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저소득층 주거지 공간적 특성을 고려한 공동체 회복
Community Recovery Considering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Shanty Towns 원문보기

LHI journal of land, housing, and urban affairs, v.7 no.2, 2016년, pp.97 - 102  

신행우 (세종대학교 한국스페이스신택스연구소) ,  김영욱 (세종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급격한 산업화와 개발 시대를 살아오면서 우리가 애써 외면하며 살아왔고, 각 개인에게 책임을 전가해 온 '이웃'의 문제들을 어떻게 할 것인가? 그 안에서 파생되는 여러 가지 사회적 문제들을 어떻게 할 것인가? 현대 도시에서 전통적 개념의 '마을'이 갖고 있는 장점들을 다시 회복할 수 있을까를 고민하는 것이 최근 우리의 중요한 관심사가 되고 있다. 서울시의 주력 사업 중 하나인 마을공동체사업은 주민 간 네트워크 형성에 목적을 두고 활발히 진행되고 있고 긍정적인 성과도 나타나고 있다. 마을 공동체를 회복하려는 노력에서 필요한 것 중 하나가 공간적인 접근을 통한 공동체성의 회복이다. 주민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는 것이 작지만 큰 효과를 가져 올 수도 있다. 가시적 접근성이 높은 공동체 공간은 주민들의 소통과 교류의 공간으로써 큰 효과를 보이는 사례를 찾아볼 수 있다. 급격한 사회변화를 거치면서 사라지거나 외면해 온 '소통과 생활공간으로서의 골목길'과 '마을'이 가지고 있었던 공간적 형태, 그 속에서 자신들의 삶을 공유하고 살았던 마을 사람들의 관계망을 제대로 이해하고, 이러한 공간적 특성을 반영할 수 있는 주거 공간 네트워크에 대한 연구와 실험 등을 통한 공동체 회복 노력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t has recently become a major concern for us contemplating could regain the advantage with a 'village' concept of the traditional in a modern city. The village community recovery project which is one of the flagship projects of seoul is being actively conducted with the aim to form a network betwe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대지는 다시 5m×5m 크기의 4개로 나누어 집을 짓고 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난곡은 어떤 곳인가? ‘난곡’은 1960년대부터 서울시 도심 정비사업 등으로 인해 쫓겨난 철거민들이 집단으로 이주하면서 만들어진 대표적인 저소득층 주거지이다. 주민들 대부분 단순 일용 노동직, 노점상 등으로 살았다.
집단 이주 정착지에서의 삶의 가장 큰 특징을 보여주는, 주거지 도로는 어떤 기능을 하는가? 집단 이주 정착지에서의 삶의 가장 큰 특징은 주거지 도로에서 나타난다. 주거지 내부의 도로는 통행을 위한 기능뿐만 아니라 생활용품이나 세탁물 등을 놓아두는 생활공간의 연장으로 이용된다는 사실이다.
영구임대 아파트 사업의 목적은 무엇인가? 저소득층에게 주택을 공급하겠다며 야심차게 시작된 영구임대 아파트 사업은 실제로 지금까지 주민들을 사회적으로 고립시키는 역할을 하는 경우가 많았다. ‘고립’은 실제로 다양한 사회적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김수현(2010), "도시빈민운동", 한국민주화운동사, 민주화운동사업회 한국민주주의연구소 편, 돌배개. 

  2. 노무라 모토유키(2013), 노무라 리포트: 청계천변 판자촌 사람들 1973-1976, 눈빛. 

  3. 녹색사회연구소, 성북주거복지센터, 주거권운동네트워크, 한국도시 연구소, 구가도시건축연구소(2009), 장수마을(삼선4구역) 대안개발계획 2차년도 보고서. 

  4. 박숙미(2002), "사라지는 서울의 마지막 달동네 난곡", 복지동향, 40호. 

  5. 서울시사편찬위원회(1996), 서울 600년사, 서울시. 

  6. 서울역사박물관(2012), 104마을: 중계본동 산 104번지. 

  7. 서울연구원(1996), 서울시 주택 개량 재개발 연혁 연구. 

  8. 양윤재(1998), "서울시 저소득층 불량주거지의 공간구조와 형태적 특성 : 구로4동 및 금호3가동을 중심으로", 불량주택 재개발론, 나남. 

  9. 정석(1999), 마을단위 도시계획 실현 기본방향(1): 주민참여형 마을만들기 사례 연구, 서울연구원. 

  10. 조은, 조옥라(2013), 도시빈민의 삶과 공간: 사당동 재개발지역 현장 연구,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11. 한국도시연구소(1998), 철거민이 본 철거. 

  12. 우리 동네 난곡, http://blog.ohmynews.com/nangok.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