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교대근무와 수면시간이 우리나라 임금근로자의 대사증후군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hift Work and Hours of Sleep on Metabolic Syndrome in Korean Workers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v.25 no.2, 2016년, pp.96 - 107  

박현주 (강원대학교 춘천캠퍼스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hift work and hours of sleep on metabolic syndrome in Korean workers. Methods: This study used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data of 2014. The study included 1,579 Korean workers aged over 20. $x...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실제로, 교대근무와 대사증후군 연구에 관한 문헌고찰을 한 연구에서, 기존 연구 중 수면시간을 보정한 상태에서 교대근무와 대사증후군의 관계를 살펴본 연구가 많지 않음을 지적하면서, 향후 연구에서 수면시간을 포함하여 연구를 해야 한다는 지적을 하였다(Canuto, Garcez, & Olinto, 2013).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교대근무가 대사증후군 위험을 높이는지에 관해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 수면시간을 포함한 상태에서 주간근무 자에 비해 교대근무자의 대사증후군 위험이 유의하게 높은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수면시간 이외에 일반적 특성과 직업적 특성 역시 포함하여 살펴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사증후군이란? 대사증후군은 높은 혈당, 복부 비만, 고혈압, 고중성지방혈 증, 저고밀도지단백혈증 중 3가지 이상이 동반되어 나타나는 것을 일컫는다(Eckel, Grundy, & Zimmet, 2005). 미국의 국가 수준 조사자료(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NCEP-ATP III (National Cholesterol Education Program-Adult Treatment Panel III) 가 제시한 대사증후군 정의를 이용했을 때, 2003~2004년 대 사증후군 유병률이 32.
대사증후군의 예방과 치료가 중요함을 알 수 있는 근거는? 대사증후군은 높은 혈당, 복부 비만, 고혈압, 고중성지방혈 증, 저고밀도지단백혈증 중 3가지 이상이 동반되어 나타나는 것을 일컫는다(Eckel, Grundy, & Zimmet, 2005). 미국의 국가 수준 조사자료(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NCEP-ATP III (National Cholesterol Education Program-Adult Treatment Panel III) 가 제시한 대사증후군 정의를 이용했을 때, 2003~2004년 대 사증후군 유병률이 32.9%에 2011~2012년 34.7%로 증가하고 있음이 보고되어 대사증후군에 대한 예방과 치료가 중요함을 알 수 있다(Aguilar, Bhuket, Torres, Liu, & Wong, 2015). 또한 우리나라의 2008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통해 분석된 남 ․ 녀근로자의 대사증후군 유병률도 21.
교대근무자와 주간근무자의 대사증후군 차이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이유는? 물론, 주간근무자와 교대근무자의 대사증후군 위험이 유의하지 다르지 않다는 연구결과도 존재한다. 여성근로자 1,838명 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연령, 흡연여부, 음주, 교육수준, 근무시간을 보정한 상태에서 주간근무자와 야간근무자 사이에 대사증후군 유병 위험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는 결과가 보고 되었고(Chen, Lin, & Hsiao, 2010), 다른 변수들은 보정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교대근무 여부와 대사증후군의 관련성을 살 펴보았을 때 유의한 관계를 찾을 수 없다는 결과도 보고되었다 (Copertaro, Bracci, Barbaresi, & Santarelli, 2008). 또한, 현재의 교대근무 여부가 대사증후군과 유의한 관계가 있었으나, 연령, 교육수준, 운동, 음주, 흡연, 불면증을 보정한 상태에서는 더 이상 유의하지 않았다는 보고도 있었다(Puttonen et al., 20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Aguilar, M., Bhuket, T., Torres, S., Liu, B., & Wong, R. J. (2015). Prevalence of the metabolic syndrome in the United States, 2003-2012. Journal of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313(19), 1973-1974. http://dx.doi.org/10.1001/jama.2015.4260 

  2. Canuto, R., Garcez, A. S., & Olinto, M. T. (2013). Metabolic syndrome and shift work: A systematic review. Sleep Medicine Review, 17(6), 425-431. http://dx.doi.org/10.1016/j.smrv.2012.10.004 

  3. Chen, J. D., Lin, Y. C., & Hsiao, S. T. (2010). Obesity and high blood pressure of 12-hour night shift female clean-room workers. Chronobiology International: The Journal of Biological and Medical Rhythm Research, 27(2), 334-344. http://dx.doi.org/10.3109/07420520903502242 

  4. Choi, E. S. (2006). The metabolic syndrome and associated risk factors among male workers in an electronics manufacturing company.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Environmental Medicine, 18(1), 35-45. 

  5. Copertaro, A., Bracci, M., Barbaresi, M., & Santarelli, L. (2008). Assessment of cardiovascular risk in shift healthcare workers. European Journal of Cardiovascular Prevention and Rehabilitation, 15(2), 224-229. http://dx.doi.org/10.1097/HJR.0b013e3282f364c0 

  6. De Bacquer, D., Van Risseghem, M., Clays, E., Kittel, F., De Backer, G., & Braeckman, L. (2009). Rotating shift work and the metabolic syndrome: A prospective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Epidemiology, 38(3), 848-854. http://dx.doi.org/10.1093/ije/dyn360 

  7. Do, K., Jung, H., & Choi, E. (2015). Association between job-related factors and metabolic syndrome among male and female workers: using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tudy.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4(1), 39-47. http://dx.doi.org/10.5807/kjohn.2015.24.1.39 

  8. Eckel, R. H., Grundy, S. M., & Zimmet, P. Z. (2005). The metabolic syndrome. Lancet, 365, 1415-1428. http://dx.doi.org/10.1016/S0140-6736(09)61794-3 

  9. Ha, M., & Park, J. (2005). Shiftwork and metabolic risk factors of cardiovascular disease.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47(2), 89-95. 

  10. Karlsson, B., Knutsson, A., & Lindahl, B. (2001). Is there an association between shift work and having a metabolic syndrome? Results from a population based study of 27485 people. Occupational & Environmental Medicine, 58(11), 747-752. http://dx.doi.org/10.1136/oem.58.11.747 

  11. Kim, N. H., Shin, D. H., Kim, H. T., Jeong, S. M., Kim, S. Y., & Son, K. Y. (2015). Associations between metabolic syndrome and inadequate sleep duration and skipping breakfast.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36(6), 273-277. http://dx.doi.org/10.4082/kjfm.2015.36.6.273 

  12. Kim, Y. H., Park, R. J., Park, W. J., Kim, M. B., & Moon, J. D. (2009). Predictors of metabolic syndrome among shipyard workers and its prevalence. Korean Journal of Occupation and Environmental Medicine, 21(3), 209-217. 

  13. Ko, D., Park, B., & Seok, G. (2013). Relation of health promotion behaviors and metabolic syndrome in daytime workers.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 8(12), 1941-1947. 

  14. Kobayashi, D., Takahashi, O., Deshpande, G. A., Shimbo, T., & Fukui, T. (2011). Relation between metabolic syndrome and sleep duration in Japan: A large scale cross-sectional study. Internal Medicine, 50(2), 103-107. 

  15. Lin, Y. C., Hsiao, T. J., & Chen, P. C. (2009). Persistent rotating shiftwork exposure accelerates development of metabolic syndrome among middle-aged female employees: A five-year follow-up. Chronobiology International: The Journal of Biological and Medical Rhythm Research, 26(4), 740-755. http://dx.doi.org/10.1080/07420520902929029 

  16. Lyou, J. Y., Kim, C. H., Hong, S. W., Lee, S. Y., & Kim, D. W. (2012, November).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by occupational groups in Korean workers. Paper presented at the fall conference of the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 Environmental Medicine, Byunsan, Korea. 

  17.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ffairs &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4). The sixth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I-2). Retrieved February 10, 2015, from https://knhanes.cdc.go.kr/knhanes/index.do 

  18. National Cholesterol Education Program (NCEP) Expert Panel on Detection, Evaluation, and Treatment of High Blood Cholesterol in Adults (Adult Treatment Panel III). (2002). Third report of the National Cholesterol Education Program (NCEP) expert panel on detection, evaluation, and treatment of high blood cholesterol in adults (Adult Treatment Panel III) final report. Circulation, 106, 3143-3421. 

  19. National Sleep Foundation. (2015). National sleep foundation recommends new sleep durations. Retrieved May 19, 2015, from https://sleepfoundation.org/media-center/press-release/national-sleep-foundation-recommends-new-sleep-times 

  20. Pietroiusti, A., Neri, A., Somma, G., Coppeta, L., Iavicoli, I., Bergamaschi, A., et al. (2010). Incidence of metabolic syndrome among night-shift healthcare workers. Occupational & Environmental Medicine, 67, 54-57. http://dx.doi.org/10.1136/oem.2009.046797 

  21. Puttonen, S., Viitasalo, K., & Harma, M. (2012). The relationship between current and former shift work and the metabolic syndrome. Scandinavian Journal of Work, Environment, & Health, 38(4), 343-348. http://dx.doi.org/10.5271/sjweh.3267 

  22. World Health Organization, Western Pacific Region. (2000). The Asia-Pacific perspective: Redefining obesity and its treatment. Health Communications Australia Pty Ltd. Retrieved February 10, 2015 from http://www.wpro.who.int/nutrition/documents/docs/Redefiningobesity.pdf 

  23. Yoon, B. J. (2016). Differential effects on self-rated health by socioeconomic class. Journal of Health Informatics and Statistics, 41(1), 35-42. http://dx.doi.org/10.21032/jhis.2016.41.1.3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