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긍정사고가 주요우울장애와 공황장애의 치료 반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예비연구

The Effect of Positive Thinking on Treatment Response of Major Depressive Disorder and Panic Disorder-A Pilot Study

Anxiety and mood = 대한불안의학회지, v.12 no.1, 2016년, pp.1 - 6  

정진이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강북삼성병원 정신건강의학교실) ,  임세원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강북삼성병원 정신건강의학교실) ,  김은진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강북삼성병원 정신건강의학교실) ,  하주원 (서남대학교 의과대학 명지병원 정신건강의학교실) ,  신동원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강북삼성병원 정신건강의학교실) ,  신영철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강북삼성병원 정신건강의학교실) ,  오강섭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강북삼성병원 정신건강의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confirm the hypothesis that the more one applies positive thinking, the less severe the symptoms of stress and the better the therapeutic responsein panic disorder and major depressive disorders. Methods : The study included 50 subjects with confirmed diagnos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것이라고 가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정신과 임상에서 매우 흔하게 접하게 되는 대표적인 우울증과 불안장애인 공황장애와 주요우울장애에서 긍정사고의 역할과 그것이 통상적인 치료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 현실의 부정적 측면을 보다 긍정적으로 수용하고 질환의 증상에 저항하여 건강한 적응을 이뤄나가도록 하는 긍정적 사고의 특성을 고려하여 정신과 임상에서 매우 흔하게 접하게 되는 대표적인 우울증과 불안장애인 공황장애와 주요우울장애에서 긍정사고의 역할과 그것이 통상적인 치료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결과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있어 긍정사고 상위그룹에서 하위그룹에 비해 주관적 우울보고척도인 BDI 점수가 더 낮았지만, 객관적 우울척도인 HAMD 점수는 두 그룹간 통계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가설 설정

  • 긍정적 사고는 상황에 대한 긍정적 수용과 적극적으로 대처하려는 노력의 의미를 지니고 있어 긍정사고의 개념과 특성을 고려해 본다면긍정 사고가 높을수록 동일한 정신 질환에 이환 되었더라도 증상의 심각도는 낮으며 치료적 반응이 보다 양호할 것이라고 가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정신과 임상에서 매우 흔하게 접하게 되는 대표적인 우울증과 불안장애인 공황장애와 주요우울장애에서 긍정사고의 역할과 그것이 통상적인 치료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Macleod AK, Moore R. Positive thinking revisited: positive cognitions, well-being and mental health. Clinical Psychology & Psychotherapy 2000;7:1-10. 

  2. Beck A, Rush A, Shaw B, Emery G. Cognitive therapy of depressionGuilford. New York;1979. 

  3. Beck AT. Cognitive therapy of depression: Guilford press;1979. 

  4. Ingram RE, Wisnicki KS. Assessment of positive automatic cognition.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1988;56:898. 

  5. Kuiper NA, Derry PA. Depressed and nondepressed content self-reference in mild depressives. Journal of Personality 1982;50:67-80. 

  6. Ingram RE, Smith TW, Brehm SS. Depression and information processing: Self-schemata and the encoding of self-referent informa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1983;45:412. 

  7. Heimberg RG, Acerra MC, Holstein A. Partner similarity mediates interpersonal anxiety.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1985;9:443-453. 

  8. Min J-A, Jung Y-E, Kim D-J, Yim H-W, Kim J-J, Kim T-S, et al. Characteristics associated with low resilience in patients with depression and/or anxiety disorders. Quality of Life Research 2013;22:231-241. 

  9. Ong AD, Bergeman C, Bisconti TL, Wallace KA. Psychological resilience, positive emotions, and successful adaptation to stress in later lif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2006;91:730. 

  10. Ko Jaehong, Kyungran Y. The relationship between daily life stress and suicidal ideation of adolescents: the role of ego-resiliency as a buffer studies on Korean Youth 2007;18:185-212. 

  11. Cho SJ, Jeon HJ, Kim JK, Suh TW, Kim SU, Hahm BJ, et al. Prevalence of Suicide Behaviors (suicidal Ideation and Suicide Attempts) and Risk Factors of Suicide Attempts in Junior and High School Adolescents.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 Assoc 2002;41:1142-1155. 

  12. Kim HJ, Oh YH, Oh GS, Suh DW, Shin YC, Jung JY. Development and Validation Study of Positive Thinking measur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2006;11:767-784. 

  13. Hamilton M. A rating scale for depression. Journal of Neurology, Neurosurgery and Psychiatry 1960;23:56. 

  14. Yi JS, Bae SO, Ahn YM, Park DB, Noh KS, Shin HK, et al.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Hamilton Depression Rating Scale (K-HDRS).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2005;44:456-465. 

  15. Beck AT, Ward C, Mendelson M. Beck depression inventory (BDI). Arch Gen Psychiatry 1961;4:561-571. 

  16. Lee YH, Song JY. A Study of the Reliability and the Validity of the BDI, SDS, and MMPI-D Scales. Korean J Clin Psychol 1991;10:98-113. 

  17. Cho YW. Sleep scale and sleep hygiene. Journal of Korean Sleep Research Society 2004;1:12-23. 

  18. Bastien CH, Vallieres A, Morin CM. Validation of the Insomnia Severity Index as an outcome measure for insomnia research. Sleep Medicine 2001;2:297-307. 

  19. Ingram RE, Atkinson JH, Slater MA, Saccuzzo DP, Garfin SR. Negative and positive cognition in depressed and nondepressed chronic-pain patients. Health Psychology 1990;9:300. 

  20. Compton WC. Introduction to Positive Psychology: Thomson Wadsworth;200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