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농촌노인의 허약상태가 건강 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낙상예방 효능감과 사회적 지지에 의한 매개효과와 조절효과 분석
Effects of Frailty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Rural Community-dwelling Elderly: Mediating and Moderating Effects of Fall-Related Efficacy and Social Support 원문보기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v.27 no.4, 2016년, pp.380 - 387  

최경원 (한국교통대학교 간호학과) ,  전경숙 (목포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and moderating effects of fall-related efficacy and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railty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rural community-dwelling elderly. Methods: A cross-sectional survey was conducted with a co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기존연구에서 노인의 ‘낙상예방 효능감’ 및 ‘사회적 지지와 관계망’은 허약과 건강 관련 삶의 질 각각에 주요 관련요인으로 확인된 바에 기초할 때, 이들 ‘낙상예방 효능감’ 및 ‘사회적 지지 및 관계망’이 허약과 삶의 질의 관련성에도 관여할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낙상예방 효능감 및 사회적 지지가 노인의 허약 및 건강 관련 삶의 질 사이에서의 기전(매개 효과 또는 조절효과)를 확인함으로써 노인의 허약을 예방하고 삶의 질을 향상하는데 있어서 다각적 중재방안 및 중재지점에 대한 근거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농촌노인을 대상으로 허약과 건강 관련 삶의 질의 관련성을 파악하고 이들 관계에 있어서의 낙상예방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 효과 및 조절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농촌노인의 허약상태는 건강 관련 삶의 질에 매우 중요한 요인으로 확인되었으며 ‘낙상예방 효능감’은 허약의 건강 관련 삶의 질에의 영향을 부분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는 농촌노인의 허약, 건강 관련 삶의 질, 낙상예방 효능감과 사회적 지지의 수준을 확인하고, 궁극적으로는 허약과 건강 관련 삶의 질의 관계에서 ‘낙상예방 효능감’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및 조절효과를 탐색하기 위해 실시된 서술적 단면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결과, 노인허약이 건강 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 낙상예방 효능감의 매개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낙상예방 효능감의 조절효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 및 조절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수동적인 사회적 지지보다는 본인 스스로의 역량을 증진시키는 적극적인 중재가 건강 관련 삶의 질을 향상시킨다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향후 농촌노인을 위한 허약 프로그램에서 낙상예방 효능감이 핵심적으로 포함되어야 할 근거를 제공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허약의 악순환 고리를 끊고 건강 관련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위한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 본 연구는 전라남도 일개 군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농촌 노인을 대상으로 하여 노인허약이 건강 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서 낙상예방 효능감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및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농촌노인의 허약연구와 이들 예방을 위한 접근 및 중재의 요구가 크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농촌 노인을 대상으로 허약과 건강 관련 삶의 질의 수준 및 이들의 관련정도를 확인하고 허약과 건강 관련 삶의 질 사이에 낙상예방 자기효능감 및 사회적 지지가 어떻게 관계되는지를 탐색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허약의 의미와 부정적인 면은? 고령사회로의 진입과 함께 허약은 노인의 주요 보건문제로 부상되었으며 노인건강상태를 나 타내는 주요지표 중 하나가 되었다[3]. 허약은 노화에 의해 전반적인 기능이 저하되고 생리적인 예비능력이 감소하여 외부 스트레스에 적절히 대응하지 못하는 취약한 상태로서[4] 수행할 수 있는 활동의 범위와 양이 제한되어 장기적으로는 신체장애, 장기요양, 사망 등의 부정적 결과를 초래한다[5]. 따라서 최근 국내 ․ 외 연구에서 허약과 건강 관련 삶의 질의 관련성의 연구가 축적되고 있으며 이들 연구결과는 일관되게 허약은 노인의 삶의 질에 주요 결정요인임을 제시하고 있다[7,8]
건강 관련 삶의 질의 의미는? 건강 관련 삶의 질은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건강에 대한 개인의 주관적 태도와 경험을 반영하는 다차원적인 개념으로서 기능적 상태에 대한 개인 스스로가 내리는 평가의 의미와 함께 기능 수준에 대한 개인의 만족도 포함하고 있다[1]. 따라서 건강 관련 삶의 질은 그 자체로도 중요한 변수일 뿐만 아니라, 노인의 일상적 기능과 안녕상태 평가에 유용하고 장기요양기관 입원, 사망률 등을 예측할 수 있어 건강서비스 요구에 대한 추정이 가능하므로 건강증진 프로그램 계획 및 보건정책 수립에 있어서도 중요한 지표이다[2].
농촌노인을 대상으로 허약이 건강 관련 삶의 질에 대한 연구결과를 해석함에 있어 제한점으로는? 본 연구결과를 해석하는 데 있어 다음의 제한점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먼저, 한 개 군에 거주하는 노인들만을 대상으로 하였으므로 전국 농촌노인으로 확대 해석하는데 한계가 있다. 둘째, 단면연구이므로 허약과 건강 관련 삶의 질, 낙상예방 효능감과 사회적 지지간의 인과적 관계를 명확히할 수 없다. 셋째, 본 연구의 대상자는 지역사회 거주노인으로 거동이 제한되거나 허약측정이 불가한 노인 등은 제외하였으므로 허약의 유병 수준이 실제보다 낮게 추정되었을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 사용한 사회적 지지 도구인 ESSI는 국내 ․ 외에서 전문가를 통해 내용타당도는 확인되었으나, 인구 대상 조사를 통한 적용타당성은 조사하지 못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orgaonkar MR, Irvine EJ. Quality of life measurement in gastrointestinal and liver disorders. Gut. 2000;47(3):444-454. http://dx.doi.org/10.1136/gut.47.3.444 

  2.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Measuring healthy days: Population assessment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Georgi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00. 40 p. 

  3. Wong TH, Nguyen HV, Chiu MT, Chow KY, Ong MEH, Lim GH, et al. The low fall as a surrogate marker of frailty predicts long-term mortality in older trauma patients. PLoS ONE. 2015; 10(9):1-14. http://dx.doi.org/10.1371/journal.pone.0137127 

  4. Abellan van Kan G, Rolland Y, Bergman H, Morley JE, Kritchevsky SB, Vellas B. The I.A.N.A. task force on frailty assessment of older people in clinical practice. Journal of Nutrition Health Aging. 2008;12(1):29-37. http://dx.doi.org/10.1007/bf02982161 

  5. Bergman H, Ferrucci L, Guralnik J, Hogan DB, Hummel S, Karunananthan S, et al. Frailty; An emerging research and clinical paradigm: Issues and controversies. Journal of Gerontology Series A: Biological Sciences and Medical Sciences. 2007;6(7):731-737. http://dx.doi.org/10.1093/gerona/62.7.731 

  6. Jeon GS, Cho SH. Prevalence and social correlates of frailty among rural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Journal of the Korean Geriatrics Society. 2014;18(3):143-152. http://dx.doi.org/10.4235/jkgs.2014.18.3.143 

  7. Meredith CM, Glenn VO, Kenneth JO. Frailty, mortality and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in older Mexican Americans. Journal of American Geriatric Society. 2010;58(11):2149-2153. http://dx.doi.org/10.1111/j.1532-5415.2010.03146.x 

  8. Masel MC, Graham JE, Reistetter TA, Markides KS, Ottenbacher KJ. Frailty and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in older Mexican Americans. Health and Quality of Life Outcomes. 2009;7:1-7. http://dx.doi.org/10.1186/1477-7525-7-70 

  9. Kim SY, Sohn S. Factors related to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in rural elderly women.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2012;14(2):91-98. http://dx.doi.org/10.4069/kjwhn.2009.15.2.99 

  10. Stretton CM, Latham NK, Carter KN, Lee AC, Anderson CS. Determinants of physical health in frail older people: The importance of self-efficacy. Clinical Rehabilitation. 2006;20(4):357-366. http://dx.doi.org/10.1191/0269215506cr946oa 

  11. Lee HK, Cho SH, Kim JH, Kim YK, Choo HI. Influence of self efficacy, social support and sense of community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for middle-aged and elderly residents living in a rural communit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4;44(6):608-616. http://dx.doi.org/10.4040/jkan.2014.44.6.608 

  12. Tinetti ME, Mendes de Leon CF, Doucette JT, Baker DI. Fear of falling and fall-related efficacy in relationship to functioning among community-living elders. Journal of Gerontology. 1994;49(3):M140-M147. http://dx.doi.org/10.1093/geronj/49.3.m140 

  13. Garcia EL, Banegas JR, Perez-Regadera AG, Cabrera RH, Rodriguez-Artalejo F. Social network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older adults; A population-based study in Spain. Quality of Life Research. 2005;14(2):511-520. http://dx.doi.org/10.1007/s11136-004-5329-z 

  14. Ma L, Li Y, Wang J, Zhu H, Yang W, Cao R, et al. Quality of life is related to social support in elderly osteoporosis patients in a chinese population. PLoS One. 2015;10(6):1-10. http://dx.doi.org/10.1371/journal.pone.0127849 

  15. Jeon KS, Park SJ, Jang SN. The relationship between frailty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Korean elderly. Journal of Korean Geriatrics of Society. 2012;16(4):175-183. http://dx.doi.org/10.4235/jkgs.2012.16.4.175 

  16. Statistics Korea. 2015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internet]. Seoul: Statistics Korea. 2016 [cited 2016 September 15]. Available from: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2/1/index.board?bmoderead&aSeq356061 

  17. Statistics Korea. 2010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internet]. Seoul: Statistics Korea. 2011 [cited 2016 September 15]. Available from: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2/1/index.board?bmoderead&aSeq247687 

  18. Kim DJ, Yoon SM, Lee SH, Na BJ, Park JH. Community resources organization plan for the health promotion of rural and fishery inhabitants. Research Report. Seoul: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2 November. Report No.: 978-89-8187-000-0 93510. 

  19. Hwang HS, Kwon IS, Park BJ, Cho B, Yoon JL, Won CW.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Korean frailty index. Journal of the Korean Geriatrics Society. 2010;14(4):191-202. http://dx.doi.org/10.4235/jkgs.2010.14.4.191 

  20. Greenberg SA. How to try this; The geriatric depression scale: Short form. The American Journal of Nursing. 2007;107(10):60-69. 

  21. Powell LE, Myers AM. The activities-specific balance confidence (ABC) scale. Journal of Gerontology. 1995;50A(1):M28-M34. http://dx.doi.org/10.1016/s0004-9514(05)70033-7 

  22. Jang SN, Cho SI, Ou SW, Lee ES, Baik HW.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Korean fall efficacy scale (FES) and activities-specific balance confidence scale (ABC). Journal of the Korean Geriatrics Society. 2003;7(4):255-268. 

  23. Mitchell PH, Powell L, Blumenthal J, Norten J, Ironson G, Pitula CR, et al. A short social support measure for patients recovering from myocardial infartion: The ENRICHD Social Support Inventory. Journal of Cardiopulmonary Rehabilitation and Prevention. 2003;23(6):398-403. http://dx.doi.org/10.1097/00008483-200311000-00001 

  24. Baron RM, Kenny DA. The moderator 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1986:51(6):1173-1182. 

  25. Moon SS, Nam JJ. Health status of elderly in Korea: Focus on physical health and disability of elderly women.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001;21(1):15-29. 

  26. Kim JY, Lee SG, Lee SK.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behaviors, health status,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in the elderly.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010;30(2):471-484. 

  27. Kameyama K, Tsutou A, Fujino H.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and higher-level functional capacity in elderly women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Journal of Physical Therapy Science. 2016;28(4):1312-1317. http://dx.doi.org/10.1589/jpts.28.1312 

  28. Li F, Fisher KJ, Harmer P, McAuley E, Wilson NL. Fear of falling, elderly persons: Association with falls, functional ability, and quality of life. Journal of Gerontology. 2003;58B(5):283-290. http://dx.doi.org/10.1093/geronb/58.5.p283 

  29. McAuley E, Blissmer, B. Self-efficacy determinants and consequences of physical activity. Exercise and Sport Sciences Reviews. 2000;28(2):85-88. 

  30. Fernandez A, Garcia-Alonso J, Royo-Pastor C, Garrell-Corbera I, Renqel-Chica J, Aqudo-Ugena J, et al. Effects of the economic crisis and social support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First wave of a longitudinal study in Spain. The British Journal of General Practice. 2015;65(632):e198-203. http://dx.doi.org/10.3399/bjgp15X68402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