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크런치 운동 시 부수적인 기합 기법과 청각적 격려 적용이 정상인의 복부 근육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 무작위 대조 예비 연구
Influence of the Supplementary Ki-hap Technique and Verbal Encouragement on Abdominal Muscle Activation during Crunch Exercise in Healthy Subjects: A Pilot Randomized Controlled Trial 원문보기

대한물리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hysical medicine, v.11 no.2, 2016년, pp.53 - 62  

김형근 (고려대학교 일반대학원 보건과학과) ,  김창용 (고려대학교 보건과학연구소 생체역학 및 운동재활실험실) ,  강정현 (고려대학교 일반대학원 보건과학과) ,  김형동 (고려대학교 보건과학과 보건환경융합과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 supplementary Ki-hap technique and verbal encouragement on the activation of abdominal muscles during performance of crunch exercise in healthy subjects. METHODS: 93 subjects were randomly allocated to three group, crunch exerci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20대 성인을 대상으로 크런치 운동(crunch exercise)만을 적용한 군, 대상자가 크런치 운동을 수행하면서 기합을 동시에 적용한 군, 그리고 크런치 운동을 수행하면서 대상자가 기합과 동시에 측정자가 청각적 격려를 적용한 군간의 복부 근육인 복직근, 외복사근 그리고 내복사근 및 복횡근의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이 연구는 복부의 근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적용되는 크런치 운동 시에 청각적 격려를 적용한 군간의 복부 근육인 복직근, 외복사근 그리고 내복사근 및 복횡근의 근활성도를 비교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 하지만 기합 적용의 효과에 대해서 확실한 증거는 부족한 실정이며, 특히 임상 현장에서 복부 근력을 증진시키기 위한 치료적인 기법으로써 연구되거나 제시되고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20대 성인을 대상으로 크런치 운동(crunch exercise)만을 적용한 군, 대상자가 크런치 운동을 수행하면서 기합을 동시에 적용한 군, 그리고 크런치 운동을 수행하면서 대상자가 기합과 동시에 측정자가 청각적 격려를 적용한 군간의 복부 근육인 복직근, 외복사근 그리고 내복사근 및 복횡근의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이 연구는 복부의 근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적용되는 크런치 운동 시에 청각적 격려를 적용한 군간의 복부 근육인 복직근, 외복사근 그리고 내복사근 및 복횡근의 근활성도를 비교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 본 연구에서 대상자가 크런치 운동을 수행할 시에 심기 향상 기법으로 사용되는 기합과 청각적 격려를 동시에 적용하여 복부 근육의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운동을 수행하는 주체가 직접 소리를 내는 것을 기합이라 하고, 반면에 청각적 격려는 또 다른 심기 향상 기법이자 일종의 외적 되먹임(extrinsic feedback)으로써 수행 결과에 대해 제 3자가 “잘했어” 또는 “계속해”와 같은 구두 칭찬이나 명령을 통해 운동을 수행하는 주체에게 적용하여 운동 수행자로 하여금 경각심과 함께 운동 수행 능력을 향상시킨다(Brody 등, 2000).
  • 더불어 정량적인 자료와 명확한 근거를 밝힌 연구도 제시되고 있지 않다. 이에 본 연구는 기합 적용의 효과를 뒷받침하는 근거를 제시하고 정량적인 자료를 얻고자 20대의 건강한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근전도 장비를 이용하여 기합적용 유무와 청각적 격려에 따른 복부 근육의 활성도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 결과, 모든 근육에서 대상자가 크런치 운동을 수행하면서 기합을 동시에 적용한 군이 다른 두 군에 비해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근활성도가 증가하게 나타났고, 크런치 운동을 수행하면서 대상자가 기합과 동시에 측정자가 청각적 격려를 적용한 군이 크런치 운동만을 적용한 군에 비해 외복사근과 내복사근 및 복횡근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근활성도가 증가하게 나타났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크런치 운동이 무엇에 유용한가? 위의 이유로 근활성도의 수준을 아는 것과 마찬가지로 대근육과 소근육의 근활성 비율을 아는 것은 중요하다. 이와 같이 복부 근육을 단련시키기 위해 다양한 복부 근육 운동이 사용되는데, Kim과 Kim (2015)의 연구에 의하면 크런치 운동이 다른 복부 근육 운동보다 복직근(rectus abdominis), 외복사근(external oblique) 그리고 내복사근(internal oblique) 및 복횡근(transversus abdominis) 을 활성화하는데 유용하다고 보고하였다. 한편 대근육(global muscle)인 복직근과 외복사근이 소근육(local muscle)인 내복사근 및 복횡근에 비해 과한 근활성도를 보일 경우 척추의 높은 부하를 생성하여 통증을 유발시키며(Richardson 등, 1999), 이로 인해 추간판의 압력을 높인다고 하였다.
심기향상 기법이란 무엇인가? 운동을 하는 도중 혹은 무거운 물건을 나르는 등의 작업 현장에서부터 아침에 기지개를 펴는 단순한 동작에 이르기까지 우리는 근력을 필요로 하는 여러 가지 활동을 수행하며 의식하거나 무의식적으로 고함을 외치게 되는 경우가 종종 있다. 이와 같이 각성수준(arousal level)과 자신감(self-confidence)을 올려 운동수행능력을 향상시키는 기술을 서양에서는 심기향상 기법(psyching-up)이라고 부르며(Perkins 등, 2001), 고함을 지르거나 끙 앓는 소리(grunting)를 내는 등의 호흡 기술을 통해 기를 내뿜는 것을 심기향상 기법 전략 중 하나로 여긴다(Tedeschi, 2000). 또한 국내에서는 이러한 고함 소리를 기합(Ki-hap)이라고 하고(Kang와 Yun, 2001), 강한 힘을 필요로 하는 운동을 하거나 무도를 수련할 때 집중력 향상과 더불어 심리적으로 더 높고 강한 힘을 발휘할 때 사용된다(Kim, 2004).
근력 향상 측면에서 기합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가설로 무엇이 있는가? 이전의 연구들을 통해 아직 기합이 정확히 어떠한 기전으로 운동능력을 향상시키는지 밝혀지지 않았지만, 근력 향상 측면에서 기합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몇 가지 가설들을 적용해볼 수 있다. 첫째, 기합이 심리적인 측면에서 경각심의 향상과 자신감의 상승으로 근력향상에 도움을 준다(Brody 등, 2000; Hardy 등, 1996). 둘째, Brody 등(2000)은 신경 생리학적 측면에서 중추신경계의 신경세포에서부터 근육섬유세포의 마이오신과 액틴까지 전체적인 움직임 과정에 영향을 준다고 보고하였다. 즉, 중추신경계에서 운동단위 동원률, 동기화, 그리고 발화율을 증가시킴으로써 근육막의 흥분을 증가시키고, 더 많은 아세틸콜린과 칼슘이 분비되어 액틴과 마이오신의 결합을 촉진시킨다고 보고하였다(Brody 등, 2000). 실제로 Welch와 Tschampl (2012)의 연구에 따르면, 기합의 유무에 따라 악력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 정상인이 기합을 사용하지 않았을 때보다 사용하였을 때 악력이 8% 증가하였으며, 무술 수련자의 경우 기합을 사용하였을 때 악력이 5%가 증가되었다고 보고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Andreacci JL., Lemura LM, Cohen SL, et al. The effects of frequency of encouragement on performance during maximal exercise testing. J Sports Sci. 2002;20(4): 345-52. 

  2. Bang HS. The Effects of Lumbar Stabilization Exercise on Muscle Activity and Isokinetic Muscle Strength of Female Patients with Chronic Low Back Pain. J Korean Soc Phys Med. 2015;10(2):63-71. 

  3. Boyd LA, Winstein CJ. Impact of explicit information on implicit motor-sequence learning following middle cerebral artery stroke. Phys Ther. 2003;83(11):976-89. 

  4. Brody EB, Hatfield BD, Spalding TW, et al. The effect of a psyching strategy on neuromuscular activation and force production in strength-trained men. Res Q Exerc Sport. 2000;71(2):162-70. 

  5. Chi zhang, John H.L. Hansen. Analysis andClassification of speech Mode: Whisperd Through Shouted. 8th Annual Conference of the International Speech Communication Association, Interspeech, 2007:4(4): 2396-9. 

  6. Cho SH, Kim JH, Choi MH. The Effect of Short-term Lumbar Stabilization Exercise for Lumbar Muscle Strength and Postural Balance on Chronic LBP. J Korean Soc Phys Med. 2013;8(3):295-302. 

  7. Cram JR, Kasman GS, Holt J. Electrode placement. Introduction to Surface Electromyography. Gaithersburg, MD: Aspen Publishers: 2000;237-383. 

  8. Faul F, Erdfelder E, Lang AG et al. G*Power 3: a flexible statistical power analysis program for the social, behavioral, and biomedical sciences. Behav Res Methods. 2007:39(2):175-91. 

  9. Hardy L, Jones JG, Gould D. Understanding psychological preparation for sport: Theory and practice of elite performers. John Wiley & Sons Inc. 1996:43-72. 

  10. Hodges PW. Is there a role for transversus abdominis in lumbo-pelvic sability. Man Ther. 1999;4(2):74-86. 

  11. Hwang BJ, Kim JW. Effects of Lumbar Stabilization Exercise on Lumbar and Lower Extremity Strength of the Elderly women. J Korean Soc Phys Med. 2011; 8(3):267-75. 

  12. Jeong IS, Oh CH, Lee DJ, et al. A Study on H-reflex Change and MVIC Change Depending upon Shouting Type. Kor J of Sport Biomecha. 2009;19(4):655-61. 

  13. John EK, Beith ID. Can activity within the external abdominal oblique be measured using real-time ultrasound imaging? Clin Biomech (Bristol, Avon). 2007;22(9): 972-9. 

  14. Juker D, McGill S, Kropf P, et al. Quantitative intramuscular myoelecric activity of lumbar portions of psoas and the abdominal wall during a wide variety of tasks. Med.Sci.Sports Exerc.1998;30,301-10. 

  15. Kang KH, Yun JK. The Effects of shouting on Motor Neural Adaptation and Maximum Isometric Contraction. Kor J of Sports Sci. 2001;12(4):85-98. 

  16. Kim CY, Kim HD. The Effect of Supplementary Shouting Technique on Muscle Activity to Rectus Abdominis and External Oblique During Crunch Exercise in Healthy Subjects. J Kor Phys Ther. 2015:27(1):1-6. 

  17. Kim YS. What does Ki-hap mean to trainers in martial arts. KAHPERD. 2004;43(3):41-5. 

  18. Klein RG, Eek BC. Low-energy laser treatment and exercise for chronic low back pain: double-blind controlled trial. Arch Phys Med Rehabil. 1990;71(1):34-7. 

  19. Lee GW, Yoon TL, Kim KS et al. EMG Activity of Abdominal Muscle During Lumbopelvic Stabilization Exercises. Phys Ther Korea. 2014;21(2):1-7. 

  20. Ng JK, Kippers V, Richardson CA. Muscle fiber orientation of abdominal muscles and suggested surface EMG electrode positions. Electromyogr Clin Neurophysiol. 1997;38(1):51-8. 

  21. Norris CM. Abdominal muscle training in sport. Br J Sports Med. 1993;27(1):19-27. 

  22. O'Sullivan PB, Twomet L. Allison GT. Altered abdominal muscle recruiment in patient with chronic back pain following a specific exercise intervention. J Orthop Sports Phys Ther. 1998;27(2):114-23. 

  23. Perkins D, Wilson GV, Kerr JH. The effects of elevated arousal and mood on maximal strength performance in athletes. J Appl Sport Psychol. 2001;13:239-59. 

  24. Richardson CA, Hides JA, Wilson S, et al. Lumbo-pelvic joint protection against antigravity forces: motor control and segmental stiffness assessed with magnetic resonance imaging. J Gravit Physiol. 2004;11(2): 119-22. 

  25. Richardson CA, Jull G, Hodes J. Theraputic exercises for spinal segmental stabilization in low back pain. London Churchill Livingston. 1999:992-1001. 

  26. Stokes IA, Henry SM, Single RM. Surface EMG electrodes do not accurately record from lumbar multifidus muscles. Clin Biomech (Bristol,Avon). 2003;18(1): 9-13. 

  27. Tedeschi M. Hapkido: Traditions, Philosophy, Technique. Trumbull, CT: Weatherhill Inc. 2000;188-93. 

  28. Welch AS, Tschampl M. Something to shout about: a simple, quick performance enhancement technique improved strength in both experts and novices. J Appl Sport Psychol. 2012;24(4):418-2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