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50세 이상 한국인의 성·연령군별 우유류와 두류 섭취량과 골 건강과의 관련성 : 2008~2011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Sex- and age group-specific associations between intakes of dairy foods and pulses and bone health in Koreans aged 50 years and older: Based on 2008~2011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원문보기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49 no.3, 2016년, pp.165 - 178  

서현비 (대구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최영선 (대구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50세 이상 한국인을 성 연령군으로 나누어 골밀도에 근거한 골 건강상태와 우유류와 두류 섭취 간의 관련성을 조사하고자 수행되었다. 국민건강영양조사 (2008~2011년)에 참여한 만 50세 이상 남성 3,201명과 여성 3,581명을 대상으로 '50~64세 남성', '50~64세 여성', '65세 이상 남성', '65세 이상 여성' 성 연령군 집단으로 나누어 정상, 골감소증, 골다공증의 골 건강상태에 따른 영양소 및 식품 섭취량을 비교하고, 로지스틱 회귀분석에 의해 우유류와 두류 섭취빈도에 따른 골다공증 오즈비를 구하였다. 통계 분석은 SAS 9.3 version을 이용하였으며, 모든 통계처리는 층화, 집락, 가중치를 고려한 복합표본설계 자료 분석 방법을 적용하였다. 50~64세 남성 1,721명 중 3.8%, 65세 이상 남성 1,480명 중 13.1%가 골다공증이었으며, 50~64세 여성 1,950명 중 15.9%, 65세 이상 여성 1,631명 중 63.0%가 골다공증이었다. 여성이 남성에 비해 4~5배 정도 골다공증 비율이 높고, 남녀 모두 연령 증가와 함께 골다공증 발생이 증가 하였다. 모든 성 연령군 집단에서 대상자의 체중과 체질량지수는 정상, 골감소증, 골다공증 순이었다. 에너지, 단백질, 나트륨, 칼륨, 칼슘 및 비타민 C 섭취량은 남성의 경우 전반적으로 정상, 골감소증, 골다공증 순이었으며, 여성도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칼슘 섭취량의 사분위 섭취량에 따른 골다공증 오즈비 (OR)가 연령, BMI, 에너지 섭취량에 의한 보정 후 50~64세 여성과 65세 이상 남성에서 4사분위 섭취량이 1사분위 섭취량에 비해 유의하였으며, 칼슘섭취량이 많을수록 골다공증이 감소하는 경향성 (p for trend = 0.01)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음주, 흡연, 신체활동도 포함하여 보정한 후 경향성은 각각 p값이 0.055, 0.051 수준으로 낮아졌다. 50~64세 남성에서 골 건강상태가 나쁠수록 우유류와 우유 섭취량은 감소하는 경향성을 보였으며, 50~64세 여성에서는 골다공증군의 우유류와 우유 섭취량이 골감소증군에 비해 유의하게 적었다. 두류와 두부 섭취량은 모든 성 연령군에서 골 건강상태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 및 경향성을 보이지 않았다. 50~64세 남성에서 우유 섭취빈도는 골다공증 위험 감소와 유의적인 관련성을 보이지 않은 반면에 65세 이상 남성에서는 우유 섭취빈도가 월 1회 미만에 비해 주 2회 이상일 경우 골다공증 위험 (OR 0.45, 95% CI 0.24~0.85)이 감소하였고, 감소하는 경향성 (p for trend = 0.022)을 보였다. 50~64세 여성에서 우유를 월 1회 미만 섭취하는 것에 비해 월1회~주1회 (OR 0.63, 95% CI 0.41~0.98) 섭취할 경우 오즈비가 유의하게 낮았다. 요구르트의 경우 50~64세 여성에서 섭취빈도가 높을수록 골다공증 위험이 감소하는 경향성 (p for trend = 0.019)을 보였다. 모든 성 연령군에서 두부 섭취빈도와 골다공증 위험과의 연관성은 나타나지 않은 반면에 두유를 주 2회 이상 섭취한 65세 이상 여성군에서는 골다공증 위험이 높게 나타났다. 혈청 25-hydroxy vitamin D 농도는 50~64세 여성에서 골 건강상태가 나쁠수록 뚜렷하게 낮았다. 이상의 결과를 요약하면, 여성의 경우는 50~64세 연령 시기에 칼슘 섭취량, 우유 및 요구르트 섭취와 골다공증 위험 감소 사이에 연관성이 있으며, 남성의 경우 65세 이후 칼슘 섭취량과 우유 섭취와 골다공증 위험 감소 사이에 연관성이 있었다. 반면 두부, 두유 등 두류 섭취는 골다공증 위험 감소에 효과적이지 않았다. 따라서 50세 이상 한국인에서 성 연령군에 적절한 골 건강상태 향상을 위한 식생활 및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xamine associations of intakes of milk and dairy products, pulses, and soy foods with bone health in Koreans aged 50 yr and older. Methods: A total of 3,201 men and 3,581 women aged 50 yr and older who participated in the 2008~2011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골다공증 발병률이 증가하면 개인 및 사회적 측면에서 어떤 문제가 생기는가? 골다공증은 낮은 골밀도로 인하여 골 강도가 낮아져 골절이 일어날 가능성이 높아진 상태를 나타내는 질환이며, 골다공증은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발병률이 증가한다. 이는 개인의 측면에서 삶의 질을 떨어뜨리고 사회적 측면에서는 의료비 상승으로 이어진다. 특히 환자 중 70% 이상이 60세 이상의 노년층인 것으로 나타나서, 고령화 사회로의 진입과 함께 골다공증 유병률과 사회경제적 비용은 급증 할 것으로 예상된다.
골다공증이란? 골다공증은 낮은 골밀도로 인하여 골 강도가 낮아져 골절이 일어날 가능성이 높아진 상태를 나타내는 질환이며, 골다공증은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발병률이 증가한다. 이는 개인의 측면에서 삶의 질을 떨어뜨리고 사회적 측면에서는 의료비 상승으로 이어진다.
골 건강을 나타내는 영양상태의 지표로 무엇이 사용되는가? 골 건강을 나타내는 영양상태의 지표로 사용되는 것은 골 질량 (bone mass), 골 무기질함량 (bone mineral content), 골밀도 (bone mineral density)이며,2 골다공증 진단 기준으로 골밀도가 사용된다. 골 건강과 관련성이 높은 영양소는 칼슘, 비타민 D, 단백질, 나트륨 등이나 그 중에서 가장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영양소는 칼슘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Lee J, Jang S. A study on reference values and prevalence of osteoporosis in Korea: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8-2011. J Korean Official Stat 2013; 18(2): 42-65. 

  2. Institute of Medicine (US) Committee to Review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Vitamin D and Calcium.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calcium and vitamin D.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ies Press; 2011. 

  3.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orea Health Statistics 2013: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I-1). Cheongju: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4. 

  4. Weinsier RL, Krumdieck CL. Dairy foods and bone health: examination of the evidence. Am J Clin Nutr 2000; 72(3): 681-689. 

  5. Michaelsson K, Wolk A, Langenskiold S, Basu S, Warensjo Lemming E, Melhus H, Byberg L. Milk intake and risk of mortality and fractures in women and men: cohort studies. BMJ 2014; 349: g6015. 

  6. Heaney RP. Dairy and bone health. J Am Coll Nutr 2009; 28 Suppl 1: 82S-90S. 

  7. Ma DF, Qin LQ, Wang PY, Katoh R. Soy isoflavone intake increases bone mineral density in the spine of menopausal women: 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Clin Nutr 2008; 27(1): 57-64. 

  8. Liu J, Ho SC, Su YX, Chen WQ, Zhang CX, Chen YM. Effect of long-term intervention of soy isoflavones on bone mineral density in women: a 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Bone 2009; 44(5): 948-953. 

  9.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National food & nutrition statistics 2011: based on 2011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Cheongwon: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3. 

  10. Mun SO, Kim J, Yang YJ. Factors associated with bone mineral density in Korean postmenopausal women aged 50 years and above: using 2008-2010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orean J Community Nutr 2013; 18(2): 177-186. 

  11. Go G, Tserendejid Z, Lim Y, Jung S, Min Y, Park H. The association of dietary quality and food group intake patterns with bone health status among Korean postmenopausal women: a study using the 2010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Data. Nutr Res Pract 2014; 8(6): 662-669. 

  12. Shin CS, Choi HJ, Kim MJ, Kim JT, Yu SH, Koo BK, Cho HY, Cho SW, Kim SW, Park YJ, Jang HC, Kim SY, Cho NH. Prevalence and risk factors of osteoporosis in Korea: a communitybased cohort study with lumbar spine and hip bone mineral density. Bone 2010; 47(2): 378-387. 

  13. Kim YR, Lee TY, Lee JH. Age-related bone mineral density, accumulated bone loss rate at multiple skeletal sites in Korean men. J Korea Acad Ind Coop Soc 2014; 15(6): 3781-3788. 

  14. Kweon S, Kim Y, Jang MJ, Kim Y, Kim K, Choi S, Chun C, Khang YH, Oh K. Data resource profile: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Int J Epidemiol 2014; 43(1): 69-77. 

  15. Hannan MT, Felson DT, Dawson-Hughes B, Tucker KL, Cupples LA, Wilson PW, Kiel DP. Risk factors for longitudinal bone loss in elderly men and women: the Framingham Osteoporosis Study. J Bone Miner Res 2000; 15(4): 710-720. 

  16. Choi HJ, Lee DJ. Age-related change of spinal bone mineral density and accumulated bone loss rate in women. J Korean Soc Menopause 2003; 9(2): 171-176. 

  17. Lee S, Jang S, Jung D, Lee J. Reconsideration of the mechanical loading hypothesis: is obesity protective against osteoporosis? J Korean Official Stat 2014; 19(2): 1-29. 

  18. Bendavid EJ, Shan J, Barrett-Connor E. Factors associated with bone mineral density in middle-aged men. J Bone Miner Res 1996; 11(8): 1185-1190. 

  19. Reid IR. Fat and bone. Arch Biochem Biophys 2010; 503(1): 20-27. 

  20. Kim JH, Choi HJ, Kim MJ, Shin CS, Cho NH. Fat mass is negatively associated with bone mineral content in Koreans. Osteoporos Int 2012; 23(7): 2009-2016. 

  21. Chung JE, Hwang SJ, Kim MJ, Song JY, Cho HH, Kwon DJ, Lew YO, Lim YT, Kim EJ, Kim JH, Kim JH, Kim MR. Relationship between body composition and bone mineral density in pre-and post-menopausal women. J Korean Soc Menopause 2010; 16(1): 29-38. 

  22. Tucker KL, Hannan MT, Chen H, Cupples LA, Wilson PW, Kiel DP. Potassium, magnesium, and fruit and vegetable intakes are associated with greater bone mineral density in elderly men and women. Am J Clin Nutr 1999; 69(4): 727-736. 

  23. Lim HJ. A study on the calcium and sodium intakes and urinary calcium excretion of adults in Busan. Korean J Community Nutr 2011; 16(2): 215-226. 

  24. Lim YS, Lee SW, Tserendejid Z, Jeong SY, Go G, Park HR. Prevalence of osteoporosis according to nutrient and food group intake levels in Korean postmenopausal women: using the 2010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Data. Nutr Res Pract 2015; 9(5): 539-546. 

  25. Kim KH, Lee K, Ko YJ, Kim SJ, Oh SI, Durrance DY, Yoo D, Park SM. Prevalence, awareness, and treatment of osteoporosis among Korean women: the Four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Bone 2012; 50(5): 1039-1047. 

  26. Hong H, Kim EK, Lee JS. Effects of calcium intake, milk and dairy product intake, and blood vitamin D level on osteoporosis risk in Korean adults: analysis of the 2008 and 2009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Nutr Res Pract 2013; 7(5): 409-417. 

  27. Kanis JA, Johansson H, Oden A, De Laet C, Johnell O, Eisman JA, Mc Closkey E, Mellstrom D, Pols H, Reeve J, Silman A, Tenenhouse A. A meta-analysis of milk intake and fracture risk: low utility for case finding. Osteoporos Int 2005; 16(7): 799-804. 

  28. Sahni S, Tucker KL, Kiel DP, Quach L, Casey VA, Hannan MT. Milk and yogurt consumption are linked with higher bone mineral density but not with hip fracture: the Framingham Offspring Study. Arch Osteoporos 2013; 8: 119. 

  29. Kim YR, Nam HS, Lee TY. Soy protein consumption and bone mineral density in early postmenopausal Korean women. J Korea Acad Ind Coop Soc 2012; 13(10): 4711-4716. 

  30. Somekawa Y, Chiguchi M, Ishibashi T, Aso T. Soy intake related to menopausal symptoms, serum lipids, and bone mineral density in postmenopausal Japanese women. Obstet Gynecol 2001; 97(1): 109-115. 

  31. Kim JI, Kang MJ. Recent consumption and physiological status of vitamin D in Korean population. Food Ind Nutr 2012; 17(2): 7-10. 

  32. Nakamura K, Saito T, Oyama M, Oshiki R, Kobayashi R, Nishiwaki T, Nashimoto M, Tsuchiya Y. Vitamin D sufficiency is associated with low incidence of limb and vertebral fractures in community-dwelling elderly Japanese women: the Muramatsu Study. Osteoporos Int 2011; 22(1): 97-103. 

  33. Woo J, Lau E, Swaminathan R, Pang CP, MacDonald D. Biochemical predictors for osteoporotic fractures in elderly Chinese--a longitudinal study. Gerontology 1990; 36(1): 55-58. 

  34. Scragg R, Camargo CA Jr. Frequency of leisure-time physical activity and serum 25-hydroxyvitamin D levels in the US population: results from the Third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Am J Epidemiol 2008; 168(6): 577-586. 

  35. Yoon JS, Song MK. Vitamin D intake, outdoor activity time and serum 25-OH vitamin D concentrations of Korean postmenopausal women by season and by age. Korean J Community Nutr 2015; 20(2): 120-128. 

  36. McCabe LD, Martin BR, McCabe GP, Johnston CC, Weaver CM, Peacock M. Dairy intakes affect bone density in the elderly. Am J Clin Nutr 2004; 80(4): 1066-1074. 

  37. Yoon SS. Review: Distribution, lactose malabsorption, and alleviation strategies of lactose intolerance. J Korean Dairy Technol Sci Assoc 2009; 27(2): 55-6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