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밤 과실의 저장온도 및 품종에 따른 품질 변화 비교
Comparison of Chestnut (Castanea spp.) Quality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Storage Temperatures and Cultivars 원문보기

韓國林學會誌 =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v.105 no.1, 2016년, pp.93 - 102  

주석현 (국민대학교 산림환경시스템학과) ,  김만조 (국립산림과학원 특용자원연구과) ,  김미숙 (국민대학교 산림환경시스템학과) ,  이욱 (국립산림과학원 특용자원연구과)

초록

본 연구는 우리나라 밤 주요재배 품종을 대상으로 저장온도($4^{\circ}C$, $-1^{\circ}C$) 및 품종에 따른 밤 과실의 저장 중 품질변화를 분석하였다. 저장기간(16주) 동안 밤 과실의 외피색, 경도, 당도, 부패율, 관능평가 등을 조사하여 품질변화 양상을 비교하였다. 저장기간 동안 외피색의 변화는 '축파(Tsukuba)'와 '석추(Ishizuchi)'가 적었던 반면 '이평(Riheiguri)'과 '대보(Daebo)'에서는 유의적으로 크게 나타났다. 저장 온도에 따른 밤 품종들의 외피색의 변화는 $4^{\circ}C$ 처리구보다 $-1^{\circ}C$ 처리구에서 적게 나타났다. 저장온도 $-1^{\circ}C$에서 품종에 따른 경도를 비교시 '유마(Arima)'와 '단택(Tanzawa)' 품종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가장 낮게 나타났다. 저장온도에 따른 밤 품종들의 경도를 비교하면 $4^{\circ}C$에 보관한 밤들의 경도가 $-1^{\circ}C$에 보관한 밤에서 보다 높게 나타났다. 저장기간 동안 당도가 가장 많이 증가한 품종은 '이평(Riheiguri)'이었고, '유마(Arima)'는 가장 적게 증가하였다. 저장기간 동안 당도는 저장온도 $4^{\circ}C$$-1^{\circ}C$ 모두 처리구에서 증가하였고, 저장온도 $-1^{\circ}C$처리구에서 더 많이 증가하였다. 부패율은 저장온도 $4^{\circ}C$ 처리구보다 $-1^{\circ}C$ 처리구에서 더 낮았으며, '석추(Ishizuchi)'와 '이평(Riheiguri)'의 부패율이 높았으나, '대보(Daebo)', '옥광(Okkwang)', '단택(Tanzawa)'은 낮게 나타났다. 관능평가의 경우, 식감과 단맛을 조사한 결과, '이평(Riheiguri)', '대보(Daebo)', '축파(Tsukuba)'는 단단한 식감과 강한 단맛을 나타낸 반면, '단택(Tanzawa)'은 다른 품종에 비해 상대적으로 식감이 물렀다. 저장기간 동안 '유마(Arima)'와 '옥광(Okkwang)'은 약한 단맛을 나타냈다. 식감은 저장온도 $4^{\circ}C$의 과실이 더 단단했으며, 단맛은 저장온도 $-1^{\circ}C$의 과실에서 더 높았다. 저장온도 $4^{\circ}C$에 저장한 밤의 식감이 우수하고 단단하여 $4^{\circ}C$는 1개월 이내 단기저장에 좋은 온도인 것으로 보이며, 4개월 이상 장기저장 시에는 $-1^{\circ}C$가 적합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 결과는 우리나라 밤 주요재배 품종의 수확 후 관리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 고부가가치 향상 및 임업 소득 증대에 기여될 것으로 전망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research was conducted for major cultivated chestnut (Castanea spp.) in Korea to compare chestnut quality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storage temperatures ($4^{\circ}C$ vs. $-1^{\circ}C$) and cultivars. Color, hardness, soluble solids content (SSC), rate of decay and sen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 주요 밤 재배품종 7종을 대상으로 저장온도(4℃, -1℃)에 따른 총 5가지의 품질변화(색, 경도, 당도, 부패율, 관능평가)를 구명하여 밤의 이용 가치를 높이고 생산자와 소비자에게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밤 저장 가능온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무엇인가? 일반적으로 밤 저장 가능온도는 저장고 규모, 수확 후전처리 과정, 적재량과 적재방법, 냉방기의 기계적 조건 등에 따라 상이하다. 보통 2~4°C의 저장은 2개월 정도 저장이 가능하며, -2 ~ -1°C의 저장은 6개월 정도 가능하다고 보고되었으며(Cecchini et al.
우리나라와 유럽은 밤을 이용한 풍습이 어떻게 다른가? , 2007). 마롱글라세, 밤 퓨레, 구운 밤 등을 선호하는 유럽과는 달리, 제사를 지내고 밤을 먹는 풍습이 있는 우리나라는 오랫동안 생밤을 주로 즐겨 먹었다. 이로 인하여 국내에서는 크기가 크고 당도가 높은 밤을 선호해왔다.
2015년 우리나라의 밤의 수출 규모는? 우리나라의 밤 연간 총 생산량은 59,465 톤이며, 생산액은 1,180억 원에 달한다. 수출규모는 10,555톤(생밤, 깐밤, 통조림, 냉동밤 합계: 약 2,320만 달러)으로전체 임산물 수출 실적의 12%를 차지하고 있으며, 중국 8,405톤(79.6%), 미국1,015톤(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Cecchini, M., Contini, M., Massantini, R., Monarca, D., and Moscetti, R. 2011. Effects of controlled atmospheres and low temperature on storability of chestnuts manually and mechanically harvested. Postharvest Biology and Technology 61: 131-136. 

  2. Cha, H.S., Lee, S.A., Kwon, K.H., Kim, B.S., Choi, D.J., and Youn, A.R. 2013. Effects of the initial storage temperature of a PA film-packaged muskmelon (Cucumismelo L.) during its storage.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20: 14-22 (in Korean). 

  3. Chenlo, F., Moreira, R., Chaguri, L., and Torres, M.D. 2009. Note. sugar, moisture contents, and color of chestnuts during different storage regimes. Food Science and Technology International 15: 169-178. 

  4. Cho, M.A., Hong, Y.P., Choi, J.W., Won, Y.B., and Bae, D.H. 2009. Effect of packaging film and storage temperature on quality maintenance of broccoli. Korean Journal of Hort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27: 128-139 (in Korean). 

  5. Choi, J.U., Lee, J.B., and Sohn, T.H. 1985. Study on the storage chestnut.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Agricultural Research Bulletins 3: 99-104 (in Korean). 

  6. Choo, N.Y. and Ahn, S.Y. 1995. Properties of chestnut starch and it//s gel. Korean Journal of Hort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27: 1017-1027 (in Korean). 

  7. Han, J.S., Chung, M.C., and Kim, S.R. 2007. Effects of storage conditions on qualities of buttercup squash (Kabocha). Korean Journal of Hort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39: 644-651. 

  8. Jermini, M., Conedera, M., Sieber, T.N., Sassella, A., Scharer, H., Jelmini, G., and Hohn, E. 2006. Influence of fruit treatments on perishability during cold storage of sweet chestnuts. Journal of the Science of Food and Agriculture 86: 877-885. 

  9. KFS (Korea Forest Service). 2015. Statistical yearbook of forestry. Korea Forest Service, Daejeon, Korea. (in Korean) 

  10. Kim, M.J. 2006. Chestnut cultivation and breeding in Korea: Part II. Journal of American Chestnut Foundation 10(2): 26-34. 

  11. Kim, D.J., Chung, M.J., Seo, D.J., You, J.K., Shim, T.H., and Choe, M. 2009. Change of constituent components in selected Korean chestnut (Castanea crenata S. et Z.) cultivars by different storage condition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38: 225-234. 

  12. Kim, M.J., Kim, S.C., and Hwang, M.S. 2007. New techniques of chestnut cultivation for competitiveness strengthen.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Seoul, Korea (in Korean). 

  13. Kim, M.J., Kim, S.C., and Lee, U. 2006a. Chestnut cultivars in Korea.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Seoul, Korea (in Korean). 

  14. Kim, M.J., Lee, U., Kim, S.C., Hwang, M.S., Kwon, Y.H., and Lee, M.H. 2006b. Postharvest nut quality, and changes of soluble solids content and kernel hardness during cold storage in Korean prevailing chestnut cultivars.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95: 672-679 (in Korean). 

  15. KPMA (Korea Postharvest Management Association). 2013. Proceeding: The role of postharvest in qualities of agricultural products required by the consumer. Seoul, Korea, 27-28 Jun. 2013 (in Korean). 

  16. Kwon, J.H., Choi, J.U., and Byun, M.W. 1998. Effect of storage temperature and humidity on the quality stability of chestnuts. Korean Journal of Hort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5: 7-12 (in Korean). 

  17. Mencarelli, F. 2001. Postharvest handling and storage of chestnuts.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http://www.fao.org/docrep/006/ac645e/ac645e00.HTM.). 

  18. Moscetti, R., Frangipane, M.T., Monarca, D., Cecchini, M., and Massantini, R. 2012. Maintaining the quality of unripe, fresh hazelnuts through storage under modified atmospheres. Postharvest Biology and Technology 65: 33-38. 

  19. Nha, Y.A. and Yang, C.B. 1996. Changes of constituent components in chestnut during storage. Korean Journal of Hort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28: 1164-1170 (in Korean). 

  20. Nha, Y.A. and Yang, C.B. 1997. Changes of lipids in chestnut during storage.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29: 437-445. 

  21. Nomura, K., Ogasawara, Y., Uemukai, H., and Yoshida, M. 1994. Change of sugar content in chestnut during low temperature storage. Acta Horticulturae 398: 265-276. 

  22. Ozdemir, M. and Devres, O. 1999. Turkish hazelnuts: Properties and effect of microbiological and chemical changes on quality. Food Reviews International 15: 309-333. 

  23. Park, M.Y., Choi, H.S., Cho, Y.S., Cho, H.S., Kim, E.S., Jeong, B.J., Na, Y.K., Kuk, Y.I., and Jung, S.K. 2012. Effect of temperature on short-term storage pomegranate fruit qualit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rnational Agricultue 24: 337-341 (in Korean). 

  24. Park, S.W., Ko, E.Y., Lee, M.R., and Hong, S.J. 2005. Fruit quality of 'York' tomato as influenced by harvest maturity and storage temperature. Korean Journal of Hort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23: 31-37 (in Korean). 

  25. Shin, D.H., Bae, J.S., and Bae, K.S. 1982. Studies on the preservation of Korean chestnuts.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11(3): 41-46 (in Korean). 

  26. Wang, G., Liang, L., and Yang, X. 2008. Effects of low $O_2$ or high $CO_2$ concentrations on the quality changes of Chinese chestnut (Castanea mollissima Blume) during cold storage. Acta Horticulturae 768: 349-358. 

  27. Washington, W.S., Allen, A.D., and Dooley, L.B. 1997. Preliminary studies on Phomopsis castanea and other organisms associated with healthy and rotted chestnut fruit in storage. Australasian Plant Pathology 26: 37-43. 

  28. Xu, J.S. 2005. The effect of low-temperature storage on the activity of polyphenol oxidase in Castanea henryi chestnuts. Postharvest Biology and Technology 38: 91-98. 

  29. Yim, H., Kim, C.O., Shin, D.W., and Suh, K.B. 1980. Study on the storage of chestnut. Korean Journal of Hort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12: 170-175 (in Korean). 

  30. Yun, H.J., Lim, S.Y., Hur, J.M., Jeong, J.W., Yang, S.H., and Kim, D.H. 2007. Changes of functional compounds in, and texture characteristics of, apples, during post-irradiation storage at different temperatures.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14: 239-246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