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당식이로 유도된 비알코올성 지방간 마우스에서 기능성 잡곡의 지질 대사 개선 효과
Anti-Lipogenic Effect of Functional Cereal Samples on High Sucrose Diet-Induced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in Mice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5 no.6, 2016년, pp.789 - 796  

이고은 (부산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송가락 (부산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정병진 (두보식품(주)) ,  정종성 (두보식품(주)) ,  허태곤 (두보식품(주)) ,  박건영 (부산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 고당식이로 비알코올성 지방간을 유도한 마우스의 체중 변화는 대조군보다 백미군, 혼합잡곡군, 항비만혼합잡곡군에서 체중증가율이 낮았고 간 무게 또한 유의적으로 감소했으며, 간 내 조직학적 지방구 수와 크기가 감소한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혈청 지질 수치 역시 개선 효과를 보였는데 모든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중성지방, 총콜레스테롤 및 저밀도 콜레스테롤의 농도가 감소하였고, 혈청 고밀도 콜레스테롤은 모두 증가하였다. 간 조직 내 지질합성 및 지방산 침투와 관련 유전자 인자에서 대조군보다 SREBP-1c mRNA 유전자 발현 수준은 백미군, 혼합잡곡군 및 항비만혼합잡곡군에서, ACCFAS mRNA 유전자 발현 수준은 혼합잡곡군과 항비만혼합잡곡군에서, SCD-1 mRNA 유전자 발현 수준은 항비만혼합잡곡군에서 감소하였다. CD36 및 $PPAR-{\gamma}$ mRNA 유전자 발현 수준 또한 대조군보다 백미군, 혼합잡곡군, 항비만혼합잡곡군에서 감소하였다. 간 내 ${\beta}$산화로 지방축적 억제와 관련된 유전자 인자인 $PPAR-{\alpha}$CPT-1 mRNA 유전자 발현 수준은 대조군보다 혼합잡곡군, 항비만혼합잡곡군에서 증가하였다. 본 실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고당식이로 비알코올성 지방간질환을 유도한 마우스에서 백미군, 혼합잡곡군 및 항비만혼합잡곡군 모두 지질 대사 개선 효과가 나타났으며 항비만혼합잡곡군이 가장 효과적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nti-lipogenic effect of cereal samples on high sucrose diet (HSD)-induced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NAFLD) in mice was studied. We divided C57BL/6 mice into various groups based on 8 weeks of treatment with three types of cereal samples (HSD+WR, HSD diet containing 40% white rice; HS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기능성 혼합잡곡을 고당식이로 유도한 비알코올 지방간 마우스에 섭취시켰을 때 혈청 지질 및 지질관련 대사의 유전자 발현 측정 등을 통해 비알코올성 지방간의 예방 효과와 관련 기전을 살펴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혈중 총 콜레스테롤을 낮추는 효과가 있는 보리에 풍부한 성분은? 발아현미는 현미보다 식이섬유, 칼슘, 철분, 비타민 등의 유익한 영양소의 함량이 높고 γ-oryzanol이나 arabinoxylan, γ-aminobutyric acid(GABA) 등 생리활성 성분들의 증가로 콜레스테롤 저하 작용을 하면서 체내 흡수율도 높인다(12). 보리는 β-glucan의 함량이 매우 높아 혈중 총콜레스테롤 저하와 지방의 축적을 억제하고 저밀도 콜레스테롤을 낮추어 관상동맥질환의 발병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13). 서리태는 껍질이 검고 속은 노란빛을 띠는 콩으로 밥에 넣어 많이 섭취하는데 황색콩보다 안토시아닌이 풍부하여 혈중 지질 개선 효과가 보고되고 있다(14).
peroxisome proliferator activated receptor α의 역할과 기능은? 간의 지방 합성과 대사 관련 핵심인자인 sterol regulatory element-binding protein-1c(SREBP-1c), acetylcoenzyme A carboxylase(ACC), fatty acid synthase(FAS), stearoyl-coenzyme A desaturase-1(SCD-1), peroxisome proliferator activated receptor γ(PPAR-γ), cluster of differentiation(CD36)은 발현이 증가함에 따라 간세포 내에 지방을 축적시키고(16), 간 내에서는 에너지 생산계의 하나로 β산화가 일어나는데 peroxisome proliferator activated receptor α(PPAR-α)는 간 조직 내 많이 분포하여 지방산 산화와 관련된 유전자 전사의 주된 조절 인자로(17) carnitine palmitoyl transferase-1(CPT-1)의 발현을 촉진함으로써 세포 내 지방축적을 억제한다(18).
만성간질환 중 가장 흔한 질환은 무엇인가? 비알코올성 지방간질환(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NAFLD)은 간의 대사증후군으로 그 유병률이 증가하여 우리나라에서도 16~33% 정도로 추정된다(1,2). 비알코올성 지방간질환은 단순 지방 침착에서부터 지방간염까지 다양한 범위를 포함하는데 일부 환자는 지방간염을 거쳐 간경변증이나 간암으로 진행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알코올 섭취 없이 간에 과잉의 중성지방이 축적되는 것이 특징으로(3) 간세포 내에 지방이 축적되면서 간세포 내에서 일어나는 지방대사 및 합성의 불균형을 초래한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Vernon G, Baranova A, Younossi ZM. 2011. Systematic review: the epidemiology and natural history of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and non-alcoholic steatohepatitis in adults. Aliment Pharmacol Ther 34: 274-285. 

  2. Bae JC, Cho YK, Lee WY, Seo HI, Rhee EJ, Park SE, Park CY, Oh KW, Sung KC, Kim BI. 2010. Impact of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on insulin resistance in relation to HbA1c levels in nondiabetic subjects. Am J Gastroenterol 105: 2389-2395. 

  3. Chalasani N, Younossi Z, Lavine JE, Diehl AM, Brunt EM, Cusi K, Charlton M, Sanyal AJ. 2012. The diagnosis and management of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practice guideline by the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Study of Liver Diseases, American College of Gastroenterology, and the American Gastroenterological Association. Hepatology 55: 2005-2023. 

  4. Marchesini G, Brizi M, Bianchi G, Tomassetti S, Bugianesi E, Lenzi M, McCullough AJ, Natale S, Forlani G, Melchionda N. 2001.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a feature of the metabolic syndrome. Diabetes 50: 1844-1850. 

  5. Cohen JC, Horton JD, Hobbs HH. 2011. Human fatty liver disease: old questions and new insights. Science 332: 1519-1523. 

  6. Musso G, Gambino R, Cassader M. 2009. Recent insights into hepatic lipid metabolism in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NAFLD). Prog Lipid Res 48: 1-26. 

  7. Kang M, Joung H, Lim JH, Lee YS, Song YJ. 2011. Secular trend in dietary patterns in a Korean adult population, using the 1998, 2001, and 2005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orean J Nutr 44: 152-161. 

  8.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n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2. Korea health statistics 2011: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2).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Sejong, Korea. p 37-46. 

  9. Song S, Lee JE, Song WO, Paik HY, Song Y. 2014. Carbohydrate intake and refined-grain consumption are associated with metabolic syndrome in the Korean adult population. J Acad Nutr Diet 114: 54-62. 

  10. Barclay AW, Petocz P, McMillan-Price J, Flood VM, Prvan T, Mitchell P, Brand-Miller JC. 2008. Glycemic index, glycemic load, and chronic disease risk - a meta-analysis of observational studies. Am J Clin Nutr 87: 627-637. 

  11. Jung YJ, Cho YJ, Kim KW, Yoon KY. 2013. Current status and development plan of domestic cereal industry. Food Preservation and Processing Industry 12(1): 31-39. 

  12. Madar Z. 1983. Effect of brown rice and soybean dietary fiber on the control of glucose and lipid metabolism in diabetic rats. Am J Clin Nutr 38: 388-393. 

  13. Newman RK, Lewis SE, Newman CW, Boik RJ, Ramage RT. 1989. Hypocholesterolemic effect of barley foods on healthy men. Nutr Rep Int 39: 749-760. 

  14. Sin MK, Han SH. 2001. Effects of methanol extracts from Phaseolus vulgaris on serum lipid concentrations in rats fed high fat and cholesterol diet. Korean J Food Sci Technol 33: 113-116. 

  15. Kim JM, Park JY, Kim KW, Yoon KY. 2014. Nutritional composition and functionality of mixed cereals powder. Korean J Food Preserv 21: 388-395. 

  16. Rawson RB. 2003. Control of lipid metabolism by regulated intramembrane proteolysis of sterol regulatory element binding proteins (SREBPs). Biochem Soc Symp 70: 221-231. 

  17. Hashimoto T, Cook WS, Qi C, Yeldandi AV, Reddy JK, Rao MS. 2000. Defect in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alpha}$ -inducible fatty acid oxidation determines the severity of hepatic steatosis in response to fasting. J Biol Chem 275: 28918-28928. 

  18. Lapsys NM, Kriketos AD, Lim-Fraser M, Poynten AM, Lowy A, Furler SM, Chisholm DJ, Cooney GJ. 2000. Expression of genes involved in lipid metabolism correlate with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gamma}$ expression in human skeletal muscle. J Clin Endocrinol Metab 85: 4293-4297. 

  19. Koteish A, Mae Diehl A. 2002 Animal models of steatohepatitis. Best Pract Res Clin Gastroenterol 16: 679-690. 

  20. Spruss A, Kanuri G, Wagnerberger S, Haub S, Bischoff SC, Bergheim I. 2009. Toll-like receptor 4 is involved in the development of fructose-induced hepatic steatosis in mice. Hepatology 50: 1094-1104. 

  21. Ha J. 2002. Analysis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in kimchi absorbed in SPME by GC-AED and GC-MSD. J Korean Soc Food Sci Nutr 31: 543-545. 

  22. Jansson EA, Are A, Greicius G, Kuo IC, Kelly D, Arulampalam V, Pettersson S. 2005. The Wnt/ ${\beta}$ -catenin signaling pathway targets $PPAR{\gamma}$ activity in colon cancer cells. Proc Natl Acad Sci USA 102: 1460-1465. 

  23. Park MY, Jang HH, Lee JY, Lee YM, Kim JH, Park JH, Park DS. 2012. Effect of hog millet supplementation on hepatic steatosis and insulin resistance in mice fed a high-fat diet.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 501-509. 

  24. Kim SR, Seog HM, Choi HD, Park YK. 2002. Cholesterollowering effects in rat liver fed barley and ${\beta}$ -glucan-enriched barley fraction with cholesterol.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319-324. 

  25. Ho JN, Son ME, Lim WC, Lim ST, Cho HY. 2012. Antiobesity effects of germinated brown rice extract through down-regulation of lipogenic genes in high fat diet-induced obese mice. Biosci Biotechnol Biochem 76: 1068-1074. 

  26. Rabey HAE, Al-Seeni MN, Amer HM. 2013. Efficiency of barley bran and oat bran in ameliorating blood lipid profile and the adverse histological changes in hypercholesterolemic male rats. BioMed Res Int 2013: 263594. 

  27. Postic C, Girard J. 2008. Contribution of de novo fatty acid synthesis to hepatic steatosis and insulin resistance: lessons from genetically engineered mice. J Clin Invest 118: 829-838. 

  28. Gervois P, Torra IP, Fruchart JC, Staels B. 2000. Regulation of lipid and lipoprotein metabolism by PPAR activators. Clin Chem Lab Med 38: 3-1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