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의료이용행태에 따른 뇌졸중 환자의 삶의 질과 QALY 비교: 2009~2012년 한국의료패널 자료를 활용한 연구
A Study about the Quality of Life and QALYs of Stroke Patients according to the Medical Care Utilization Behavior: Findings from the 2009-2012 Korea Health Panel Data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Medicine = 대한한의학회지, v.37 no.1, 2016년, pp.41 - 52  

박성봉 (부산대학교 한의학전문대학원) ,  엄태웅 (부산대학교 한.양방 협진 모니터링센터) ,  김남권 (부산대학교 한.양방 협진 모니터링센터)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re are no studies which have investigated the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HRQOL) about stroke patients according to the medical care utilization behavior by longitudinal analysi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quality of life(QOL) and quality adjusted life years(QALY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정부승인통계조사로서 한국의료패널 조사 2009-2012년 자료를 활용하여 양방 및 한방의료기관에서 응급·입원·외래진료를 받은 뇌졸중 환자들을 대상으로 의료이용행태에 따라 EQ-5D로 측정된 삶의 질의 변화와 관련 요인들에 대한 종단(Longitudinal)분석을 시행하고, 이를 종합하여 해당 치료기간 동안에 발생하는 삶의 질 보정년수(Quality Adjusted Life Years; QALYs) 등을 연구한 결과 다음과 같은 지견을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료패널 조사를 활용하여 2009년 뇌졸중을 진단받고 관련 상병으로 의료기관을 이용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2012년까지의 종단연구를 통해 의료이용행태에 따른 EQ-5D로 측정된 삶의 질과 삶의 질 보정년수(QALY)의 차이를 정량적으로 산출하였다.
  • 한국의료패널 연간데이터에는 응급·입원이용의 경우는 치료내용변수가 별도로 존재하지 않지만 외래이용의 경우는 치료내용변수가 있으므로 이를 활용하여 의료기관 종류만으로 의료이용행태를 구분하는 한계를 최소화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교육수준이 대상자들 간의 절대적 소득수준의 차이가 아닌 상대적 소득수준의 차이를 나타나는 이유는? 연령은 출생연도를 활용하여 현재연도를 기준으로 10세 단위로 연령대를 재분류하였고, 성별·혼인상태·경제활동여부는 한국의료패널 자료의 구분을 그대로 사용하였다. 교육수준은 한국의료패널 자료를 기반으로 초·중·고·대학교이상으로 4개의 범주로 재분류하였고, 소득수준은 한국의료패널 자료에서 제공하는 총 가구소득5분위를 사용하였기 때문에 대상자들 간의 절대적 소득수준의 차이가 아닌 상대적 소득수준의 차이를 나타낸다. 보유하고 있는 만성질환은 보유개수에 따라 재분류하였다.
뇌졸중이란? 뇌졸중은 뇌혈관의 이상으로 뇌기능의 부분적 또는 전체적으로 급속히 발생한 장애가 상당기간 지속되는 것으로, 생존자의 90%이상이 뇌 병변 부위에 따라 연하장애, 언어장애, 감각상실, 인식장애 등 여러 가지 다양한 형태의 장애가 나타나며1), 한방 의료기관의 입원진료 다빈도 질환 1위에 해당된다.2)2014년 현재 국내 사망원인으로 뇌혈관질환은 인구 10만 명당 약 48.
의료이용행태별로 연도별 의료이용현황을 보면 병행군의 응급의료이용과 양방군의 응급의료이용으로 나뉘는데 이 때, 양방군의 응급의료이용과 입원이용은 어떻게 나타났는가? 의료이용행태별로 연도별 의료이용현황을 보면 병행군의 응급의료이용과 입원이용은 각각 2009년에 5명, 50%, 6명, 60%로 과반수가 이용경험이 있었으나 점차 줄어들어 2012년에는 입원이용만 1명, 10%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양방군의 응급의료이용과 입원이용 역시 각각 2009년 13명, 48.15%, 14명, 51.85%였으나 이후 급격히 감소하여 2012년에는 각각 1명, 3.7%의 분포를 보였다. 외래이용에 있어서는 병행군이 2009년 9명이 총 165회 이용한 후 2011년까지 양방군에 비해 더 적은 인원이 더 많은 외래의료이용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Dobkin BH. The clinical science of neurologic rehabilitation. 2nd Edition.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2003:375-450. 

  2.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The research on the actual use and consumption of Traditional Korean Medicine. 2014:178. 

  3. Statistics Korea. KOSIS index 100. 2016;[1screen]. Available at: URL: http://kosis.kr/nsportalStats/nsportalStats_0102Body.jsp?menuId6&NUM239. Accessed January 20, 2016. 

  4. Ahlsio B, Britton M, Murray V, Theorell T. Disablement and quality of life after stroke. Stroke. 1984;15(5):886-890. 

  5. Kim HM, Shim MK. The Effects of Mental Health on the Quality of Life After Stroke.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2015;13(2):237-244. 

  6. Yoon WD. The quality of life of stroke, social support. self-efficacy Research. Gwangju: Kwangju women's Univ.; 2015. 

  7. Jang YS, Kim HD, Chung HA. Correlations Among the Sleep, Fatigue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stroke.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3;14(12):6302-6308. 

  8. Beatrix A, Bengt F, Alarcos C, Katharina SS, Lennart C. Factors Associated With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After Stroke: A 1-Year Prospective Cohort Study. Neurorehabilitation and Neural Repair. 2012;26(3):266-274. 

  9. Ha HG. Quality of life in relations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roke :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5. Seoul: Yonsei Univ.; 2008. 

  10. Jo MW, Kim SK, Lee JY, Lee KS. Estimating Quality Adjusted Life Year Loss of Persons Disabled by Stroke Using EQ-5D in Korea. 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 & community health. 2011;36(2):120-129. 

  11. Kim NK, Lee DH, Jo GW, Seo ES. A study about the Life Expectancy, Quality of Life and QALYs of Stroke patients. Journal of Society of Preventive Korean Medicine. 2012;16(3):15-26. 

  12. Kim MS, Han SS. Comparison in Quality of Life, Relationship with Patients and Family Support, between Caregiver of Patients with Cerebro-Vascular Accident(CVA) in Western and Oriental Medicine.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2006;12(1):33-42. 

  13. Korea Health Panel survey. 2016;[1screen]. Available at: URL:https://www.khp.re.kr:444/. Accessed January 12, 2016. 

  14. Jung YH, Seo NK, Ko SJ, Han EJ, Park SB, Jung YH, et al. A report on the Korea Health Panel Survey of 2008.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0:180. 

  15. Jung YH, Ko SJ. Effectiveness of Health Outcome in Health Plan 2020.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1:57. 

  16. Nam HS, Kim KY, Kwon SS. Research Report for estimated weight for Quality of Life Survey (EQ-5D).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07. 

  17.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The Six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KNHANES VI-1,2) user guide. 2015:32. 

  18. Han TR, Bang MS. Rehabilitation medicine. 3rd Edition. Seoul: Koonja. 2008: 509-548. 

  19. Niemi ML, Laaksonen R, Kotila M, Waltimo O. Quality of life 4 years after stroke. Stroke. 1988;19(9):1101-1107. 

  20. Carod-Artal F, Egido JA. Quality of Life after Stroke: The Importance of a Good Recovery. Cerebrovascular diseases. 2009;27(1):204-214. 

  21. Won JI. The Relationship Between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Ambulatory Stroke Patients. Physical Therapy Korea. 2008;15(1):12-19. 

  22. Suh MH, Choi SM.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on Quality of Life in Stroke Survivors. J Korean Acad Nurs. 2010;40(4):533-541. 

  23. Lee DG. A Study on Economic Stress-Related Factors with Stroke Patients. Daejeon: Mokwon Univ.; 2007. 

  24. Lim DO, Whang GS, Kim KS. Measuring and Explaining the Improvement of Life Expectancy at Birth in Korea. Journal of Reproductive Medicine and Population. 2010;23:95-105. 

  25. Hill MD, Hachinski V. Stroke treatment : time is brain. The Lancet. 1998;352(3):S10-S14. 

  26. Park KH. Acute Cerebral Hemorrhage Patient's Medical Examination Record According to The Time Transported to General Hospital: On the Basis of Spontaneous Subarachnoid Hemorrhage Patient. Suwon: Ajou Univ.; 2003. 

  27. Han JS, Kim YS, Moon YS, Han SJ, Park IS, Lee SH, et al. Experiences of Stroke Patients With Combined Treatment of Self-selected Oriental and Western Medicine.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2014;12(6):375-38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