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보행 점유공간을 이용한 보행자도로 서비스수준 분석방법론 개선 연구
An Improved LOS Analysis Method for Pedestrian Walkways Using Pedestrian Space 원문보기

大韓交通學會誌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v.34 no.2, 2016년, pp.168 - 179  

전성욱 (한국교통연구원) ,  손영태 (명지대학교 교통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보행자도로의 서비스수준 산정방법을 개선하는 것으로 보행점유공간을 주 척도로 하고 기존의 방법에서 고려되지 않았던 양방향 보행류에 따른 상충개념을 도입하여 분석을 하였다. 분석 시 보행상충 공간을 산정하였으며, 방향별 보행자 수에 따른 상충공간과 평균보행시간을 산정하였다. 그리고 시간흐름에 따른 유효보도면적을 산정하여 시공간개념의 보행 점유공간을 통해 서비스수준을 재조정하였다. 산출된 보행점유공간은 0.68상태에서 용량상태를 보이며 이때의 보행교통류율은 80인/분/m로 산정되었고 추가적으로 보행점유공간을 크기순으로 나열하여 기울기가 변하는 지점을 기준으로 서비스수준을 분류하였다. 서비스 수준별 통계적 검증을 수행한 결과 유의수준 5%에서 모든 서비스수준 범주별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describes an improved model for estimating pedestrian LOS (Level of Service) by utilizing the space occupied by pedestrians. The method introduced the concept of conflict along the bi-directional pedestrian flow which enables calculating conflict area and average travel time in walking. 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시하고자 하는 양방향 교통류에 따른 상충횟수를 고려하기 위하여 보행점유공간을 적용하되 평균점유공간의 역수인 밀도를 확장시켜 일반화 밀도를 기반으로 보행점유공간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보행자시설 중 보행자도로에 대해서 서비스수준 재산정에 관한 방법론을 제시하였으며, 기존의 효과척도인 보행교통류율과 더불어 시간 흐름에 따른 시공간개념의 보행점유공간을 통해 서비스수준을 재산정하고자 한다.
  • 일반화 밀도의 장점은 직사각형이 아닌 시공간을 area를 사용할 수 있다는 것으로 보행공간의 경우 일반화 밀도 개념을 활용하면, 일정시간동안 변화해가는 유효보도폭을 표현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점유공간의 역수인 밀도, 즉 일반화된 밀도를 검토하여 이를 기반으로 하여 보행점유공간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간개념의 유효보도폭이 아닌 시간-공간개념을 도입한 유효보도 면적으로써 제시할 예정이며, 보행자도로의 주 효과척도인 보행교통류율이 아닌 보행 점유공간으로써 서비스수준을 산정이 보다 합리적이라고 판단된다. 또, 양방향 보행자 수 에 따른 상충면적 및 상충횟수에 대한 관계를 도출하여 최대한 현실적이고 합리적인 서비스수준 분석 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현재 한국도로용량편람의 문제점을 제시하고 이에 대한 개선방안을 모색하는 것으로 시공간개념의 보행 점유공간모형식을 이용한 개선된 보행자도로 서비스수준산정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제시된 서비스수준산정 방법은 기존 방법이 보행자 도로 분석 시 보행자시설의 보행지장요인을 감안한 유효폭이 고정된 상태를 가정한 것에서 벗어나 시간에 따라 가변적인 보행 지장요인을 참고하여 시-공간개념의 보행 점유공간을 표현하도록 하였고 양방향 보행류에 따른 상충을 반영할 수 있는 새로운 서비스수준분석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 제시하고자 하는 보행점유공간에 따른 서비스수준 재조정은 보행점유공간을 크기순으로 나열하여 변곡점 위주로 서비스수준을 분류하고자 한다. 위에서 언급한 간헐적 용량상태가 나타나는 지점을 서비스수준 E라고 설정하여 점유공간 0.
  • 본 연구에서는 상충면적에 이어서 보행자수에 따른 상충횟수와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단위시간 동안의 보행자수, 역방향 보행자수에 따른 상충횟수 자료를 수집하였다. Figure 4는 보행자수(보행비율60:40)에 따른 상충횟수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 본 연구에서는 한국 도로용량편람 보행자시설 서비스수준 개선방안의 현실 반영을 위해 다음과 같은 변수를 반영을 제안한다.
  • 현재 보행자도로의 서비스수준분석 방법은 유효보도폭 및 보행 교통류를 기준으로 산정하고 있어 보행자간의 상충이나 양방향 보행에 대한 반영이 어려운 등 단점이 있음을 감안하여 이 방법을 개선하고자 본 연구에서는 보행 점유공간을 이용하여 양방향 보행류에 따른 상충개념을 도입한 보행 점유공간을 통해 보행자도로 서비스수준산정 방법론을 제시하였고 산정에 필요한 파라메터 값과 서비스수준 기준을 제시하였다. 보행자간 상충으로 인한 최소 필요면적은 동일방향에 대해서 0.

가설 설정

  • 해당 모형에서 교착되는 보행자가 1 cell안에 존재하였을 때 지나가려는 움직임을 취할 확률을 Pexchg. 으로 표기하였으며 이는 랜덤확률분포를 따른다고 가정하였으며 양방향 보행교통류율을 Separated flow, Interspersed flow, Dynamic Multi-lane flow 등으로 분류하여 방향별 보행자 비에 따른 결과를 제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최근 녹색교통의 강조와 함께, 보행개선에 관한 연구 및 다양한 시책들이 추진 중에 있는데, 이를 위해서 필요한 것은? 보행은 다른 교통수단을 이용하기 위한 가장 원초적이고 기본적인 이동수단이며 모든 통행의 시작과 끝을 담당하고 있다. 또한 최근 녹색교통의 강조와 함께, 보행개선에 관한 연구 및 다양한 시책들이 추진 중에 있는데, 이를 위해서는 보행도로의 합리적인 설계가 필요하고 설계를 위한 전제조건으로 보행자 시설물의 용량 및 서비스 수준을 정확히 분석하는 것이 필요하다. 우리나라의 경우, 한국도로용량편람(KHCM 2013)에서 보행자시설로 보행자시설 유형별 서비스수준 분석방법을 제시하고 있는데(2001년 최초수록 후 변화없음) 보행자도로 서비스수준 분석방법이 차로용량대비 교통량을 비교하는 차량 서비스수준 분석방법과 유사하여 보행자의 다양한 특성, 즉, 양방향 보행이 가능하며 보행상충, 경로변경 등이 빠른 시간내 진행되는 점 등이 고려되지 않고 주로 단방향에 대한 첨두보행량과 유효보도폭에 의해서 서비스수준이 산정되어 현실적으로 서비스수준을 평가한다고 보기에는 무리가 있다.
보행이란? 보행은 다른 교통수단을 이용하기 위한 가장 원초적이고 기본적인 이동수단이며 모든 통행의 시작과 끝을 담당하고 있다. 또한 최근 녹색교통의 강조와 함께, 보행개선에 관한 연구 및 다양한 시책들이 추진 중에 있는데, 이를 위해서는 보행도로의 합리적인 설계가 필요하고 설계를 위한 전제조건으로 보행자 시설물의 용량 및 서비스 수준을 정확히 분석하는 것이 필요하다.
2001년판 도로용량편람이 출판되기 이전의 보행관련 국내연구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보행관련 국내연구에서는 2001년판 도로용량편람이 출판되기 이전의 연구는 대부분 정량적 요소를 분석하거나 미국도로용량편람에 준용하여 분석을 수행한 연구가 많다. Kim(1999)은 미국 도로용량편람에서 제시한 보행교통류율을 기준으로 서비스 수준이 A, C, E인 지점을 선정하여 보행자들이 실제로 느끼는 서비스수준을 분석하였으며, 동시의 설문조사를 통하여 정량적인 평가도 수행하였다. 정량적인 요소로는 편리성, 안전성, 쾌적성뿐만 아니라 환경요소, 연결성, 보호성을 추가적으로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후 Lim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Adolf M. (1991), Traffic Flow Fundamentals, Prentice Hall. 

  2. Blue V.J., Adler J.L. (2001), Cellular Automata Microsimulation for Modeling Bi-directional Pedestrian Walkways,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B 35, 293-312. 

  3. Daganzo C.F. (2007), Fundamentals of Transportation and Traffic Operations, Lighting Source Inc. 

  4. Fruin J. (1971), Pedestrian Planning and Design, Metropolitan Association of Urban Designers and Environmental Planners. 

  5. Fruin John J. (1971), Pedestrian Planning and Design, Metropolitan Association of Urban Designers and Environmental Planners, New York, N.Y. 

  6. Kim K.-W. (1999), Evaluation Criteria of the Walkway Level-of-Service in Korea, J. Korean Soc. Transp., 17(3),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31-46. 

  7. Kim S.-M. (2012), The Study on the Level of Service Standard Evaluation With the Walkway Through the Pedestrian Conflicting Analysis, Seoul City University Graduate School Master's Thesis. 

  8. Korea Ministry of Land (2013),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Korea High-way Capacity Manual 2013. 

  9. Lee J.-W. (2005), Study on The Pedestrian Traffic-Flow Characteristics and Its Applications, Yeungnam University, Master's Thesis. 

  10. Lee S.-H. (2012), Improvement of Analysis Method for Pedestrian LOS on Sidewalk in Seoul, J. Korean Soc. Transp., 30(3),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7-15. 

  11. Lee W.-C., Yang J.-Y., Lee S.-Y. (2013), A Study on the Improvement Method of Level of Service Analysis for Pedestrian Sidewalks, Proceedings of the KOR-KST Conference/ver.69, 221-225. 

  12. Lim J.-S., Oh Y.-T. (2002), Estimation of Pedestrian Capacity for Walkway, J. Korean Soc. Transp., 20(1),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91-99. 

  13. Pushkarev Zupan (1977), Urban Space for Pedestrians, Cambridge. 

  14.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1985), Highway Capacity Manual. 

  15.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2000), Highway Capacity Manual.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