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사례 연구를 통한 중학교 과학수업에 대한 범교과 수업컨설팅의 특성 탐색
Exploration of Features of Cross-Curricular Instructional Consulting in Middle School Science Lessons through Case Study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36 no.2, 2016년, pp.269 - 277  

곽영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들어 범교과 수업컨설팅을 중심으로 단위학교 차원의 교사 학습공동체를 구축하여 운영하는 사례들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단위학교 차원의 교사 학습공동체 활동의 하나인 범교과 수업컨설팅의 특징을 살펴보고, 중학교 과학수업에 대한 범교과 수업컨설팅의 효과를 탐구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해 3개 사례연구 중학교에서 관찰한 공개수업과 수업컨설팅 협의회 등에서 드러난 범교과 수업컨설팅의 특징을 분석하고, 참관한 과학수업에 대해 외부 전문가로 구성된 과학과 컨설턴트들이 사후에 수업동영상을 시청하고 별도의 수업컨설팅 협의회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범교과 수업컨설팅을 받은 과학수업은 과학과 탐구실험을 텍스트를 읽어내는 형태로 진행하기도 하고, 학생들의 오개념이나 과학과의 정확한 용어 표현이 간과되는 수업이 진행되며, 수업목표 설정과 수업 진행, 수업 분량 등에서도 문제점이 발견되는 등의 특징을 보여준다. 결론 부분에서는 본 연구에서 논의한 범교과 수업컨설팅의 특징과 한계점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범교과 수업컨설팅이 필요한 까닭을 살펴보았다. 또한, 범교과 수업컨설팅 진행 방식에서 발견되는 한계점을 보완할 수 있는 방안을 칭찬 위주 사후컨설팅에 대한 대안, 교과의 본질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범교과 수업컨설팅을 활용하는 방법, 컨설턴트의 권위에 대한 개선 방안 등의 측면에서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there has been a dramatic increase in the number of cases that have formed and operated teachers' learning communities through cross-curricular consulting at the school leve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cross-curricular instructional consulting as an activity of teachers' lear...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긍정적인 교사문화의 특징은? 학교 개선을 위한 전제 조건 중 하나는 능동적이고 긍정적인 교사문화 조성이다(Riley & Stoll, 2004). 긍정적인 교사문화의 특징은 학습조직화를 통해 학교의 구성원들이 학교교육의 가치와 신념을 내면화하고, 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 관련 지식을 공유한다는 점이다(OECD, 2010; Sahlberg, 2011). 단위학교 차원의 교육과정 자율권행사는 구성원들 간의 합의와 협력적인 전문성 발휘가 요청되는 까닭이다.
범교과 수업컨설팅의 특징은? 반면에, 범교과 수업컨설팅의 특징은 교과 담임제인 중등학교임에도 불구하고 교과의 벽을 넘어서 학년 혹은 학교 단위로 수업공개와 컨설팅이 이루어진다는 점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단위학교 차원의 교사 학습공동체 활동의 하나인 범교과 수업컨설팅의 특징을 살펴보고, 중학교 과학수업에 대한 범교과 수업컨설팅의 효과를 탐색하고자 한다.
미래형 학교교육은 무엇을 목표로 하는가? , 2012; OECD, 2005). 즉, 학교를 배움과 학습의 공동체로 만드는 일에서 출발하여 학교를 교사들이 서로 배우면서 성장하는 공동체로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한다(Kim, 2009; Seo, 2009). 이는 미래형 학교교육의 변화를 이루어내기 위해서는 개별 교사의 노력만으로는 어려우므로, 모든 학교 구성원들의 협동과 노력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Ball, S. J. (2002). School-based management: New culture and new subjectivity. Da Invetigacao As Practicas, 3(4), 59-76. 

  2. Bolam, R., McMahon, A., Stoll, L., Thomas, S., Wallace, M., Greenwood, A., Hawkey, K., Ingram, M., Atkinson, A., & Smith, M. (2005). Creating and sustaining effective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Research Report, 637. London: DfES and University of Bristol. 

  3. Choe, S., Kwak, Y., & Noh, E. (2011). Research on teaching and learning and teacher education to improve learners' key competencies: Centering on mother tongue, mathematics and science. (Research Report RRI 2011-1). Seoul: KICE. 

  4. Darling-Hammond, L., & Bransford, J. (2005). Preparing teachers for a changing world: What teachers should learn and be able to do. CA: Jossey-Bass. 

  5. Fullan, M. (2001). The new meaning of educational change. New York and London: Teachers College Press. 

  6. Hargreaves, A., & Shirley, D. (2012). The global fourth way: The quest for educational excellence. Thousand Oaks, California: Corwin Press. 

  7. Hiebert, J., & Morris, A. K. (2012). Teaching, rather than teachers, as a path toward improving classroom instructio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63(2), 92-102. 

  8. Hord, S. M. (1997).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What are they and why are they important?. Austin, TX.: Southwest Educational Development Laboratory (SEDL). 

  9. Hord, S. M. (2004). Learning together, leading together. Austin, TX.: Southwest Educational Development Laboratory, Teachers College Press. 

  10. KICE (2015). Ways to reinforce teachers' professionalism on curriculum organization and implementation at the school level (III) -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teacher learning communities. (Research Report RRC 2015-4). Seoul: KICE. 

  11. Kim, Y. (2009). Discussion on the possibilities and issues of curriculumdecentralization. In KICE (2009), Seminar on exploration of directionsof curriculum decentralization.localization?autonomy (ResearchMaterial ORM 2009-15) (pp. 31-33). Seoul: KICE. 

  12. Kwak (2009). Research on the effects of subject matter knowledge (SMK) on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CK) of secondary beginning science teachers in classroom teaching.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9(6), 611-625. 

  13. Kwak, Y., Eun, J., & Kim, K. (2009). Research on mentoring system to improve teaching professionalism - centering around Korean language, social studies and science subject. (Research Report RRI 2009-7). Seoul: KICE. 

  14. Ko, M. R., Nam, J. H., & Lim, J. H. (2009). Two case studies of the development of beginning science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9(1), 54-67. 

  15. Kwak, Y., Baek, K., Lee, M., Min, J., & Kim, Y. (2013). Ways to reinforce teachers' professionalism on curriculum organization and implementation at the school level. (Research Report RRC 2013-7). Seoul: KICE. 

  16. Kwak, Y.,Yim, S. Y., Min, J., Baek, I. H., & An, S. (2014). Ways to reinforce teachers' professionalism on curriculum organization and implementation at the school level (II) (Research Report RRC 2014-9). Seoul: KICE. 

  17. Lee, H., Kang, Y., Park, J., Kim, T., & Han, J. (2007). Vision for Korean education and long-term plans. (Research Report RR2007-2). Seoul: KEDI. 

  18. Lee, K., Kwak, Y., Lee, S., & Choi, J. (2012). Design of the competencies-based national curriculum for the future society. (Research Report RRC 2012-4). Seoul: KICE. 

  19. Lee, K., Maeng, S., Park, Y., Lee, J., & Oh, H. (2014). A case study of middle school science teachers' topic-specific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n the unit of stars and univers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4(4), 393-406. 

  20. Min, H., Park, C., & Paik, S. (2010). An analysis of beginning science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hrough the teaching practic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0(4), 437-451. 

  21. Noh, T., Kim, Y., Yang, C., & Kang, H. (2011). A case study on beginning teachers' teaching professionalism based on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science-gifted 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1(8), 1214-1228. 

  22. OECD. (2005). Teachers matter: Attracting, developing and retaining effective teachers. OECD: Paris. 

  23. OECD. (2010). Education at a glance, education indicators. Paris: Author. 

  24. Riley, K., & Stoll, L. (2004). Inside-out and outside-in: Why schools need to think about communities in new ways. Education review, 18(1), 34-41. 

  25. Sahlberg, P. (2011). Finnish lessons: What can the world learn about educational change in Finland?. New York: Teachers College Press. 

  26. Seo, K. (2009). Teacher learning communities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The Journal of Korean Teacher Education, 26(2), 243-276. 

  27. Yi, H., Kwon, J., Hong, S., & Sang, K. (2007). A study on developing support materials and suggestions for new teachers in primary schools. (Research Report RRI 2007-4-1). Seoul: KICE.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