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도시각장애인의 음악 활용
Uses of Music by People with Adventitious Visual Impairments 원문보기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Journal of music and human behavior, v.13 no.1, 2016년, pp.41 - 60  

양지혜 (실로암시각장애인복지관) ,  박혜영 (고신대학교 교회음악대학원 음악치료전공)

초록

본 연구는 중도시각장애인의 음악 활용을 파악하고, 개인변인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도에 소재한 6개의 시각장애인복지관을 이용하고 있는 만 40세 이상 60세 이하 성인 중도시각장애인 70명을 모집하였다. 음악 활용, 음악 활용 목적, 개인변인 등 총 25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배포한 후 회수된 설문지 중 불충분한 응답 9부를 제외한 총 61부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도시각장애인은 주로 휴식을 취하고 싶을 때, 집에서 라디오를 주로 사용하여, 빠르고 경쾌한 대중가요를 감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래활동에서 이들은 추억을 회상하는 가사의 대중가요를 주로 부르고, 노래 활용 빈도가 음악감상이나 악기연주 활동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악기 연주하기에서 연주가능하고 선호하는 악기는 모두 현악기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음악 활용 목적은 기분전환, 즐거움, 편안함, 성취감, 소속감의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도시각장애인의 개인변인(성별, 장애정도, 실명기간)에 따른 음악 활용에는 전반적으로 차이를 보이지 않으나, 전맹이 저시력에 비해 음악을 통해 소속감을 느끼는 정도가 높고, 실명기간이 상대적으로 짧은 집단이 음악을 활용하여 소속감을 얻는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중도시각장애인의 음악 활용을 파악함으로써, 대상의 요구와 필요에 맞는 효과적인 음악치료프로그램을 계획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how people who became blind midway through life used music and how these uses differed according to individual factors. Sixty-one late-blind adults aged 40 to 60 years attending six welfare centers for the blind in Seoul and Gyeonggi region participated in this research. Par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우선 시각장애인의 음악 활용 및 선호도에 관한 국내외 논문들을 바탕으로 본 연구 도구인 설문지를 구성한 후에 설문지 내용이 연구 목적을 잘 반영하는지, 연구대상자에게 적합한 어휘와 문법을 사용하였는지, 설문방법에 문제가 없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서울특별시에 소재하고 있는 시각장애인복지관에서 2015년 5월 6일부터 5월 8일까지 5명을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예비조사를 통해 발견된 문제점들을 수정, 보완하기 위해 시각장애인 복지관 담당자에게 설문내용에 대한 자문을 구하였다. 예비설문에 대한 응답자 모두 ‘잔존 감각’이라는 용어 이해에 어려움이 있다고 응답하여 이를 삭제하였고, 선호하는 노래에 대한 질문에서 노래 제목을 작성하는 주관식 질문을 삭제하고 노래 가사내용에 대한 보기항목으로 수정하였다.
  • 본 연구는 중도시각장애인의 음악 활용을 살펴보고, 개인변인에 따른 차이를 분석함으로써 그들이 활용하는 음악 활동 특성, 양식, 선호 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음악 활용의 목적과 개인변인의 차이를 조사함으로써 중도시각장애인의 장애특성을 반영한 음악치료 프로그램 개발 시 참고할 만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의 논의점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중도시각장애인의 음악 활용을 살펴보고, 개인변인에 따른 차이를 분석함으로써 그들이 활용하는 음악 활동 특성, 양식, 선호 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음악 활용의 목적과 개인변인의 차이를 조사함으로써 중도시각장애인의 장애특성을 반영한 음악치료 프로그램 개발 시 참고할 만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중도시각장애인이 음악을 어떻게 활용하고 어떤 음악을 선호하는지를 살펴보았으며, 장애관련 변인에 따라 음악 활용 목적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중도시각장애인은 대부분 집에서 감상 위주의 수용적 음악 활동을 하는 것으로 나타나 이들이 음악 활동을 통해 사회 구성원으로써 충족감을 느끼며 적극적인 소통 수단으로 음악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보다 능동적인 형태의 그룹음악활동으로 범위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도시각장애인의 음악 활용(빈도, 방법, 목적, 선호 등)을 조사하고 이를 개인변인에 따라 분석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중도시각장애인이 활용하는 음악 활동과 선호하는 음악의 특성 등을 밝힐 수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13년 등록 시각장애인은 몇 명인가? 최근 등록 시각장애인 현황은 2010년 249,259명, 2011년 251,258명, 2012년 252,564명, 2013년 253,095명으로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4). 시각장애는 그 발생 시기에 따라 선천적 및 후천적으로 구분하는데(Bak, 2014; Kim, 2010), 후천적 시각장애인은 선천적 시각장애인에 비해 국내 시각장애인의 90.
시각장애는 어떻게 구분하는가? 최근 등록 시각장애인 현황은 2010년 249,259명, 2011년 251,258명, 2012년 252,564명, 2013년 253,095명으로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4). 시각장애는 그 발생 시기에 따라 선천적 및 후천적으로 구분하는데(Bak, 2014; Kim, 2010), 후천적 시각장애인은 선천적 시각장애인에 비해 국내 시각장애인의 90.8%를 차지할 만큼 그 수가 많다(Byeon, 2006).
중도시각장애인들은 장애를 받아들이는 과정에서 무엇을 경험하는가? 중도시각장애인들은 장애로 인한 심리적 상실감이나 극심한 스트레스를 경험하게 되며 (Jessup, Cornell, & Bundy, 2010), 심리․사회적 적응의 어려움으로 인해 가족관계 및 대인관계에서 갈등을 겪는다(Jo, 2007). 장애수용 과정에서 충격, 부인, 분노, 비판 등의 부정적 심리 문제를 경험하고(Shin, 2005), 실명에 대한 충격에서 벗어난 뒤 슬픔을 애도하는 기간을 가지기도 한다(Kim, 2010). 또한, 이동권의 제약으로 활동에 제한을 받아 스스로 환경을 통제할 수 없게 되면서 수동적 경향이 나타나고, 문화생활이나 사회활동, 진로선택 혹은 재취업 등의 문제에 직면하게 된다(Gold, Shaw, & Wolffe, 20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6)

  1. Bak, S. H. (2014). Understanding and education for visually impaired children (3rd ed.). Seoul: Hakjisa. 

  2. Bliss, I., Kujala, T., & Hamalainen, H. (2004). Comparison of blind and sighted participants’ performance in a letter recognition working memory task. Cognitive Brain Research, 18(3), 273-277. 

  3. Byeon, Y. C. (2006). 2005 Survey on disability. Seoul: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4. Chong, H. J. (2015).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of music therapy (2nd ed.). Seoul: Ewha Womans University Press. 

  5. Codding, P. A. (2000). Music therapy literature and clinical applications for blind and severely visually impaired persons: 1940-2000. In D. S. Smith (Ed.), Effectiveness of music therapy procedures: Documentation of research and clinical pratice (pp. 159-198). Silver Spring, MD: The American Music Therapy Association, Inc. 

  6. Collignon, O., Voss, P., Lassonde, M., & Lepore, F. (2009). Cross-modal plasticity for the spatial processing of sounds in visually deprived subjects. Experimental Brain Research, 192(3), 343-358. 

  7. Doucet, M. E., Guillemot, J. P., Lassonde, M., Gagne, J. P., Leclerc, C., & Lepore, F. (2005). Blind subjects process auditory spectral cues more efficiently than sighted individuals. Experimental Brain Research, 160(2), 194-202. 

  8. Eitan, Z., Ornoy, E., & Granot, R. Y. (2012). Listening in the dark: Congenital and early blindness and cross-domain mappings in music. Psychomusicology, 22(1), 33-45. 

  9. Employment Development Institute (2011). Survey on current state of disabled workers (Report No. 11-1352000-000568-12). Seongnam: Korea Employment Agency for the Disabled Employment Institute. 

  10. Gold, D., Shaw, A., & Wolffe, K. (2010). The social lives of Canadian youths with visual impairments. Journal of Visual Impairment & Blindness, 104(7), 431-443. 

  11. Gougoux, F., Lepore, F., Lassonde, M., Voss, P., Zatorre, R. J., & Belin, P. (2004). Neoropsychology: Pitch discrimination in the early blind. Nature, 430(6997), 309. 

  12. Ham, D, H,. & Kim, J. H. (2004). A study on the recreation and leisure activities of the visually impaired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Visual Impairment, 20(1), 91-117. 

  13. Hamilton, R. H., Pascual-Leone, A., & Schlaug, G. (2004). Absolute pitch in blind musicians. Neuroreport, 15(5), 803-806. 

  14. Hudson, R. (2006). Regions and place: Music, identity and place. Progress in Human Geography, 30(5), 626-634. 

  15. Jeon, H. S. (2009). A study on the financial support for organizations of handicap people's art performan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Korea. 

  16. Jessup, G. M., Cornell, E., & Bundy, A. C. (2010). The treasure in leisure activities: Fostering resilience in young people who are blind. Journal of Visual Impairment & Blindness, 104(7), 419-430. 

  17. Jo, S. J. (2007). Counseling clients with disabilities: Psychosocial adjustment to disability, potential problems presented, and intervention strategies.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8(2), 493-508. 

  18. Jung, Y. R. (2015). Effects of song discussion on depression and rehabilitation motivation in stroke patients, Journal of Music and Human Behavior, 12(1), 43-64. 

  19. Kim, K, S., & Kim, T. H. (2008). Accept reality through the middle of the visually impaired sports activities, Journal of Sport and Leisure Studies, 34(1), 777-788. 

  20. Kim, Y. I. (2010). Theory on welfare for blind people. Seoul: Jipmundang. 

  21. Kirchner, C., McBroom, L., Nelson, K., & Graves, W. (1992). Lifestyles of employed legally blind people: A study of expenditures and time use. Starkville, MS: Mississippi State University Rehabilitation Research and Training Center on Blindness and Low Vision. 

  22. Kreutz, G., Ott, U., Teichmann, D., Osawa, P., & Vaitl, D. (2007). Using music to induce emotions: Influences of musical preference and absorption. Psychology of Music, 36(1), 101-126. 

  23. Laukka, P. (2007). Uses of music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the elderly. Journal of Happiness Studies, 8(2), 215-241. 

  24. Lee, D. E. (2010). A case study on therapeutic song writing for enhancement of self-efficacy in adults who have visually-impaired in halfway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25. Lee, H. E. (2000). A research on the blind majored music in Korea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Korea. 

  26. Lee, I. S,. & Park, S. K., & Kwak, J. Y. (2003).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social integration of visually impaired people in Korea,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54, 149-176. 

  27. Lee, T. H (2010).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independent living competence of people with visual impairment. The Korean Journal of Visual Impairment, 26(4), 27-46. 

  28. Lim, H. J., & Bak, S. H. (2013). Study on musical interest and aptitude for musical achievement of people with visual impairment. The Korean Journal of Visual Impairment, 29(2), 217-228. 

  29. Madsen, C. K., & Darrow, A. A. (1989). The relationship between music aptitude and sound conceptualization of the visually impaired. Journal of Music Therapy, 26(2), 71-78. 

  30. Matsumoto, D., & Wilingham, B. (2009). Spontaneous facial expressions of emotion of congenitally and non congenitally blind individual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96(2), 1-10. 

  31. McNamara, L. & Ballard, M. E. (1999). Resting arousal, sensation seeking, and musical preference. Genetic, Social and General Psychological Monographs, 125(3), 229-250. 

  32.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4). Registered disability status. Seoul: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33. Molloy-Daugherty, D. (2013). Rhythmic auditory-motor entrainment of gait patterns in adults with blindness or severe visual impairment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Missouri-Kansas City, Kansas City, USA. 

  34. Nater, U. M., Krebs, M., & Ehlert, U. (2005). Sensation seeking, music preference, and psychophysiological reactivity to music. Musicae Scientiae, 9(2), 224-238. 

  35. North, A, C., Hargreaves, D, J., & Hargreaves, J, J. (2004). Use of music in everyday life. Music Perception, 22(1), 41-77. 

  36. Park, H, N,. & Lee, H. G. (2013). The survey on status of the music appreciation education and preference of music appreciation for secondary school students in schools for the visually impairment. The Korean Journal of Visual Impairment, 29(4), 1-25. 

  37. Park, H. Y. (2015). Comparative study of emotion cognition and experience to music of adults with and without visual impairmen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38. Park, H. Y., & Chong, H. J. (2015). A difference in the emotional response to music between adults with and without visual impairments. The Korean Journal of Visual Impairment, 31(3), 1-17. 

  39. Park, H. Y., Chong, H. J., & Bak, S. H. (2015). Differences in verbal description of music listening experiences between college students with total blindness and typical vision.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16(4), 149-171. 

  40. Park, H. Y., Chong, H. J., & Kim, S. J. (2015). A comparative study on the attitudes and uses of music by adults with visual impairments. Journal of Visual Impairment & Blindness, 109(4), 303-316. 

  41. Roder, B., & Neville, H. (2003). Developmental functional plasticity. In J. Grafman & I. H. Roberson (Eds.), Handbook of neuropsychology (2nd ed.). (pp. 231-270) Oxford: Elsevier Science. 

  42. Roder, B., & Rosler, F. (2003). Memory for environmental sounds in sighted, congenitally blind and late blind adults: Evidence for cross-modal compens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Psychophysiology, 50(1), 27-39. 

  43. Roder, B., Rosler, F., & Neville, H. J. (2001). Auditory memory in congenitally blind adults: A behavioral-electrophysiological investigation. Cognitive Brain Research, 11(2), 289-303. 

  44. Rokem, A., & Ahissar, M. (2009). Interactions of cognitive and auditory abilities in congenitally blind individuals. Neuropsychologia, 47(3), 843-848. 

  45. Rostohar, J. W. (2006). The effects of a multiphase music therapy intervention on the acquisition of social skills among pre-schoolers with visual impairments: Two case studi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Missouri-Kansas City, Kansas City, USA. 

  46. Seo, S. M. (2005). A study on the behavior of adolescence’s music listening. Journal of Music and Human Behavior, 2(2), 1-14. 

  47. Shin, G. S. (2005). A life history research of a person who lost his sight in midlife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kmyung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48. Shin, Y. S. (2009). Research on "Aptitude of Music" between upp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and middle school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 by KMAT. The Korean Journal of Visual Impairment, 25(4), 165-181. 

  49. Son, Y, S,. & Heo, H, M,. & Park, Y. S. (2009). Those with acquired disability and their family. Seoul: Beomronsa. 

  50. Spreckelmeyer, K. N., Kutas, M., Urbach, T. P., Altenmuller, E., & Munte, T. F. (2006). Combined perception of emotion in pictures and musical sounds. Brain Research, 1070(1), 160-170. 

  51. Stankov, L., & Spilsbury, G. (1978). The measurement of auditory abilities of blind, partially sighted, and sighted children. Applied Psychological Measurement, 2(4), 491-503. 

  52. Stevens, A. A., & Weaver, K. E. (2009).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auditory cortex in the blind. Behavioral Brain Research, 196(1), 134-138. 

  53. Thinus-Blanc, C., & Gaunet, F. (1997). Representation of space in blind persons: Vision as a spatial sense? Psychological Bulletin, 121(1), 20-42. 

  54. Upton, L. R., Bush, B. A., & Taylor, R. E. (1998). Stress, coping, and adjustment of adventitiously blind male veterans with and without diabetes mellitus. Journal of Visual Impairment & Blindness, 92(9), 656-665. 

  55. Wan, C. Y., Wood, A. G., Reutens, D. C., & Wilson, S. J. (2010). Early but not late-blindness leads to enhanced auditory perception. Neuropsychologia, 48(1), 344-348. 

  56. Wang, J. J., Mitchell, P., Smith, W., Cumming, R. G., & Attebo, K. (1999). Impact of visual impairment on use of community support services by elderly persons: The blue mountains eye study. Investigative Ophthalmology & Visual Science, 40(1), 12-1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