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농업경영체 등록정보를 활용한 농업직불제 소득효과 분석
A Evaluation of Direct Payment on Agricultural Income effect using Farm Manager Registration Information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7 no.5, 2016년, pp.195 - 202  

한석호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채광석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정부는 시장개방에 따른 농가의 경영불안정을 완화하고 농가소득보전을 위해 다양한 형태의 직접지불제를 운용하고 있다. 그러나 농업부문의 직불제는 농업정책의 중심으로 농가소득 안정화의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핵심적인 정책수단으로 자리잡고 많은 예산이 지출됨에도 불구하고 직불금 수급실태와 소득안정기여도 등 정책효과에 대한 분석이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농식품부의 2014년과 2015년의 농업경영체 D.B.를 이용하여 직불금 농가단위 실태분석, 시사점을 도출하고, 제도의 성과평가를 시도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평균 거시지표를 활용한 농업분석 등 기존의 연구 틀에서 벗어나, 경영체 DB를 활용하여 농가단위 제도의 성과평가를 시도하고 시사점을 도출한 것이 특징이라 할 수 있다. 직불금 수급실태와 성과평가를 시도한 결과, 직불금 수급액 분포가 정상분포곡선보다 왼쪽으로 많이 치우친 것을 알 수 있었다. 2014년 농업경영체DB에 의하면 전체 농업경영체의 약 절반 수준인 49.3%의 농가가 연간 10만 원도 안 되는 직불금을 수령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농규모가 클수록 소득증대효과와 소득안정화효과 모두 크게 나타났는데, 이는 면적에 비례해서 직불금이 높았기 때문이다. 고령농업경영체일수록 직불금에 의한 농가소득 기여도가 높게 나타난 점은 장점으로 평가되나, 영농규모가 0.5ha미만의 소규모 농가의 직불금의 농가소득 기여도가 3% 수준에 불과한 반면, 10ha이상의 대규모 농가의 직불금 농가소득 기여도가 29.4%로 높게 분석되었다. 대규모 농가는 소규모 농가보다 농업소득은 10배 차이인데, 직불금 수급액은 110배를 더 받는 것으로 분석되어, 향후 직불제도 정책개선 및 수정이 요구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government has run and managed various forms of direct payment systems, such as the paddy and field direct payment, to ease the instability of farm incomes with respect to market opening, and preserve farm income. Direct payments to the agricultural sector is a center in the key policy instrume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농식품부의 2014년과 2015년의 농업경영체 DB를 이용하여 쌀소득등보전직불제와 밭농업직불제의 농가단위 실태분석과 특징, 시사점을 도출하고 제도의 성과평가를 시도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통계청에서 조사한 농가경제 자료를 모집단 구간별(ex, 연령별, 영농규모별 등) 농업소득 자료로 대체하고, 농업경영체 DB상 직불제 자료를 활용하여 구간별 소득효과를 살펴보았다. 농업소득에 대한 경영규모별 직불금의 소득효과는 규모가 클수록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 평균만을 이용한 소득수준 증대효과는 소득의 평균함수를 추정하는 방법이 있으나, 이러한 접근볍은 선택적 변이(selection bias)로 인한 정책효과의 식별문에서 자유롭지 못하다([3], [4]). 따라서 일차 적률인 평균과 이차 중심 적률인 분산의 개념을 이용하여 직불금의 소득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여기서 μi는 직불금을 포함한 2년 평균 농가소득이고, μf는 직불금을 제외한 2년 평균 농가소득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정부는 시장개방에 따른 농가의 경 영불안정을 완화하고 농가 소득 보전을 위해 무엇을 하는가? 정부는 시장개방에 따른 농가의 경영불안정을 완화하고 농가소득보전을 위해 쌀소득등보전직불제, 밭농업직불제 등 다양한 형태의 직접지불제를 운용하고 있다. 
농업부문의 직불제는 농업정책에서 어떤 의미인가? 현재 농업부문의 직불제는 농업정책의 중심으로 농가소득 안정화의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핵심적인 정책수단으로 많은 예산이 지출되고 있다. 특히, 쌀소득보전직불제의 경우 지금까지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현재 직불제도 정책에서 지적될 만한 문제점은 무엇이 있는가? 지금까지의 분석결과에 대한 시사점은 현재 직불금 지원규모가 작아 소득 안정 등 정책목표달성에 불충분할수 있으며, 직불금이 논과 쌀에 과도하게 집중되고, 대부분의 직불금이 면적에 비례하여 지급되는 현재의 구조에서는 직불금 지원분야와 대상에 대한 형평성 문제가지적될 수 있다. 따라서 타작목과의 형평성과 쌀 공급과잉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밭직불금 단가를 쌀 직불제 수준으로 인상하여 농가의 작목전환을 용이하게 할 필요가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9)

  1. Kim, K.S, An, D.W, Lee, T.H, The Direct Rice Income Compensation Payment Program and Its Effects on the Demand of Farmland Rental Markets,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ECONOMICS, 34(2): 264-289. 2007 

  2. Min, S.H, Kim, K.S, Park. J.K, An, D.W, An Evaluation of the Effects of Rice Income Compensation Payment Program on Farm Income by Farm Type,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ECONOMICS, 56(4): 51-70. 2015 

  3. Park. J.K, A Reoport for 2014 FTA domestic complement on agricultural support measures and analysis,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2015 

  4. Park. J.K, A Status and Policy Issues on Farm management stabilization support system operating status,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2014 

  5. Sakong, Y, Measuring the Degree of Decoupling of Direct Payment Program - An Evaluation of Simulations Considering the Different Production Costs among Farms,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ECONOMICS, 48(1): 1-22. 2007 

  6. Seo, J.S, Lee, T.H, Kim, K.S, Im, J.B, An, D.W, A Study for Customized Management Stabilization Plan by Farm Type,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ECONOMICS, 2014 

  7. Lee, Y.K, Direct Payments Program in Korea's Rice Industry and Decoupling,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ECONOMICS, 46(4): 215-233. 2005 

  8. Lee, Y.K, Production and Imcome Effects of Direct Payments Program for Rice Industry,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ECONOMICS, 47(2): 51-67. 2006 

  9. Lee, C.S, Yang, S.R, The Effects of Rice Income Direct Payment Program by Scenario,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ECONOMICS, 49(3): 29-52. 200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