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현대 흙건축의 버나큘러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Vernacular Characteristics of Contemporary Earth Architecture 원문보기

韓國農村建築學會論文集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Rural Architecture, v.18 no.2, 2016년, pp.1 - 9  

김태훈 (목포대 건축학과) ,  김순웅 (목포대 건축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Vernacular perspectives had been ignored in the movement of modern architecture. This study's purpose was to review vernacular perspectives and to identify vernacular characteristics of earth architecture. Six representative contemporary earth architects were selected, and then their works were ana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최근 통계에 의하면 세계 인구의 절반이 흙과 관련된 시설에서 생활하는 것으로 알려졌다.14) 이렇듯 지역마다 기후와 토양이 다름에도 불구하고 세계 전역에 골고루 분포되어 있는 흙건축을 버나큘러 특성에 근거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 이집트 건축가 핫산 파티(Hassan Fathy)는 가난한 이집트 농민의 주택문제를 해결하고자 연구에 몰두했다. 그는 낙후되고 가난한 농촌의 현실을 반영하고 최소한의 비용으로 지역의 토착적 환경을 살린 건축을 하고자 하였다. 그의 대표적 작품인 구르나 마을은 룩소르 근처에 1940년대에 조성된 대규모 주거단지로서 이 지역의 전통적 건축 재료인 어도비21) 흙벽돌을 사용하여 건설되었으며 주민들이 직접 시공과정에 참여케 했다.
  • 이상과 같이 프램턴의 비판적 지역주의는 촉각적이고 텍토닉한 형태를 통하여 근대건축운동에서 지향한 보편적 공간에 대응하는 구체적 장소를 제안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렇다면 이러한 논의가 현대의 건축적 상황에 얼마만큼 유효한지 그리고 현대인의 생활방식에 적합한지를 버나큘러 건축의 특성들을 통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 마틴 라후와 게르노 밍케는 흙의 재료적인 특성에 대한 이해를 기본으로 하여 현대건축으로서의 가능성을 열어주었고 릭 조이의 작품은 지역과 기후에 어울리는 버나큘러적인 특성과 현대 디자인 언어를 잘 접목시킨 사례이다. 마지막으로 정기용 건축가의 작품에 담겨있는 우리 공동의 기억 속에 잊혀 가고 있는, 자연과 공존하는 흙건축의 가치를 살펴보고자 한다.
  • 본 논문은 버나큘러 이론을 토대로 한 흙건축의 현대성 구현을 위한 연구이다. 논문의 방법 및 절차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근대 건축운동에서 간과되었던 버나큘러적 시각을 재조명하기 위하여 시도된 것으로, 프램턴의 비판적 지역주의 이론을 근간으로 하여 버나큘러 건축의 표현 주제별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현대 흙건축의 버나큘러적 특성들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대표적인 현대 흙건축가 6명을 선정하여 그들의 작품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공통된 특징을 확인할 수 있었다.
  • 가 주로 활용한 전통적 기술은 흙다짐이다. 수백만 년 동안 모암(母岩)이 풍화와 침식을 거쳐 모래와 점토로 부서지는 광물의 순환과정처럼, 흙다짐 건축을 통해 흙이 다져져서 구축된 건축물이 해체되었을 때 다시 입자 상태로 부서져 최초의 흙으로 돌아가는 생태적으로 지속가능한 건축을 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그의 태도는 오스트리아 쉴링에 있는 주택에서 잘 나타나고 있다.
  • 과 특성을 살펴본 후 흙의 건축 재료적 가치와 근대건축의 조형언어를 잘 접목시킨, 20세기 이후의 대표적인 흙건축가 6명의 작품을 분석한다. 이 작품들에서 나타나는 버나큘러적 특성을 파악하여 흙건축이 지역성을 근간으로 한 지속가능한 현대 건축임을 증명하고자 한다.
  • 이상과 같이 프램턴의 비판적 지역주의는 촉각적이고 텍토닉한 형태를 통하여 근대건축운동에서 지향한 보편적 공간에 대응하는 구체적 장소를 제안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렇다면 이러한 논의가 현대의 건축적 상황에 얼마만큼 유효한지 그리고 현대인의 생활방식에 적합한지를 버나큘러 건축의 특성들을 통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 흙건축의 문화적, 예술적, 역사적 가치를 담아낸 전시회로 앞서 언급한 1964년 MoMA 전시회 ‘건축가 없는 건축’와 같이 흙을 소재로 한 각 대륙의 버나큘러 한 건축들이 소개되었는데 그 중 본 논문에서는 핫싼 파티와 앙드레 하베로 건축가의 작품을 분석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원시오두막이 대표적인 사례이다.24) 마틴 라후는 대부분의 작품에 빛을 경험하게 하는 공간을 디자인하고 있다. 이때 빛은 흙다짐벽의 거친 질감을 더욱 풍부하게 만들어 유리나 나무 대리석등 다른 부드러운 재료들과 대비를 통하여 공간 안에서 시각과 촉각을 자극하고, 원초적인 색채는 빛과 어울려 심미적으로 안정적인 공간을 제공한다.
  • 6) 구축적 형태는 일시적이거나 격식적이기 보다는 5) 장소의 특성에 의해 조심스럽게 형성된 영속적이며 전통적인 것으로, 실용적 강조보다는 주어진 시간과 장소 속에서 많은 사람의 공통된 사고와 감성을 표상해 내는 구체적인 형태와 형식의 일종으로 그 의미가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비판적 지역주의 건축으로서의 프램턴이 주장하는 세가지 범주는? 이러한 비판적 지역주의 건축으로서의 프램턴이 주장하는 세 가지 범주는 다음과 같다.4) 첫 번째, 공간(space)에 대비한 장소화(place-form)에 대한 주장이다. 그는 서구 유럽에서 60년대 이후의 도시계획에서 보여지는 단순 분배에 의한 토지이용계획이나 추상화된 공간이 장소를 잃게 만든 주요인이라고 비판하며 하이데거의 ‘spatium'과 ’raum'의 개념을 빌려와 공간의 대비를 통해 장소의 개념을 설명하고 있다. 또한 건설하다(building)라는 뜻이 거주(dwelling)하고 더 나아가 존재(being)하는 의미로 해석을 하며 건축은 인간에 의해 경험되어진 장소에 의해 가능하다고 설명하고 있다. 두 번째는 자연적인 요소들과 텍토닉한 형태다. 자연적인 요소란 지형, 맥락, 기후, 빛 등을 말하는데, 건물의 형태는 그 건물이 위치한 지형이 만들어진 역사와 문화적인 배경 등과 관련이 있고 궁극적으로는 기후와 빛의 정도와 직접적인 연관성이 있다. 따라서 그는 개구부를 어느 곳을 향하여 만들 것인가, 혹은 자연광을 어떻게 받아들일 것인가를 고려하면서 건물을 계획하는 것이 중요함을 강조한다. 텍토닉한 형태(tectonic form)란 중력의 작용에 저항하는 구조적 형태의 구문론으로, 단순히 건물의 구조적 뼈대를 드러내는 것과 는 비교된다. 즉 건물을 지지하는 기술적 수단뿐만 아니라 구조적인 것이 가능하게 되는 감성적이고 예술적인 실제(mythic reality)를 드러내는 것이 텍토닉한 형태다. 세 번째는 촉각적인 것이다. 프램턴은, 르네상스로부터 만들어진 퍼스펙티브 이론에 의한 시각적 합리성을 강조하는 전통이 오늘날 형태적 재현에 치중하는 경향을 가 져오게 했고, 이것은 건물을 경험하는 총제적인 감각을 잃게 하면서 건축을 이미지, 즉 시각적인 차원으로 축소하였다고 주장한다. 그에 대해 계단을 걷는다는 경험과 마감 재료에 대한 감각, 소리, 냄새, 무늬 등이 합쳐진 통합적 경험, 이런 촉각적인 것이 사람들이 잃어버린 ‘가까움’에 대한 것을 회복하게 해준다고 주장한다.
흙건축의 특징은? 과거, 현재를 통틀어 흙건축은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이 지어져 온 건축 양식이며, 다양한 문화의 특성을 담고 있는 가장 자연친화적인 건축방식이다. 한국에서 뿐만 아니라, 세계적으로도 근대주의 건축이후 대량 생산성과 기능성 우선의 건축이 각광 받으면서 흙건축은 많은 장점에도 불구하고, 현저하게 그 활용성을 인정받지 못했던 것도 사실이다.
국내 흙건축은 어떻게 형성되어 왔는가? 한편 우리나라는 전통적으로 흙을 건축에 중요한 요소로 활용해 온 민족임에도 일제의 강점기를 거치고, 한국 전쟁과 급속한 현대화를 거치는 과정에서 자체적인 흙건축의 진화과정을 마련하지 못하고 새로운 건축재료와 공법들에 의한 건설 우선의 건축문화가 형성되어 왔기 때문에, 흙건축은 단지 과거지향적인 토속성을 유지하는 전원주택이나, 재료의 특성만을 핵심가치로 활용하는 찜질방이나, 펜션 등의 부가요소로서 활용되거나, 또는 일부 건축가들이 고가의 시공비와에도 불구하고, 흙이 갖는 질감 자체만을 활용, 공간에서의 미학적인 선택 요소로서 돋보이기 위해 차용하는 흙다짐벽을 세우는 정도로 흙건축의 범주를 형성해 왔다. 이렇듯 몇몇 건축가들의 흙을 이용한 새로운 시도와 작품을 통한 현대적 해석 노력에도 불구하고, 흙이라는 요소가 단지 ‘토속적’, ‘과거적’인 재료로 대중들에게 각인되어 있는 인식의 문제 역시, 우리나라에서 흙건축이 현대적으로 진화할 수 있는 기회를 막고 있는 측면도 무시할 수 없는 현상이라고 볼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Jean Dethier, 'Des Architectures de terre', Paris, Centre George Pompidou, 1981. 

  2. Kenneth Frampton, 'Prospects for a critical regionalism', Prospecta: The Yale Architectural Journal, Vol 20, 1983. 

  3. Rick Joy, 'Rick Joy: desert works', New York, Princeton Architectural Press, 2002. 

  4. Sebastian Schutyser, 'Banco: mosquees en terre du delta interieur du fleuve Niger', Paris, 5 Continents, 2003. 

  5. Amos Rapoport, 이규목 역, 주거형태와 문화, 열화당, 1985. 

  6. Laetitia Fontaine, Romain Anger 공저, 김순웅, 조민철 역, 건축 흙에 매혹되다, 효형출판, 2012. 

  7. 香山壽夫, 김광현 역, 건축의장강의, 국제, 2008. 

  8. 김광배, 현상학이 건축이론에 미친 영향과 현상학적 건축설계 방법론의 가능성에 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v.23 n.12, 2007. 

  9. 김낙중, 루이스 칸 건축의 구축적 특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 박론, 1999. 

  10. 김순웅, 조성진, 최일, 마틴 라후 건축작품에서 나타나는 구축성에 관한 연구 : 흙건축의 생태적 특성을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29 n.12, 2013.12. 

  11. 김승범, 김광현, 케네스 프램턴의 비판적 지역주의가 지니는 한계점과 현대적 의의,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27 n.8, 2011.08. 

  12. 남성택, 이상진, 단순 구축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27 n.9, 2011.09. 

  13. 변태호, 전통의 현대적 계승과 장소의 신화,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v.6 n.1, 1997.03. 

  14. 임영환, 김광현, 지속가능한 건축의 계획적 연구 방향 탐침,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v.26 n.11, 2010.11. 

  15. 임영환, 지역주의 건축의 현대적 해석과 지속가능성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v.29 n.1, 2013.01. 

  16. 정기용, 흙건축-잊혀진 정신, 건축(대한건축학회지), v.36 n.3, 1992.05. 

  17. 황혜주, 흙건축, 씨아이알, 2008.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