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등학생의 리듬 재산출 능력과 인지기능 수준 간 상관관계
Correlation Between Rhythm Reproduction Task Performance and Cognitive Function in School-Aged Children 원문보기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Journal of music and human behavior, v.13 no.1, 2016년, pp.1 - 18  

오소영 (한빛초등학교) ,  정현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음악치료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아동의 리듬 수행 능력인지 능력 간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평균 연령 9세의 초등학생 59명을 대상으로 iPad 기반 리듬 수행 검사, 숫자 외우기 검사(DST), 아동 색선로 검사(CCTT), 키보드를 활용한 자가탭핑 검사를 진행하였다. 검사 결과, 리듬 재산출의 정확도(accuracy)를 측정하는 리듬 수행 검사 1단계 10개 문항은 자가탭핑 평균속도(s)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리듬 수행 검사 2단계에서 측정하는 그룹핑(grouping) 능력은 CCTT 검사 결과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특히 문항 특성에 따른 결과를 분석한 결과 일정한 리듬이 두 번 이상 연속으로 반복되어 제공되는 리듬꼴의 정확한 수행은 자가탭핑 속도와 부적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분할박이 많은 리듬꼴의 리듬 수행력은 CCTT, 즉 집행기능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리듬 재산출 과제가 초등학교 학령기 아동인지 기능 검사 결과와 유의한 상관관계에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아동이 산출하는 자가탭핑 속도, 즉 내적 리듬 특성이 인지 기능과 상관관계에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학령기 아동의 리듬 수행력과 관련된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 이러한 리듬수행력이 인지 기능의 측정 지표가 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를 통해 추후 리듬꼴의 특징 및 리듬 과제의 난이도에 따른 리듬 수행력이 학령기 아동의 인지적, 정서행동적, 음악적 특성을 다각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가능성 또한 제언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rhythm reproduction performance and cognitive function of school-aged children. A total of 59 third grade elementary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 iPad-based rhythm reproduction task, the Digit Span Test (DST), the Children's Color Trails Te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2013) 리듬꼴 분석 및 리듬 복잡성에 따른 아동의 집행기능 수준과 리듬 수행 단계는 확인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초등학교 3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리듬 수행 능력과 인지 능력의 상관관계 비교를 통해 해당 아동의 리듬 수행 능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리듬 수행 능력을 정확성과 리듬 그룹핑으로 구분하여 측정하고, 개인의 내적 리듬 특성(자가탭핑)을 통한 기본박 유지능력(time keeping)과 비음악적 인지기능(작업기억과 집행기능)과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 또한 본 연구에서는 타 검사 결과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인 리듬 문항을 보다 구체적으로 분석함으로써, 리듬꼴에 따른 리듬 재산출 수행력과 인지 기능 간 관계를 찾고자 하였다. CCTT 검사 결과와 유의한 상관결과를 보인 문항은 1단계 9번과 2단계 4, 6, 7번 문항이었고, DST 검사 결과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인 문항은 2단계 7번이었다.
  • 또한 아동용 색 선로 검사(children’s color trail test: 이하 CCTT), 숫자 외우기 검사(digit span test: 이하 DST)를 통해 인지 능력을 측정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또한 리듬 재산출 과제 수행력과 인지검사 결과 간 상관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는 [Table 4]에 제시되어 있다.

가설 설정

  • 1. 초등학생의 자가탭핑 과제 시 측정되는 개인 내적 리듬 특성과 리듬 수행 능력 간 상관관계가 있는가?
  • 2. 초등학생의 리듬 재산출 능력과 집행기능을 측정하는 색 선로 검사 점수 간에는 상관관계가 있는가?
  • 3. 초등학생의 리듬 재산출 능력과 작업기능을 측정하는 숫자폭검사 점수 간에는 상관관계가 있는가?
  • 4. 리듬패턴별 리듬 재산출 능력과 인지기능검사 점수 간에는 상관관계가 있는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리듬 재산출 과제가 인지 기능 측정에 적합한 이유는? 실제 리듬 재산출 과제는 인지 기능 측정에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리듬 재산출 과정은 시공간 능력 및 단기 기억력에 영향을 받아 청각 정보를 재구조, 부호화하는 과정을 거치기 때문이다(Ashcraft, 1998; Deutsch, 1999; Duerksen & Chong, 2013; Kalat, 1984; Parmentier et al., 2004; Radocy & Boyle, 2001; Ryan, 1969).
리듬 수행 과제와 인지 관련 연구에서 상향식 처리과정은 무엇과 관련이 있는가? , 2009). 상향식 처리과정은 1000분의 1초 (millisecond) 수준에서의 정확한 리듬 연주와 관련이 있고(Holm et al., 2011, 2013), 하향식 처리과정은 주로 리듬 수행 과제 시 반응 시간(reaction time)과 집행기능(executive function) 과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집행기능은 무엇인가? 학령기 아동에 있어 인지 기능은 학교 적응 여부 및 성공적 경험을 좌우하며(Cho, 2014; Park & Joo, 2013; Song, 2011), 특히 학업수행에 큰 영향을 미치는 집행기능의 경우 자기조 절, 문제해결과 같은 능력과 연관되어(Anderson, 2002; No & Park, 2011; Shin, Yun, & Lee, 2010; Song, 2010) 학습 및 행동발달에도 영향을 미친다. 집행기능이란 전두엽에서 이루어지는 상위 인지기능으로 특정 목적을 위해 정서 및 행동 억제, 인지적 융통성, 계획 등을 수행 하는 능력을 의미한다(Do, Cho, Kim, Kim, & Shin, 2010; Kong & Lim, 2011; Song, 2011; Zelazo, Muller, Frye, & Marcovitch, 2003). 이러한 집행기능의 하위 영역에는 작업기억, 계획 하기 등이 포함되며, 이 역시 10세 정도에 완성되기 시작하기 때문에(Anderson, 2002) 초등학교 3학년 연령이 집행기능을 평가하기에 적절함을 알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Anderson, P. (2002). Assessment and development of executive function (EF) during childhood. Child Neuropsychology, 8(2), 71-82. 

  2. Ashcraft, M. H. (1998). Fundamentals of cognition. New York: Longman. 

  3. Baars, B. J., & Gage, N. M. (2010). Cognition, brain, and consciousness: Introduction to cognitive neuroscience (B. G. Kang, Trans.). Paju: Kyobo (Original work published 2004) 

  4. Banich, M. T. (2009). The student's guide to cognitive neuroscience (M. S. Kim, et al. Trans.). Seoul: Sigmapress. (Original work published 2004) 

  5. Chelonis, J. J., Flake, R. A., Baldwin, R. L., Blake, D. J., & Paule, M. G. (2004). Developmental aspects of timing behavior in children. Neurotoxicology and Teratology, 26(3), 461-476. 

  6. Cho, H. I. (2014).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academic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self-determination theory, academic achievement, and school adjustment. Journal of Elementary Education, 27(4), 207-229. 

  7. Chong, H. J. (2006). Relationship between music cognitive skills and academic skills. Korean Journal of Music Therapy Education, 3(1), 63-76. 

  8. Deutsch, D. (1999). The psychology of music (2nd ed.). San Diego, SD: University of California. 

  9. Do, R. M., Cho, S. C., Kim, B. N., Kim, J. W., & Shin, M. S. (2010). Development of executive function in childhood.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Psychotherapy, 2(2), 1-12. 

  10. Duerksen, G., & Chong, H. J. (2013). Preliminary study on developing protocol for music therapy assessment for cognitive and emotional-behavior domain using rhythm (MACED-Rhythm). Journal of Music and Human Behavior, 10(1), 67-83. 

  11. Hargreaves, D. J. (2010). The developmental psychology of music (J. Y. Na, Trans.). Seoul: Kyohaksa. (Original work published 1986) 

  12. Henson, R. N. A., Burgess, N., & Frith, C. D. (2000). Recoding, storage, rehearsal and grouping in verbal short-term memory: An fMRI study. Neuropsychologia, 38(4), 426-440. 

  13. Holm, L., Ullen, F., & Madison, G. (2011). Intelligence and temporal accuracy of behaviour: Unique and shared associations with reaction time and motor timing. Experimental Brain Research, 214(2), 175-183. 

  14. Holm, L., Ullen, F., & Madison, G. (2013). Motor and executive control in repetitive timing of brief intervals.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39(2), 365-380. 

  15. Hwang, S. T., Kim, J. H., Park, G. B., Choi, J. Y., & Hong, S. H.(2008). Korean-Wechsler Adult Intelligence Scale (4th ed.). Daegu: Korea Psychology. 

  16. Kang, Y. W., Jin, J. H., & Na, D. L. (2002). A normative study of the digit span test for the elderly.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1(4), 911-922. 

  17. Kalat, J. W. (1984). Biological psychology (2nd ed.). Belmont, CA: Wadsworth Publishing Company. 

  18. Kim, S. Y., & Hong, S. J. (2009). Investigating the effect of students’ background characteristics on the basic academic skill test for the 3rd grade students. Journal of Elementary Education, 22(2), 233-256. 

  19. Kong, Y. S., & Lim, J. Y. (2011). Analysis of trends in research on executive function. Child Education, 20(1), 61-75. 

  20. Kwon, J. R. (2013). Analysis on the 3rd graders' achievement in the elementary school-focused on the result of the grade 3 diagnostic assessment of basic competency in 2011-. Education of Primary School Mathematics, 16(2), 163-184. 

  21. Lee, J. S. (2004). An analysis on the reading and writing basic achievement of elementary school 3rd grade students. Journal of Reading Research, 11, 301-326. 

  22. No, M. J., & Park, H. W. (2011). Influence of executive control on preschool adaptation in normal and attention problem children. Journal of the Association of Cognitive Development and Intervention, 2(2), 17-42. 

  23. Park, G. S., & Joo, D. C. (2013). The effects of the music activities on the self-efficacy and the adaptation of new students in the elementary school. Korean Journal of Gestalt Counseling, 3(2), 57-69. 

  24. Park, J. R., & Song, H. J. (2012).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children’s executive function deficits inventory (CEFDI).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31(1), 1-23. 

  25. Parmentier, F. B., Maybery, M. T., & Jones, D. M. (2004). Temporal grouping in auditory spatial serial memory. Psychonomic Bulletin & Review, 11(3), 501-507. 

  26. Radocy, R. E., & Boyle, J. B. (2001). Music Psychology, (B. C. Choi, & G. J. Bang, Trans.). Seoul: Hakjisa. (Original work published 1997) 

  27. Ryan, J. (1969). Grouping and short-term memory: Different means and patterns of grouping. Quarterly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21(2), 137-147. 

  28. Seung, Y. H. (2012). An understanding of bottom-up/top-down processing and a reconsideration of musical thinking. Korean Journal of Research in Music Education, 41(2), 147-169. 

  29. Shin, M. S., & Gu, H. J. (2007). Children's color trails test: Professional manual. Seoul: Hakjisa. 

  30. Shin, Y. H., Yun, J. Y., & Lee, S. B. (2010). A study on executive function and problem behavior type for a children with maladjustment behaviors in school environment and general children.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 Rehabilitation Science, 49(1), 197-213. 

  31. Song, C. W. (2010). The study on education research of executive function of the children with learning disorders: Theoretical character and individual teaching approach. Korea Journal of Learning Disabilities, 7(3), 81-104. 

  32. Song, H. J. (2011). Executive function and school adjustment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Psychotherapy, 3(2), 31-39. 

  33. Ullen, F., Forsman, L., Blom, O., Karabanov, A., & Madison, G. (2008). Intelligence and variability in a simple timing task share neural substrates in the prefrontal white matter. The Journal of Neuroscience, 28(16), 4238-4243. 

  34. Ullen, F., Soderlund, T., Kaaria, L., & Madison, G. (2009) Bottom-up mechanisms are involved in the relation between accuracy in timing tasks and intelligence: Further evidence using manipulations of state motivation. Intelligence, 40(2), 100-106. 

  35. Zelazo, P. D., Muller, U., Frye, D., & Marcovitch, S. (2003). The development of executive function in early childhood. Monographs of the Society for Research in Child Development, 68(3), I-15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