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청소년 성별에 따른 식생활 인식과 권장 식행동 실천 비교
Gender Differences in Adolescents' Dietary Perceptions and Practices 원문보기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v.21 no.2, 2016년, pp.165 - 177  

우태정 (창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이혜진 (창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이경애 (부산교육대학교 실과교육과) ,  이승민 (성신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이경혜 (창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is study attempted to compare adolescents' dietary behaviors and perceptions by gender in order to recommend useful strategies for nutrition interventions. Methods: Subjects were 2,363 middle school (MS) and high school (HS) students. They completed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o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청소년 식생활지침의 실천내용을 중심으로 권장 식행동 실천과 식생활 인식, 가정의 식생활 환경으로 제한하여 조사되었으므로 변수 간 조사 내용의 타당성, 문항별 척도의 적합성 등과 식행동 실천관련 요인 분석에 한계가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전국의 광범위한 지역에서 청소년을 대상으로 성별 및 학교급간 청소년들의 식생활에 대한 인식, 실천수준 등을 분석하였고, 성별에 따른 차이 등을 상세화하여 청소년 대상 영양중재의 전략 수립 시 활용해야 할 자료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제한점과 연구 결과를 넘어서 청소년의 식행동을 더 잘 이해할 수 있는 연구와 이들의 식행동 변화를 위한 전략 수립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더 많은 연구가 앞으로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남·여학생간의 식생활 인식 및 권장 식행동 실천 정도에 대한 차이를 파악하여 권장 식행동 실천 향상을 위한 교육매체 개발 및 효율적인 교육전략 수립을 위한 기초 자료 확보를 위해 수행 하였다.
  • 본 연구는 청소년 성별 및 학교급별에 따른 식생활 인식 및 권장 식행동 실천 수준을 알아보고 청소년의 권장 식행동 실천 향상을 위한 영양중재나 매체 개발 시 효율적인 교육전략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 특히 청소년의 성별에 따른 식행태 및 건강 식생활 실천 관련 영향 요인의 차이를 이해하기 위한 연구는 아직 부족한 실정으로 여겨진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 성별 및 학교급별에 따른 식생활 인식 및 권장 식행동 실천 수준을 알아보고 청소년들의 권장 식행동 실천을 향상시키기 위한 영양중재나 교육자료 개발 등 효율적인 교육전략을 수립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가설 설정

  • 가정의 식생활 환경 문항 중에서 아침식사 빈도·다양한 채소 반찬 이용가능성·과일 및 우유 등 건강간식 이용가능성은 5점 리커트 척도로 응답하도록 하여 ‘전혀 먹지 않는다’/‘전혀 아니다’(1점), ‘거의 먹지 않는다’/‘거의 아니다’(2점), ‘먹지 않을 때가 많다’/‘조금 그렇다’(3점), ‘대체로 먹는다’/‘그렇다’(4점), ‘항상 먹는다’/‘매우 그렇다’(5점)로 평가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남학생과 여학생의 건강한 식생활 실천 동기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6%)에 비해 양호한 수준이며, 패스트푸드나 탄산음료의 섭취수준은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6], 남·여학생의 실제 영양 섭취량도 현저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5]. 식품선택이나 식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태도·동기·신념·규범 등과 같은 개인적 요인에서도 성별에 따라 차이가 나타나고 있는데, 건강한 식생활 실천 동기로써 남학생 경우는 에 너지, 여학생은 외모와 관련되어 있다고 하였다[9]. Diaz 등[10]도 남학생은 운동수행능력을, 여학생은 보기 좋은 외모를 건강한 식생활에서 기대하고 있다고 하였다.
청소년기의 특징은 무엇인가? 청소년기는 생물학적으로 신체 발달과 성적 성숙이 완료 되는 시기이나, 발달 징후의 개인차뿐만 아니라 성별에 따른 차이도 두드러지는 시기로서 같은 연령의 청소년 일지라도 청소년 후반기의 여학생은 거의 성인과 같은 성장을 이루지만 남학생은 그렇지 못한 경향이 있다[7]. 식생활에서도 성별에 따른 차이가 나타난다는 것을 선행 연구에서 제시하고 있는데 남학생은 여학생보다 우유, 탄산음료, 패스트푸드, 라면을, 여학생은 과일이나 과자를 더 자주 섭취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8].
청소년기의 바람직한 식생활 습관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청소년기는 식생활에 대한 태도가 형성되는 시기이며, 이때 학습된 식생활 태도 및 행동은 앞으로의 건강 상태에도 지대한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이 시기에 바람직한 식행동을 습득하고 실천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1,2]. 특히 건강 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중 식생활은 청소년기의 성장과 발달뿐 만 아니라 성인기 건강과 질병 발생에도 큰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되면서 청소년기의 바람직한 식생활 습관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3,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Golmakani N, Naghibi F, Moharari F, Esmaily H. Health promoting life style and its related factors in adolescent girls. J Midwifery Reprod Health 2013; 1(1): 42-49. 

  2. Spratt J, Shucksmith J, Philip K, Watson C. Part of who we are as a school should include responsibility for well-being: links between the school environment, mental health and behavior. Pastor Care Educ 2006; 24(3): 14-21. 

  3. Sung CJ. A comparative study of food habits and body satisfac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clinical symptom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05; 34(2): 202-208. 

  4. Lee JS, Yun JW. A study on perception about body image, dietary attitude, dietary self-efficacy and nutrient intake of high school students in Busan.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03; 32(2): 295-301. 

  5.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orea Health Statistics 2014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I-2) [internet].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5 [cited 2016 Jan 10]. Available from: http://knhanes.cdc.go.kr/. 

  6.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5 Korean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internet].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5 [cited 2015 Dec 29]. Available from: http://knhanes.cdc.go.kr/. 

  7. Lee YS, Lim HS, Ahn HS, Jang NS. Nutrition through the life cycle. Seoul: Kyomunsa; 2011. p. 281. 

  8. Jo JE, Park HR, Jeon SB, Kim JS, Park GE, Li Y et al. A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socio-demographic factors and food consumption frequencies among adolescents in South Korea. Korean J Community Nutr 2013; 18(2): 165-176. 

  9. Croll JK, Neumark-Sztainer D, Story M. Healthy eating: what does it mean to adolescents? J Nutr Educ Behav 2001; 33(4): 193-198. 

  10. Diaz H, Marshak HH, Montgomery S, Rea B, Backman D. Acculturation and gender: influence on healthy dietary outcomes for Latino adolescents in California. J Nutr Educ Behav 2009; 41(5): 319-326. 

  11. Kwak SH, Woo TJ, Lee KA, Lee KH. A comparison of dietary habits and influencing factors for vegetable preferences of adolescents in Gyeongnam province. Korean J Community Nutr 2015; 20(4): 259-272. 

  12. Bisogni CA, Jastran M, Seligson M, Thompson A. How people interpret healthy eating: contri-butions of qualitative research. J Nutr Educ Behav 2012; 44(4): 282-301. 

  13. Yang IS, Lee HY, Kim HY, Kang YH. Setting instructional goals for nutritional education program through an analysis of problems identified in junior/senior high school students. Korean J Community Nutr 2003; 8(4): 495-503. 

  14. Park SH, Park HR, Jeon SB, Jeong SY, Tserendejid Z, Seo JS et al. Awareness and practice of dietary action guide for adolescence among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Korea. Korean J Community Nutr 2012; 17(2): 133-145. 

  15. Contento IR. Nutrition education: linking research, theory and practice. 3th ed. Massachusetts: Jones & Bartlett Learning; 2015. p. 65-66, 74, 78-79. 

  16. Chang HS, Roh SM. Comparison with dietary habits, dietary attitudes and nutritional knowledge according to sex of teenagers in Jeonnam province. Korean J Community Nutr 2006; 11(4): 459-468. 

  17.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Dietary guidelines for Korean [internet].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9 [cited 2014 Jan 20]. Available from: http://www.mohw.go.kr/front_new/. 

  18. Lee EJ. A survey on the snack intake and dietary habits affected by nutrition knowledge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Incheon [master's thesis]. Inha University; 2012. 

  19. Kim MN. Adolescent's dietary behaviors, health interest, nutrition knowledge: Its effects on their intakes of nutritional supplements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2013. 

  20. Dewar DL, Lubans DR, Plotnikoff RC, Morgan PJ.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social cognitive measures related to adolescent dietary behaviors. Int J Behav Nutr Phys Act 2012; 9(36): 1-10. 

  21. Park KS, Chun BY, Kam S, Yeh MH, Kang YS, Kim KY et al.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health concern, health practice and health status of the disabled. Korean J Prev Med 1999; 32(3): 276-288. 

  22. Breslow L, Enstrom JE. Persistence of health habits and their relationship to mortality. Prev Med 1980; 9(4): 469-483. 

  23. Lee YJ, Lee HJ, Lee KH. Effects of 16-class nutrition education on middle school students' dietary behavior and nutritional knowledge. Korean J Food Nutr 2014; 27(5): 826-836. 

  24. Kang NE, Yoon HR, Kim JH. A Study on the behavior of food hygiene and interest in dietary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level of awareness and practice of food safety. Koran J Food Culture 2013; 28(6): 623-630. 

  25. Jung YH, Ko SJ, Lim HJ. The socioeconomic cost of adolescent obesity. Health Soc Welf Rev 2010; 30(1): 195-219. 

  26. Sung EJ, Shin TS. The effect of overweight to cardiovascular risk factors among Korean adolescents. J Korean Acad Fam Med 2003; 24(11): 1017-1025. 

  27. Voelker DK, Reel JJ, Greenleaf C. Weight status and body image perceptions in adolescents: current perspectives. Adolesc Health Med Ther 2015; 6: 149-158. 

  28. Ahn Y, Kim KW. Beliefs regarding vegetable consumption, self-efficacy and eating behaviors according to the stages of change in vegetable consumption among college students. Korean J Community Nutr 2012; 17(1): 1-13. 

  29. Choi MK, Bae YJ, Kim MH, In SJ. A survey of the needs of nutrition education based on analysis of eating habits and nutrition knowledge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in Kyung-Gi province. J Korean Diet Assoc 2010; 16(2): 133-145. 

  30. Choi MY, Kim HY. Nutrition knowledge, dietary self-efficacy and eating habits according to student's stage of regular breakfast or exercise. Korean J Community Nutr 2008; 13(5): 653-662. 

  31. Kim YH. A survey on the nutrition knowledge, dietary behavior and satisfaction of dietary education of high school female students. Korean Home Econ Educ Assoc 2012; 24(1): 21-36. 

  32. Schwartz NE. Nutritional knowledge, attitudes and practices of high school graduates. J Am Diet Assoc 1975; 66(1): 28-31. 

  33. Kim BH, Sung MY, Lee YN. Comparison of the nutrient intakes by the score of dietary action guides for Korean children among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Gwangju city. Korean J Community Nutr 2011; 16(4): 411-42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