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연산자 | 기능 | 검색시 예 |
---|---|---|
() |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연산자 | 예1) (나노 (기계 | machine)) |
공백 | 두 개의 검색어(식)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나노 기계) 예2) 나노 장영실 |
| | 두 개의 검색어(식)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줄기세포 | 면역) 예2) 줄기세포 | 장영실 |
! | NOT 이후에 있는 검색어가 포함된 문서는 제외 | 예1) (황금 !백금) 예2) !image |
* | 검색어의 *란에 0개 이상의 임의의 문자가 포함된 문서 검색 | 예) semi* |
"" | 따옴표 내의 구문과 완전히 일치하는 문서만 검색 | 예) "Transform and Quantization" |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Alzheimer's disease (AD) is a neurodegenerative disorder in which neuronal loss causes cognitive decline and other neuropsychiatric problems. It can be diagnosed based on history, examination, and appropriate objective assessments, using standard criteria such as the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or the National Institute of Neurological and Communicative Disorders and Stroke and the Alzheimer's Disease and Related Disorders Association (NINCDS-ADRDA). Brain imaging and biomarkers are making progress in the differential diagnoses among the different disorders. The cholinesterase inhibitors, donepezil, rivastigmine and galantamine and N-methyl-D-aspartate receptors antagonist memantine are approved by the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or AD. Recently some acetylcholinesterase inhibitors gained approval for the treatment of severe AD and became available in a higher dose formulation or a patch formulation. Optimal care in AD is multifactorial and it should include early diagnosis and multidisciplinary care with pharmacological and nonpharmacological interventions including exercise interventions, cognitive interventions and maintenance of social networks.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본 논문은 알츠하이머병의 최근 진단적 변화와 그 의미에 대해 검토해보고 약물적, 비약물적 치료의 최신 동향에 대해 살펴 봄으로써, 진료현장에 도움이 되고 향후 연구 디자인을 위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galantamine | galantamine 제제의 효과는 무엇인가? |
Galantamine은 아세틸콜린분해효소 억제제의 효과 뿐만 아니라 전시냅스(presynapse)의 nicotine 수용체를 자극하여 allosteric modulation 기능도 가졌다고 보고되고 있다. 인지기능에 대한 효과는 donepezil, rivastigmine과 비슷하다고 보고되고 있다.
2001년 galantamine tablet 제제가 경도 및 중등도의 알츠하이머병의 치료에 승인을 받았으며 2006년도에는 서방형 제제(extended-release formulation)를 추가적으로 승인을 받았다. Galantamine은 아세틸콜린분해효소 억제제의 효과 뿐만 아니라 전시냅스(presynapse)의 nicotine 수용체를 자극하여 allosteric modulation 기능도 가졌다고 보고되고 있다. 인지기능에 대한 효과는 donepezil, rivastigmine과 비슷하다고 보고되고 있다. |
알츠하이머병 | 알츠하이머병이란 무엇인가? |
콜린성 신경세포수가 줄어들며 인지기능 저하를 보이는 만성 퇴행성 뇌 질환
알츠하이머병은 콜린성 신경세포수가 줄어들며 인지기능 저하를 보이는 만성 퇴행성 뇌 질환이다. 알츠하이머병은 전체 치매의 원인질환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어 치료 약물 임상시험 및 임상연구가 많이 이루어져 왔으며, 임상 현장에서 가장 많이 접하게 되는 질환이다. |
타우 단백질 | 타우 단백질은 어떤 단백질인가? |
신경세포 골격을 유지하는 데 필요한 microtubule을 이루는 단백질 중 하나
최근에는 알츠하이머병의 새로운 약물 치료 타깃으로 타우 단백질(tau protein)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타우 단백질은 신경세포 골격을 유지하는 데 필요한 microtubule을 이루는 단백질 중 하나이다. 알츠하이머병에서는 타우 단백질이 과인산화(hyperphosphorylation)되고 그로 인해 microtubule과 친화성이 떨어져 신경세포 내에서 해리된다. |
원문 PDF 다운로드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원문복사서비스 안내 바로 가기)
DOI 인용 스타일
"" 핵심어 질의응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