Future-Directed Environmental Technology, 1(2), 37-42. (in Korean) 

  3. Chung, D.H., Park, S.O., Yoo, H.H., and Park, J.J., 2014, Perception of the gifted science students' mothers on giftedness. Journal of Gifted and Talented Education, 24(4), 561-576. (in Korean) 

  4. Chung, D.H., Lee, J.K., Kim, S.E., and Park, K.J., 2013, An analysis on congruency between educational objectives of curriculum and learning objectives of textbooks using semantic network analysis -focus on Earth Science I in the 2009 revised Curriculum.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34(7), 711-726. (in Korean) 

  5. Cho, K.S., Chung, D.H., Seo, E.S., and Park, K.J., 2013, A comparison of the learning semantic network about sedimentary environment between science gifted students and non-gifted students through geological field trips.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23(6), 881-898. (in Korean) 

  6. Dewulf, A., Gray, B., Lewicki, R., Putnam, L., Aarts, N., Bouwen, R., Van Woerkum, C, 2009, Disentangling approaches to framing: mapping the terrain. Hum Relat. 69(2), 155?193. 

  7. Doerfel, M.L. and Barnett, G.A., 1999, A semantic network analysis of the interactional communication association. Human Communication Research, 25, 589-603. 

  8. Johnston, S., 1992, Images: A way of understanding the practical knowledge of student teachers.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8(2), 123-136. 

  9. Kim, J.S., 2004, A Study on Understanding of Visual Communication. Art Education Research Review, 18(3), 29-44. (in Korean) 

  10. Kwon, et al. 2003, The Necessary Condition and the Sufficient Condition of Cognitive Conflict for Conceptual Chang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574-591. (in Korean) 

  11. Kwon, O.H., 2003, Deutschunterricht und visuelle Kommunikation - in Bezug auf didaktische Funktionen der Bilder in DaF-Lehrwerken -. Koreanische Zeitschrift fur deutschunterricht. 27(0), 7-34. (in Korean) 

  12. Lakoff, G. and Johnson, M., 1980. Metaphors we live by. Chicago: Univ of Chicago Press. 242 p. 

  13. Lee, J.K. and Ha, M.S., 2012, Semantic Network Analysis of science gifted middle school students' understanding of fact, hypothesis, theory, law, and scientificnes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2(5), 823-840. (in Korean) 

  14. Lee, M.J, 2009, Life of arrow: (A) study on the function and role of arrow mark as a visual language. Thesis, University of Seoul, Seoul, Korea, 52 p. (in Korean) 

  15. Lewicki R, Barry B, Saunders D., and Minton J, 2003, Negotiation, Boston: MacGraw Hill/Irwin. MacGraw-Hill International Editions. 

  16. Lim, C.H., 2008, Classifications of instructional objectives of elementary science based on new revised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The Research of Science Mathematics Education, 31, 25-42. 

  17.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09, Handbook of science curriculum.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Seoul, Korea, 302 p. 

  18. Park, E.H. and Cho, W.J., 2007, Understanding the Change in Pre-Service Teachers' Images about Early Childhood Teachers.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11, 225-246. (in Korean) 

  19. Park, H.W, Leydesdorff, L., 2004, Understanding the KrKwic: A computer program for the analysis of Korean text.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6, 1377-1387. (in Korean) 

  20. Rennie, L.J. and Jarvis, T., 1995, Children's Choice of drawings to communicate their ideas about technology.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5(3), 239-252. 

  21. Tannen, 1993, Gender and conversational interaction. Oxford university press, NewYork Oxford, 165-188. 

  22. White, R. and Gunstone, R., 1992, Probing Understanding. London: Falmer Press, 196 p.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