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대학생의 체질량지수와 영양지식 및 건강증진행위와의 관계
The Relationships between Body Mass Index, Nutrition Knowledge and the Health Promotion Behavior of Nursing Students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v.18 no.2, 2016년, pp.87 - 93  

김수올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between body mass index, nutritional knowledge and the health promotion behavior of nursing students. Methods: Participants consisted of the entire 330 members of the student body of a Korean nursing college. Variables included body mass in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현재까지 국외 간호대학생의 건강증진행위와 관련된 선행연구로는 흡연[17], 영양상태[18], 간호교육[19]에 관해 이루어지고 있고, 국내 간호대학생의 건강증진행위와 관련된 선행연구로는 지각된 건강상태[6], 체질량지수[20], 건강통제위[21], 임상실습 스트레스와 삶의 질[22]에 대한 연구가 시도되었으나 건강증진행위와 체질량지수, 영양지식과의 관계를 규명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체질량지수, 영양지식과 건강증진행위를 파악하고 이들 간의 관련성을 규명하여 간호대학생의 건강증진 행위를 효과적으로 개선하기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건강증진을 위한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무엇인가 최근 건강에 대한 의식의 변화와 건강관리 비용의 상승으로 많은 사람들은 일상생활 속에서 자신의 안녕수준을 증진시키고자하는 건강증진행위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1]. 건강증진을 위한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생활방식을 변화시키거나 평소 예방적인 건강생활을 실천함으로써 건강을 유지하는 것이다[2]. 청년기는 건강습관이 확고히 형성되지 않아 건강행위의 수정이 가능하고, 질병에 대한 이환율이 낮고, 기본적인 건강 상태가 좋으므로 건강증진을 위한 생활방식으로 건강행위를 확고히 형성하기에 적합하다[3].
청년기의 특징은 무엇인가 건강증진을 위한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생활방식을 변화시키거나 평소 예방적인 건강생활을 실천함으로써 건강을 유지하는 것이다[2]. 청년기는 건강습관이 확고히 형성되지 않아 건강행위의 수정이 가능하고, 질병에 대한 이환율이 낮고, 기본적인 건강 상태가 좋으므로 건강증진을 위한 생활방식으로 건강행위를 확고히 형성하기에 적합하다[3]. 그러나 청년기에 속하는 대학생 시기는 신체, 정 신, 사회적 관계의 상호작용을 매우 빠르게 이루어 가는 역동적인 이행기에속하며, 자신의  건강에 대한 책임감을 가지게 되나 불건강한 습관과 행동 때문에 건강을 해치기쉽다[4].
식습관 및 생활습관의 문제점에 의해서 여자 대학생들과 남자 대학생들은 건강에 어떤 문제가 나타났는가 대학생들은 증가된 자유시간과 다양한 활동에 참여하는 기회가 많아져[5], 불규칙적인 식사, 부적절한 간식 등으로 신체적, 심리적 건강상태에 좋지 않은 영향과 바람직하지 못한 식습관 및 생활습관의 문제점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6]. 또한, 영상매체, 광고 매체 등 매스미디어의 영향으로 외적 체형에 대한 아름다움의 기준을 마른 몸매로 삼는 사회문화적인 경향으로[7], 여자 대학생들은 정상체중 이하의 마른 체형을 매력 있는 이상형으로 받아들이고 선호하여[8] 정상 체질량 지수 범위에 포함되지만 스스로를 비만으로 인식하고 있다[9]. 그 결과, 여자 대학생들은 무리한 다이어트로 인해 저체중, 다이어트의 반복에 의한 요요현상을 동반한 비만, 골다공증, 영양부족, 빈혈, 생리불순, 대인기피증, 심리적 불안과 우울증 등 심각한 부작용이 나타나고 있고[10], 남자 대학생들은 음주와 흡연, 과도한 저녁식사 및 빠른 식사속도 등으로 인한 대사 장애, 수면장애, 우울 및 비만 등 건강에 문제가 나타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9,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Choi SR. The factors that affect health promotion lifestyle if nurse [master's thesis]. Seoul: Kyunghee University; 2006. p. 1-60. 

  2. Burton LC, Steinwachs DM, German PS. Preventive serves for the elderly; would coverage affect utilization and costs under medicare?.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1995;85:378-391. 

  3. Yu EK, Kim MH, Kim TK. A study of the relationship among health promoting behaviors, climacteric symptoms and depression of middle-aged wom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1999;29(2):225-237. 

  4. Lee RL, Loke AJ. Health promoting behaviors and psychosocial well-being of university students in Hong Kong. Public Health Nursing. 2005;22(3):209-220. 

  5. Kim MJ, Kim KH, Kim HY. A study on nutrition knowledge, dietary habits and lifestyle of male and female university students in deajeon.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2013;22(6):701-709. 

  6. Yeon JY, Hong SH, Bae YJ. A study on nutritional status and dietary quality of university students by body image.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2012;17(5):543-554. 

  7. Kim HJ. The effects of sociocultural attitudes toward appearance, appearance satisfaction, body-image, and self-esteem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Society Nursing Education. 2012;8(1):62-70. 

  8. Duggan SJ, McCreary DR. Body image, eating disorders, and the drive for muscularity in gay and heterosexual men: the influence of media images. Journal of Homosexuality. 2004;47(3-4):45-58. 

  9. Kang GS. The body mass index, body image recognition, weight control behavior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2;13(8):3492-3499. 

  10. Choi SH. A study of correlation among eating habit, health habit, and nutrition education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with normal weight [master's thesis]. Jinju: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2013. p. 1-53. 

  11. Chin JH, Chang KJ. College students’ attitude toward body weight control, health-related lifestyle and dietary behavior by self-perception on body image and obesity index.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2005;34(10):1559-1565. 

  12. Choi KS, Shin KO, Huh SM, Chung KH. Comparison of nutritional and physical status according to the residental type among college women in seoul women’s university and sahmyook university. Korean Journal Nutrition. 2010;43:86-96. 

  13. Park KH. The relationship between awareness of health eating and dietary intake of middle school male students [master's thesis]. Seoul: Kuk-min University; 2006. p. 1-62. 

  14. Chen SN. Tseng J. Body mass index, nutrient intakes, health behaviours and nutrition knowledge: A quantile regression application in Taiwan. Health Education Journal. 2010;69:409-426. 

  15. Clement M, Jankowski LW, Bouchard L, Perreault M, Lepage Y. Health behaviors of nursing students: a longitudinal study.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2002;41(6):257-265. 

  16. Hong SH.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health status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s among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Society Nursing Education. 2013;19(1):78-86. 

  17. Hensel D. Relationships among nurses' professional self concept, health, and lifestyles. Western Journal of nursing Research. 2011;33(1):45-62. http://dx.doi.org/10.1177/0193945910373754 

  18. Canadian Nursing Students' Association. Self-care Practices among Nursing Students [Internet]. Canada; Canadian Nursing Students' Association: 2009 Jan [cited 2009 Jan 31]. Available from: http://aeic.ca/english/publications/policies-and-position-statements/position-statements/self-care-practices-among-nursing-students. 

  19. Hosseini M, Ashktorab T, Taghdisi MH, Vardanjani AE, Rafiei H. Health-promoting behaviors and their association with certai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nursing students of Tehran City in 2013. 2015;7(2):264-272. 

  20. Yu SJ, Lee KS, Kim JH, Lim KC, Park JS. Health promotion behavior according to body mass index and self-perception of body weight in female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Biological Nursing Science. 2014;16(1):60-68. 

  21. Kim R, Park IS.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locus of control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s in the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06;12(2):162-169. 

  22. Lee MS, Kim KS, Cho MK, Ahn JW, Kim SO. Study of stress, health promotion behavior, and quality of life of nursing students in clinical practice and factors associated with their quality of life. Journal of Muscle Joint Health. 2014;21(2):125-134. http://dx.doi.org/10.5953/JMJH.2014.21.2.125 

  23. Korea Society for the Study of Obesity. Korea Society for the Study of Obesity Fact Sheet: Obesity, Diseases Barometer [Internet]. Seoul: Korea Society for the Study of Obesity; 2013 Apr [cited 2013 Apr 20]. Available from: http://www.kosso.or.kr/board/download.php?codegeneral&comm&num778&fielddata_file. 

  24. Kim KW, Shin EM, Moon EH. A study on fast food consumption, nutritional knowledge, food behavior and dietary intake of university student. Journal of the Korean Dietetic Association. 2004;10(1):13-24. 

  25. Walker SN, Sechrist KR, Pender NJ. The health-promoting lifestyle profile: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characteristics. Nursing Research. 1987;36(2):76-81. 

  26. Lee EH, Lee KS, So AY, Smith-Stoner M. Scale development: the personal power of health care (PPHC). Journal of Korean Academy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10;16(1):129-139. 

  27. Son HS. Nutritional knowledge, dietary habits and dietary self-efficacy of child care major students in daegu.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2011;21(1):14-23. 

  28. Kang HJ, Byun KW. Effect of two-year course of food and nutrition on improving nutrition knowledge, dietary attitudes and food habits of junior college female students.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2010;15(6):750-759. 

  29. Choi MK, Kim MH, Lee YS, Cho HK, Kim KH, Lee BB, et al. Relation between obesity indices and, nutritional knowledge nutritional status and blood parameters in obese middle-school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2005;34(2):181-189. 

  30. Park IS, Kim R, Park MH. A study of factors influencing health promoting behaviors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Society Nursing Education. 2007;13(2):203-211.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