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추출용매에 따른 다릅나무 수피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Stem bark of Maackia amurensis Extract according to extraction Solvent 원문보기

大韓本草學會誌 = The Korea journal of herbology, v.31 no.3, 2016년, pp.43 - 48  

김경선 (중부대학교 한방제약과학과) ,  장준복 (중부대학교 한방제약과학과) ,  도은수 (중부대학교 한방제약과학과) ,  길기정 (중부대학교 한방제약과학과) ,  유지현 (중부대학교 한방제약과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stem bark of Maackia amurensis extract.Methods : Stem bark of Maackia amurensis extract were prepared using 70% methanol. Methanol extracts were fractionated to 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butyl alco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와 같이 다릅나무는 예로부터 약용으로 이용되어왔고, 과학적으로 다양한 생리활성(항산화, 항암, 부인병)등의 효과가 알려져 있는 것3)으로 사료되지만 관련 연구는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연구는 항산화 활성을 중심으로 다릅나무 수피를 음건 후 분쇄하여 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및 butyl alcohol 등의 용매를 이용하여 분획한 후 각 분획물에 대한 항산화 활성 확인하여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생체 부작용이 없고 활성 산소를 제거하여 질병예방 및 노화 억제에 효과가 있으며, 항산화력이 강한 천연 항산화제를 동 ․식물로부터 찾으려는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1, 19). 본 연구에서는 다릅나무 수피의 Methanol 농도별 조건을 탐색 한 후 hexane, CHCl3, EtOAc, BuOH, water로 분획하여 각 분획물 중에 어떤 분획물의 항산화 효능이 가장 뛰어난지를 검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Lee MH, Kim JM, Park EJ. Antioxidant and Antigenotoxic Effects of Sansuyu Fruit (Corni fructus) Extracted with Water at Different Temperatur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11 ; 40 : 149-155. 

  2. Han SH, Kim DH, Kim GN, Lee JC. Changes on Growth, Photosynthesis and Pigment contents of the Maackia amurensis and Viburnum opulus var. calvescens under Enhanced Temperature and CO2 Concentration.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2011 ; 13 : 115-122. 

  3. Kim WJ, Lee HJ, Lee SK, Kang HY, Choi DH, Choi TH. Studies on Biological Activity of Wood Extractives(ⅩⅧ)-Isolation and Antioxidant Activity of Chemical Constituents From Maackia amurensis Mokchae Konghak.. 2007 ; 35 : 135-144. 

  4. Li X, Wang D. Xia MY, Wang ZH, Wang WN, Cui Z. Cytotoxic Prenylated Flavonoids from the stem Bark of Maackia amurensis. Chem. Pharm. Bull. 2009 ; 57 : 302-306. 

  5. Komissarenko AN, Kovalev VN, Komissarenko NF. Isoflavonoids of the Bark and Leaves of Maackia amurensis. Chemistry of Natural Compounds. 1994 ; 30 : 288-290. 

  6. Kulesh NI, Maksimov OB, Denisenko VA, Glazunov VP. Isoflavonoids from Heartwood of Maackia amurensis RUPR. ET MAXIM. Chemistry of Natural Compounds. 2001 ; 37 : 26-28. 

  7. Kulesh NI, Vasilevskaya NA, Veselova MV, Denisenko VA, Fedoreev SA. Minor Polyphenols from Maackia amurensis wood. Chemistry of Natural Compounds. 2008 ; 44 : 575-577. 

  8. Li X, Wang D, Xia MY, Wang ZH, Wang WN, Cui Z. Cytotoxic Prenylated Flavonoids from the stem Bark of Maackia amurensis. Chem. Pharm. Bull. 2009 ; 57 : 302-306. 

  9. Folin O, Denis W. A colorimetric method for determination of phenols(phenol derivatives) in urine. J. Biol. Chem. 1915 ; 22 : 305-308. 

  10. Dewant V, Xianzhong W, Liu RH. Processed sweet corn has higher antioxidant activity. J. Agric. Food Chem. 2002 ; 50 : 4959-4964. 

  11. Blois MS.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958 ; 26 : 1199-1120. 

  12. Re R, Pellegrini N, Proteggente A, Pannala A, Yang M, Rice-Evans C.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Free Radic. Biol. Med. 1999 ; 26 : 1231-1237. 

  13. Cho IS, Han YH, Lee GY, Park KY. Search for medicinal plants on improvable effect of intestinal microflora.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2007 ; 15 : 26-29. 

  14. Kang BH. Superintendence of Korean resource plant. Seoul : Richvanilla. 2014 : 12-16. 

  15. Choe SY, Yang KH. Toxicological studies of antioxidants, butylated hydroxytoluene (BHT) and Butylated hydroxyanisole(BHA). Koraen J. Food Sci. Technol. 1982 ; 14 : 283-288. 

  16. Kang IH, Cha JH, Lee SW, Kim HJ, Kwon SH, Ham IH, Hwang BS, Whang WK. solation of Anti-Oxidant from Domestic Crataegus pinnatifida Bunge Leaves. Kor. J. Phamacogn. 2005 ; 36 : 121-128. 

  17. Chang SS, Matatijasevic BO, Hsieh OAL, Hwang CH. Natural antioxidants rosemary and sage. J. Food Sci. 1977 ; 42 : 1102. 

  18. Schafer E, Arnrich L. Effects of dietary vitamin E on serum and pulmonary fatty acid as prostaglandins in rats fed excess linoleic acid. J. Nutr. 1984 ; 144 : 1130. 

  19. Doh ES, Chang JP, Kil KJ, Choi MS, Yang JK, Yun CW, Jeong SM, Jung YH, Lee GH. Antioxidative activity and cytotoxicity of fermented Allium victorialis L. extract. Korea J. Plant Res. 2011 ; 2 : 30-39. 

  20. Kim HY, Jun BS, Kim SK, Cha JY, Cho YS. Polyphenolic compound content and antioxidative by extracts from seed sprout and flower of safflower(Carthamus tinctorius L.).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00 ; 29 : 1127-1132. 

  21. Ainsworth EA, Gillespie KM. Estimation of total phenolic content and other oxidation substrates in plant tissues using Folin-Ciocalteu reagent. Nat. Protoc. 2007 ; 2 : 875-877. 

  22. Lee JH, Jhoo JW. Antioxidant Activity of Different Parts of Lespedeza bicolor and Isolation of Antioxidant Compound. Korean J. Food Sci. Technol. 2012 ; 44 : 763-771. 

  23. Middleton E, Kandaswami C. Potential health-romoting properties of citrus flavonoids. Food Techoni. 1994 ; 48 : 115-119. 

  24. Lee JN, Kim HE, Kim YS. Anti-diabetic and Anti-oxidative Effects of Opuntia Humifusa Cladod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14 ; 45 : 661. 

  25. Kim HK, Kim YE, Do JR, Lee YC, Lee BY. Antioxidative activity and physiological activity of some Korean medicinal pla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1995 ; 27: 80-85. 

  26. Cherdshewasart W, Sutjit W. Correlation of antioxidant activity and major iso- flavonoid contents of the phytoestrogen-rich Pueraria mirifica and Pueraria lobata tubers. Phytomedicine. 2008 ; 15 : 38-43. 

  27. Choi Y, Jeong HS, Lee J. Antioxidant activity of methanolic extracts from some grains consumed in Korea. Food Chem. 2007 ; 103 : 130-13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