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competency model for the Korean medicine doctors and find application plans for the future education in Korean medicine. Methods: Based on literature review, we drafted a competency model framework for modeling and defined competencies using ge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총 15가지 역량들을 한의사가 지녀야 할 가장 기본적인 역량으로 정의할 수 있다. 각 역량에 대한 정의와 행동지표 개발도 구체적으로 수행하여 추후 분과별 교육에 활용시 용이하게 하고자 하였다(Table 2).
  • 본 연구는 한의사의 역량을 최초로 기술한 2015한의사 역량모델의 이해를 돕고 더욱 구체적인 활용방안을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한의학 분야에서 역량에 대한 체계적인 모델개발연구가 2015년 하반기에야 처음 수행되었다는 점, 한의사와 동등한 수준의 의료행위를 하는 해외의 유사 직군이 없어 해외의 선행 연구를 참고하기 어려웠다는 점, 한의학 교육 및 진료 분야의 표준화 성취가 부족하여 보다 상세한 수준의 세부역량 기술을 할 수 없었다는 점, 한의학 교수자들 중 해외유학및 교육연수를 경험한 자가 적어 역량 중심 교육에 대한 수용성이 낮은 점 등으로 인해 완성된 형태의 역량 모델이라기 보다는 개발 진행형 한의사 역량 모델이라 할 수 있다.
  •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WHO)를 비롯한 보건의료분야 교육기관들은 실질적인 수행의 의미를 지닌 역량들(competencies)을 선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제반 교육체계에 대해 논의해오고 있다. 1978년 세계보건기구는 당시 의료 서비스의 질적 하락의 원인을 부실한 교육에서 찾고, ‘의학교육에서의 역량중심 교육과정 개발 (Competency-Based Curriculum Development in Medical Education)’ 보고서를 통해 보건의료인 교육과정의 변화를 모색하였다1, 이를 통해 미국, 영국, 캐나다, 호주 등 영미권의 의학교육 분야에서는 역량을 주요 키워드로 각 대학의 졸업역량을 규정하고 이를 교육에 반영하기 위한 노력을 진행해 왔다.
  • 먼저 한의사 역량모델과 관련된 선행연구 등 보건의료계 선행연구를 토대로 기술된 역량의 위계를 재조정, 통합, 수정, 보완 하였다. 재구성된 역량에 대해 3차에 걸친 전문가 자문회의를 통해 역량모델의 구조와 위계, 내용면에서 더욱 정교화된 모형에 대해 타당성을 확보하여 2016 한의사 역량 모델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2015 한의사 역량모델링에 참여한 전문가 패널 10인의 여러 차례의 심도 있는 논의를 통해 초안이 개발되었으며, 개발된 2016 한의사 역량모델은 각 분과별 한의사 전문가위원 14인, 한의학분야 평가, 인증분야 전문가 5인, 의학분야 역량연구 전문가 1인을 통해 검증받았다(Table 2).
  • 1, 2차 전문가 패널 워크샵의 경우, 한의학 전반에 대한 전문적인 식견 및 대학 관점에서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 한의과대학(원)교원, 연구원, 보건의료기관 전문가로 구성하여 진행하였다. 최종 설문의 경우, 개원의, 교원, 연구원, 보건의료기관 종사자를 대상으로 하여 다양한 측면에서 의견을 수렴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교육 후 평가를 위한 교육목표(학습성과, 학습목표)의 설정은 어떤 요소로 지적되는가? 한의과대학(원)교육목표 설정으로부터 평가까지 체계적인 한의학 교육을 체제 개선을 위한 준거로 활용 할 수 있다. 교육 후 평가를 위한 교육목표(학습성과, 학습목표)의 설정은 최종 산출물인 교육 효과성을 측정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요소로 지적되는데, 교육목표를 설정하는 이유는 교육과정과 활동에 대한 의사소통의 객관성을 유지하고, 교육 후에 학습의 결과를 정확하게 판단하기 위한 기초가 되기 때문이다. 또한 교육의 내용이 무엇인지, 어떠한 전략과 기법을 활용해서 가르쳐야 하며, 가르치고 난 후에 평가할 대상이 무엇인지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 역량모델을 고려한 학습목표제시는 중요하다.
역량중심의 한의학 교육을 위해서 필요한 것은? 보건의료분야 교육에 있어 이러한 역량의 규정, 구체적인 성과지표의 개발과 활용은 졸업과 동시에 현장에서 1차 진료의로서 직무를 수행해야 하는 특수한 맥락을 고려해 볼 때 중요하다. 역량중심의 한의학 교육을 위해서는 먼저 역량을 명확하게 규정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하고, 기술된 역량 별로 각각의 수준을 설정한 후 이를 교육과정 및 평가체제 개선에 반영하는 체계적인 변화가 필요하다. 본 연구를 통해 제시된 한의사 역량 모델과 구체적인 활용방안은, 추후 각 한의과대학(원) 교육에 직, 간접적으로 활용되어 역량중심의 한의학 교육으로 이행하는 과정에서 주요 준거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한의사의 역량을 더욱 구체화하고 이에 따라 학습목표, 교과과정, 교수학습방법, 평가체계에 반영하려는 다방면의 활동이 지속되어야 하는 이유는? 현재 한의학 교육분야에서 역랑중심교육, 성과바탕학습에 대한 논의가 초기 단계임을 감안할 때, 지속적으로 역량 분야에 대한 다각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역량에 대한 연구를 한의계보다 앞서 진행해 왔던 기업, 교육 및 타 의료분야에서도 역량에 대한 정의의 모호함과 실제 적용의 어려움, 역량중심 교육을 위한 구체적인 합의의 어려움 등이 보고 되어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실제적인 수행을 강조하는 역량중심교육으로의 변화는 필연적인 조류이다. 따라서 한의사의 역량을 더욱 구체화하고 이에 따라 학습목표, 교과과정, 교수학습방법, 평가체계에 반영하려는 다방면의 활동이 지속되어야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9)

  1. Kim YJ, Lim CI.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Korean medical education review. 2011;13(1):13-23. 

  2. Yoon BY, Choi IS, Kim SJ, Park HJ, Ju HJ, Rhee BD, et al. Recommendations for the Successful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 in Korea. 2015;17(3):110-121. 

  3. Ahn DS. Korean Doctor's Role. Journal of Korean Medicine Association. 2014:57(1):3-7. 

  4. Kim NI, Ko SG, Kim JW, Park HJ, Baek YS, Bu YM, et al. A study on Development of Korean Oriental Medical Education in New Paradigm.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2011. 

  5. Shin SW. Development of Standardized Road-Map in Korean Medicine Education & Training. Seoul;Ministry of Knowledge Economy. 2012. 

  6. Lim CI, Kang YS, Kim YJ, Han HJ, Hong JS, Han RE, et al. Development of General Competency Model for the Korean Medicine Doctors. Institute of Korean Medicine Education & Evaluation. 2015(In Press). 

  7. Baek SJ, Song HD. Characteristics of strategic job analysis: comparison with traditional job analysis and competency modeling. 2014;16(2):145-167 

  8. Kim JM, Ju DJ, Lee JH, Kil DH, Ju HM, Lee JE. Developing Competency Model for Rural Extension Workers Using Generic Model Overlay Method. 2007;39(2):115-138. 

  9. Dubois DD. Competency-based performance improvement: A strategy for organizational change. HRD press, Inc.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