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교사들의 스마트 교육 수용과 유아 디지털 리터러시에 대한 인식 탐구
Exploring Teachers' Perceptions and Beliefs about the Acceptance of Smart Education and Preschoolers' Digital Literacy 원문보기

정보화 정책 = Informatization policy, v.23 no.3 = no.88, 2016년, pp.64 - 83  

이은정 (중앙대학교 대학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  이재신 (중앙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유아교사들을 대상으로 유아의 스마트 미디어 이용과 유아 디지털 리터러시에 대한 인식과 신념을 살펴봄으로써 스마트 교육을 활성화 할 수 있는 방안을 탐색해보고자 한다. 연구에서는 인터뷰를 통해 유아교사들이 스마트 교육 수용과 관련하여 어떠한 인식을 가지고 있는가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유아교사들은 유아들의 스마트 미디어 이용에 대하여 긍정적이기보다는 부정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었으며 스마트 교육의 제한적인 활용이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교사들이 가진 기술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는 스마트 교육의 수용을 저해하는 장애물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교사들의 인식 개선이 스마트 교육 활성화의 중요한 전제 조건임을 보여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lthough the government mandated classroom use of smart technology, there exist obstacles to adapting smart technology as a means of educational tools in class.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preconditions for integrating smart technology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To meet this end, this study i...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교육과학기술부가 스마트 교육 추진계획을 발표한 이후 추진한 관련 사업은? 교육과학기술부는 지난 2011년에 21세기 교육 패러다임으로서 스마트 교육을 제시하고 스마트 교육 추진계획을 발표하였다(국가정보화전략위원회·교육과학기술부, 2011). 이후 초중고 디지털 교과서 및 스마트 수업모형 개발, 교원의 스마트 교육 역량 강화, 온라인 수업 활성화 등에 대한 사업을 중점적으로 추진해왔다. 2018년부터 초·중등학교에 디지털 교과서가 전면 보급되면서 스마트 교육 사업이 더욱 활성화되는 추세이다.
교육과학기술부가 제시한 스마트 교육이란? ‘스마트 교육’이란 개념은 그 광범위한 사용 정도에 비해 아직까지 명확하게 합의된 정의가 정립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다. 다만 교육과학기술부가 제시한 ‘정보통신기술과 이를 기반으로 한 네트워크 자원을 학교교육체제에 활용하는 교육’ 정도의 의미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이와 관련한 학문적 논의에서는 ‘학습자-교수자간 상호작용’, ‘연계적 학습’, ‘자기 주도적 학습’등이 스마트 교육의 중요한 특성들로 제시되어 왔다(노규성 외, 2011; 이상기 외, 2014).
스마트 교육의 중요한 특성은 무엇인가? 다만 교육과학기술부가 제시한 ‘정보통신기술과 이를 기반으로 한 네트워크 자원을 학교교육체제에 활용하는 교육’ 정도의 의미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이와 관련한 학문적 논의에서는 ‘학습자-교수자간 상호작용’, ‘연계적 학습’, ‘자기 주도적 학습’등이 스마트 교육의 중요한 특성들로 제시되어 왔다(노규성 외, 2011; 이상기 외, 2014). 이러한 점을 고려한다면 스마트 교육은 ‘학습자와 교수자의 상호작용이 중시되며 스마트 미디어와의 연계를 통해 학습자흥미를 유발하는 자기 주도적 학습을 강조하는 교육’으로 볼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2)

  1. 강정묵.송효진.김현성 (2014). "스마트시대의 디지털 리터러시 측정을 위한 진단도구의 개발과 적용". , 17(3): 143-173. 

  2. 교육과학기술부 (2010). . 

  3. 국가정보화전략위원회.교육과학기술부 (2011). , 스마트교육추진전략. 

  4. 김경철.박성덕 (2014). "전자미디어를 활용한 유아교육활동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 19(3): 219-246. 

  5. 김영환.정주훈.이현아 (2016). . 육아정책연구. 

  6. 김예진.조지연.이봉규 (2015). "스마트 러닝의 공교육 정착을 위한 핵심 요인 선정에 관한 연구." . 143-144. 

  7. 김용주 (2016). "스마트폰.인터넷 바른 사용 지원 종합계획" . 5월 15일. 

  8. 김현욱 (2015). "초등학교 사이버가정학습 환경, 학습자 요인, 학습 만족도간의 구조적 관계분석." , 22(2): 75-92. 

  9. 노규성.주성환.정진택 (2011). "스마트러닝의 개념 및 구현 조건에 관한 탐색적 연구." , 9(2): 79-88. 

  10. 문창배.고요섭.손충기.마지순.조정원.박정환 (2010). "교육주체간 상호작용을 고려한 구성주의 기반 학급운영시스템." , 10(3): 454-462. 

  11. 박소라 (2005). "어린이의 인터넷 이용 특성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환경적 요인에 대한 연구." , 49(4): 166-190. 

  12. 안정임 (2013). "연령집단에 따른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수준 비교 연구." , 7(1), 1-21. 

  13. 유구종.김민경.이정순.한명옥 (2013). "디지털기기, 스마트기기, 스마트 전자책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및 현황." , 18(3): 43-70. 

  14. 유구종.이정순 (2015). "유아교육기관에서 매체로서의 스마트기기 활용 양상 분석 - 전자칠판, 태블릿을 중심으로." , 574. 

  15. 이명진.박기태 (2009). "정보격차 연구의 쟁점 변화와 그 함의." , 16(3): 3-17. 

  16. 이상기.권민화 (2014). "스마트교육의 학습효과에 관한 탐색적 연구." , 14(2): 258-294. 

  17. 정봄.마지.이승연 (2013). "유아 주도의 UCC 제작활동 참여여부에 따른 유아의 디지털 리터러시와 정보윤리의식 변화 분석." , 18(3): 309-332. 

  18. 정종완.최보아 (2013). "디지털 네이티브를 위한 스마트 교육콘텐츠 방향성 연구." , 13(1): 373-383. 

  19. 최미숙.강병호 (2014). "스마트 미디어 교육환경에서 유아와 보호자의 수용 가능성 인식 연구." , 8(3): 335-345. 

  20. 최재원.장지화.김범 (2014). "유아교육 정보시스템 활성화를 위한 결정요소 - 사용자 저항성의 관점으로." , 21(1): 77-98. 

  21. 최희숙.강병호 (2016). "스마트 교육의 주요기능과 유아교육에서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 10(1): 159-170. 

  22. 황성온.황지온 (2016). "영유아 관련 스마트 기기 연구 동향 분석: 국내 학술지 및 학위논문을 중심으로." , 20(3): 299-317. 

  23. 황치성.박지선 (2014). . 한국언론재단. 

  24. Anderson, D. R. (1998). "Educational television is not an oxymoron". Annals of public Policy Research, 557: 24-28. 

  25. Bittman, M., Rutherford, L., Brown, J. & Unsworth, L. (2011). "Digital natives? New and old media and children's outcomes". Australian journal of education, 55(2): 161-175. 

  26. Blackwell, C. K., Lauricella, A. R., Wartella, E., Robb, M. & Schomburg, R. (2013). “Adoption and use of technology in early education: The interplay of extrinsic barriers and teacher attitudes”. Computers & Education, 69: 310-319. 

  27. Burnett, C. (2010). “Technology and literacy in early childhood educational settings: A review of research”. Journal of Early Childhood Literacy, 10(3): 247-270. 

  28. Christakis, D. A., Garrison, M. M., Herrenkohl, T., Haggerty, K., Rivara, F. P., Zhou, C. & Liekweg, K. (2013). “Modifying media content for preschool children: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Pediatrics, 131(3): 431-438. 

  29. Christakis, D. A., Zimmerman, F. J., DiGiuseppe, D. L. & McCarthy, C. A. (2004). “Early television exposure and subsequent attentional problems in children”. Pediatrics, 113: 708-713. 

  30. Courage, M. L. & Howe, M. L. (2010). "To watch or not to watch: Infants and toddlers in a brave new electronic world". Developmental Review, 30(2): 101-115. 

  31. Couse, L. J. & Chen, D. W. (2010). "A tablet computer for young children? Exploring its viability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Journal of Research on Technology in Education, 43(1), 75-96. 

  32. Ertmer, P. A. & Ottenbreit-Leftwich, A. T. (2010). "Teacher technology change: How knowledge, confidence, beliefs, and culture intersect". Journal of research on Technology in Education, 42(3): 255-284. 

  33. Eshet-Alkalai, Y. (2004). “Digital literacy: A conceptual framework for survival skills in the digital era”. Journal of Educational Multimedia and Hypermedia, 13(1): 93-106. 

  34. Fenty, N. S. & Anderson, E. M. (2014). “Examining Educators’ Knowledge, Beliefs, and Practices About Using Technology With Young Children”. Journal of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35(2): 114-134. 

  35. Foster, E. M. & Watkins, S. (2010). “The value of reanalysis: Television viewing and attention problems”. Child Development, 81: 368-375. 

  36. Greenfield, P. M. (2014). Mind and media: The effects of television, video games, and computers. Psychology Press. 

  37. Horst, P. G. L., Mahendran, D., Martinez, K., Pascoe, C. J., Perkel, D., Manion, A. & Lange, P. G. (2009). Media ecologies. In M. Ito et al. (Eds.), "Hanging out, messing around, and geeking out (pp. 29 - 78)". Cambridge, MA: MIT Press. 

  38. Jenkins, H. (2006). Confronting the Challenges of Participatory Culture: Media Education for the 21st Century. An Occasional Paper on Digital Media and Learning. John D. and Catherine T. MacArthur Foundation. 

  39. Lei, J. (2009). "Digital natives as preservice teachers: What technology preparation is needed?", Journal of Computing in Teacher Education, 25(3): 87-97. 

  40. Livingstone, S. (2004). "Media literacy and the challenge of new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The Communication Review, 7(1): 3-14. 

  41. Lynch, J. & Redpath, T. (2014). "'Smart' technologies in early years literacy education: A meta - narrative of paradigmatic tensions in iPad use in an Australian preparatory classroom". Journal of Early Childhood Literacy, 14(2): 142-174. 

  42. Mares, M. L. & Woodard, E. (2005). "Positive effects of television on children's social interactions: A meta-analysis." Media Psychology. 7(3): 301-322. 

  43. Mohammadyari, S. & Singh, H. (2015). "Understanding the effect of e-learning on individual performance: The role of digital literacy". Computers & Education, 82, 11-25. 

  44. Overbay, A., Patterson, A. S., Vasu, E. S. & Grable, L. L. (2010). “Constructivism and technology use: Findings from the I MPACTing leadership project” . Educational Media International, 47(2): 103-120. 

  45. Papert, S. (1980). Mindstorms Children computers and powerful ideas. New York: Basic Books. 

  46. Plowman, L. & McPake, J. (2013). “Seven myths about young children and technology”. Childhood Education, 89(1): 27-33. 

  47. Plowman, L., Stephen, C. & McPake, J. (2010). "Supporting young children's learning with technology at home and in preschool". Research Papers in Education, 25(1), 93-113. 

  48. Ram, S. (1987). "A Model of Innovation Resistance," in Melanie Wallendorf and Paul Anderson(eds.), Advances in Customer Research, Vol.14, 208-212. Provo. UT: Association for Consumer Research. 

  49. Richards, J. E. & Anderson, D. R. (2004). "Attentional inertia in children's extended looking at television". In R. V. Kail (Ed.). Advances in child development and behavior (Vol. 32). Amsterdam: Academic Press. 

  50. Sandholtz, J. H., Ringstaff, C. & Dwyer, D. C. (1997). Teaching with technology: Creating student-centered classrooms. New York: Teachers College Press. 

  51. Schomburg, R. & Donohue, C. (2009). Rationale for Revising the NAEYC Children and Technology Statement. http://www.fredrogerscenter.org (Retrieved on June 5, 2015). 

  52. Stephen, C., McPake, J., Plowman, L. & Berch-Heyman, S. (2008). "Learning from the Children: Exploring preschool children's encounters with ICT at home". Journal of Early Childhood Research, 6: 99-11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