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결구배추 잎의 이화학적 성분 조성
Physicochemical Composition of Head-Type Kimchi Cabbage Leave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5 no.6, 2016년, pp.923 - 928  

성기운 (경북대학교 식품공학부) ,  황인욱 (동아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정신교 (경북대학교 식품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김치용 결구배추를 겉잎(L1), 중잎(L2), 속잎(L3)으로 세 등분하여 부위별로 일반성분을 포함한 이화학적인 성분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조단백질 및 조지방 함량은 겉잎(L1)이 높았고, 조회분 및 탄수화물 함량은 속잎(L3)이 높았다(P<0.05). 열량은 24.5~26.5 kcal/100 g이었고 부위별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총식이섬유는 겉잎(L1)이 가장 높았다(P<0.05). 유리당은 fructose, glucose, sucrose가 확인되었으며, 속잎(L3)에서 fructose 및 glucose 함량이 높았다(P<0.05). 유기산citric acid, malic acid, succinic acid가 검출되었으며, citric acid와 malic acid 함량은 속잎(L3)이 높았고 succinic acid는 겉잎(L1)이 높았다(P<0.05). 총유리 아미노산의 30% 이상을 차지하는 glutamic acid 함량은 속잎(L3)에서 높았으며, ${\gamma}-aminobutyric$ acid의 함량은 겉잎(L1)이 가장 높았다(P<0.05). 결구배추 잎의 주요 미네랄 성분은 K, Na, Ca, Mg이며, 이 중 K의 함량이 가장 높았다. 총미네랄 함량은 겉잎(L1)이 가장 높았다(P<0.05). 결구배추 잎은 부위에 따라 이화학적 성분 조성이 다른 특성을 가지므로 신선편의 식재료로서 활용성이 더욱 증대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increase the consumption of head-type kimchi cabbage leaves as fresh food ingredients, the physicochemical composition was investigated depending on leaf parts. Kimchi cabbage leaves were divided into three portions, such as outer (L1), mid (L2), and inner (L3), and their proximate compositions 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결구배추의 부위별 일반성분, 식이섬유, 당 및 아미노산, 무기질과 같은 이화학적 성분 특성을 분석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배추란 무엇인가? 배추는 십자화과에 속하는 두해살이 잎줄기 채소로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채소이다. 배추는 호냉성으로서 김장용으로 주로 가을에 재배됐으나 최근에는 계절별로 적합한 품종이 개발되어 연중 출하가 가능하게 되었으며, 포기 형태에 따라 결구형, 반결구형, 불결구형으로 분류된다(1,2).
배추의 포기 형태상의 분류는? 배추는 십자화과에 속하는 두해살이 잎줄기 채소로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채소이다. 배추는 호냉성으로서 김장용으로 주로 가을에 재배됐으나 최근에는 계절별로 적합한 품종이 개발되어 연중 출하가 가능하게 되었으며, 포기 형태에 따라 결구형, 반결구형, 불결구형으로 분류된다(1,2). 배추는 식이섬유, 각종 비타민 성분과 칼슘을 비롯한 무기질 성분이 풍부하고, 십자화과 채소 특유의 생리활성 물질인 glucosinolate(3)를 함유하고 있어서 독특한 향미와 함께 항암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4,5).
과일 및 채소류 섭취가 증가한 이유는? 현대의 식생활 패턴의 변화로 인한 고지방 및 고단백질 식품 섭취의 증가와 함께 이에 따른 대사성 질환을 예방하기 위하여 항산화성이 풍부한 과일 및 채소류의 소비가 꾸준하게 늘어나고 있다(7,8). 과일 및 채소류 섭취의 증가로 인하여 암, 당뇨, 심장질환, 치매 등의 발병률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과학적 증거들이 최근에 더욱 많이 보고되고 있으며(9), 채소류에 포함된 비타민 C, 비타민 E, 카로티노이드, 플라보노이드, 탄닌 및 여러 페놀성 화합물은 잠재적인 항산화 성분으로 알려졌다(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Lee KH, Kuack HS, Jung JW, Lee EJ, Heong DM, Kang KY, Chae KI, Yun SH, Jang MR, Cho SD, Kim GH. 2013. Comparison of the quality characteristics between spring cultivars of Kimchi cabbage (Brassica rapa L. ssp. pekinensis). Korean J Food Preserv 20: 182-190. 

  2. Seong JH, Park SG, Park EM, Kim HS, Kim DS, Chung HS. 2006. Contents of chemical constituents in organic Korean cabbages. Korean J Food Preserv 13: 655-660. 

  3. Fenwick GR, Heaney RK, Mullin WJ. 1983. Glucosinolates and their breakdown products in food and food plants. Crit Rev Food Sci Nutr 18: 123-201. 

  4. Colditz GA, Branch LG, Lipnick RJ, Willett WC, Rosner B, Posner BM, Hennekens CH. 1985. Increased green and yellow vegetable intake and lowered cancer deaths in an elderly population. Am J Clin Nutr 41: 32-36. 

  5. Lee YS, Jang WS, Eui MJ, Lee SJ, Jang JJ. 1990. Inhibitory effect of Chinese cabbage extract on diethylnitrosamine-induced hepatic foci in Sprague-Dawley rats. J Korean Cancer Assoc 22: 355-359. 

  6. Ku KH, Jeong MC, Chung SK. 2013. Industrialization of salted Chinese cabbages and fresh-cut Chinese cabbage. Food Science and Industry 46(4): 2-11. 

  7. Ames BN, Gold LS, Willett WC. 1995. The causes and prevention of cancer. Proc Natl Acad Sci U S A 92: 5258-5265. 

  8. Hwang IW, Kim CS, Chung SK. 2011. The physicochemical qualitie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apple juices marketed in Korea. Korean J Food Preserv 18: 700-705. 

  9. Liu RH. 2013. Dietary bioactive compounds and their health implications. J Food Sci 78: A18-A25. 

  10. Dasgupta N, De B. 2007. Antioxidant activity of some leafy vegetables of India: A comparative study. Food Chem 101: 471-474. 

  11. Seong GU, Hwang IW, Chung SK. 2016. Antioxidant capacities and polyphenolics of Chinese cabbage (Brassica rapa L. ssp. Pekinensis) leaves. Food Chem 199: 612-618. 

  12. Park KW, Kim MZ. 1985. Influences of cultivar and storage period on the quality of Chinese cabbage. J Kor Soc Hort Sci 26: 299-303. 

  13. Kim HD, Yun SJ, Chung HD. 1994. Separation of yellow pigments in the inner leaves of Chinese cabbage and their relationship with taste. J Kor Soc Hort Sci 35: 525-533. 

  14. Kim JY, Lee EJ, Park SK, Choi GW, Baek NK. 2000. Physicochemical quality characteristics of several Chinese cabbage (Brassica pekinensis RuPR) cultivars. Korean J Hortic Sci Technol 18: 348-352. 

  15. Hong E, Kim GH. 2006. Changes in vitamin U, amino acid and sugar levels in Chinese cabbage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Preserv 13: 589-595. 

  16. Klieber A, Porter KL, Collins G. 2002. Harvesting at different times of day does not influence the postharvest life of Chinese cabbage. Sci Hortic 96: 1-9. 

  17. Seong GU, Chung HS, Chung SK. 2015. The cutting process improvement for cut kimchi cabbage quality. Korean J Food Preserv 22: 154-157. 

  18. Kim SS, Seong GU, Hwang HY, Jeong MC, Chung SK. 2014. The short-term storage characteristics of cut kimchi cabbages treated with $Ca^{2+}$ . Korean J Food Preserv 21: 157-162. 

  19. Lee JS, Choi JW, Chung DS, Lim CI, Park SH, Lee YS, Lim SC, Chun CH. 2007. Cold storage, packing and salting treatments affecting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winter Chinese cabbages. Korean J Food Preserv 14: 24-29. 

  20. Jeong ST, Kim JG, Kang EJ. 1999. Quality characteristics of winter Chinese cabbage and changes of quality during the Kimchi fermentation. Korean J Postharvest Sci Technol 6: 179-183. 

  21. Kim YK, Kim GH. 2003. Changes in 3-butenyl isothiocyanate and total glucosinolates of seeds and young seedlings during growth of Korean Chinese cabbages. Korean J Food Preserv 10: 365-369. 

  22. Song L, Thornalley PJ. 2007. Effect of storage, processing and cooking on glucosinolate content of Brassica vegetables. Food Chem Toxicol 45: 216-224. 

  23. Miean KH, Mohamed S. 2001. Flavonoid (myricetin, quercetin, kaempferol, luteolin, and apigenin) content of edible tropical plants. J Agric Food Chem 49: 3106-3112. 

  24. Chen IC, Chang HC, Yang HW, Chen GL. 2004. Evaluation of total antioxidant activity of several popular vegetables and Chinese herbs: a fast approach with ABTS/ $H_2O_2$ /HRP system in microplates. J Food Drug Anal 12: 29-33. 

  25. Harbaum B, Hubbermann EM, Wolff C, Herges R, Zhu Z, Schwarz K. 2007. Identification of flavonoids and hydroxycinnamic acids in pak choi varieties (Brassica campestris L. ssp. chinensis var. communis) by HPLC-ESI-MSn and NMR and their quantification by HPLC-CAD. J Agric Food Chem 55: 8251-8260. 

  26. AOAC. 199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5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27. Prosky L, Asp NG, Schweizer TF, DeVries JW, Furda I. 1988. Determination of insoluble, soluble, and total dietary fiber in foods and food products: interlaboratory study. J Assoc Off Anal Chem 71: 1017-1023. 

  28. Moon KD, Kim JK, Kim JH. 1997. The compositions of fatty acid and amino acid and storage property in dried persimmons. Korean J Post-Harvest Sci Technol Agric Products 4: 1-10. 

  29. Jin TY, Oh DH, Eun JB. 2006. Change of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functional components in the raw materials of saengsik, uncooked food by drying methods. Korean J Food Sci Technol 38: 188-196. 

  30. Park WK, Kim SH. 1991. Quantitative analysis and physical properties of dietary fiber in vegetables. J Korean Soc Food Nutr 20: 167-172. 

  31. Kang EJ, Jeong ST, Lim BS, Jo JS. 1999. Quality changes in winter Chinese cabbage with various storage methods. Korean J Postharvest Sci Technol 6: 173-178. 

  32. Cha YS, Oh SH. 2000. Investigation of ${\gamma}$ -aminobutyric acid Chinese cabbages and effects of the cabbage diets on lipid metabolism and liver function of rats administered with ethanol. J Korean Soc Food Sci Nutr 29: 500-50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