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오미자(Schizandra chinensis) 열매 추출물의 Lactobacillus plantarum 젖산발효를 통한 고농도 GABA 함유 발효음료 제조
Production of fermented Omija (Schizandra chinensis) beverage fortified with high content of gamma-amino butyric acid using Lactobacillus plantarum 원문보기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v.23 no.3, 2016년, pp.326 - 334  

이효선 (계명대학교 식품가공학과) ,  권순영 (계명대학교 식품가공학과) ,  이승욱 (계명대학교 식품가공학과) ,  이삼빈 (계명대학교 식품가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오미자 열매를 이용하여 기능성물질인 GABA를 강화시킨 오미자 젖산발효음료를 개발하기 위해서 L. plantarum EJ2014에 의한 젖산발효 최적화를 수행하였다. 오미자 열매 추출액을 젖산 발효시킨 경우 발효 2일 동안 생균수 $4.0{\times}10^7CFU/mL$수준을 유지하면서 젖산균 증식이 미비하였지만 영양성분 YE와 MSG를 함께 첨가한 경우 50배 정도 증가된 $2.2{\times}10^9CFU/mL$생균수를 나타내었다. 특히 젖산발효 3일 동안에 대조군, MSG, YE를 각각 첨가군에서 초기 pH 3-4 수준에서 유지되었다. 반면에 YE와 MSG를 함께 첨가한 발효물은 pH가 증가되면서 pH 5.0 이상을 나타내었으며, 초기 산도 1.74%에서 발효 3일에 0.56% 수준으로 감소하였다. 오미자 열매 추출물인 대조군과 2% MSG 또는 0.5% YE만을 첨가한 조건에서는 GABA로 소량 전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MSG와 YE를 함께 첨가한 경우 젖산발효 1일째부터 GABA가 생성되면서 3일째에는 MSG 2%를 거의 소진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HPLC 정량분석으로 0.92% GABA 생성이 확인되었다. MSG와 YE함께 첨가한 발효조건에서는 젖산발효 1일째부터 발효물은 붉은 색이 퇴색되면서 황색으로 변화하였으며, 발효 초기에 적색을 나타내는 a값이 15.74에서 발효 후에 5.39로 크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색, 맛, 향 등을 포함한 전반적인 기호도를 나타낸 관능평가에서 오미자 착즙 원액과 발효물 100%인 실험군에서 점수가 각각 4.50, 4.33을 기록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기호도를 나타낸 반면에 발효물 50% 첨가한 실험군이 6.33으로 가장 높은 기호도 점수를 나타내었다. 오미자 열매 추출액에 오미자 발효물을 50% 첨가함으로서 기호성이 우수하며 고농도 GABA와 probiotic을 함유한 오미자 발효음료의 제조가 가능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mija (Schizandra chinensis) extract (OE) was fermented by using Lactobacillus plantarum EJ2014 to produce a beverage fortified with gamma-aminobutyric acid (GABA). After 2 days of fermentation in the presence of 2% monosodium glutamate (MSG) and 0.5% yeast extract (YE), the four-fold-diluted OE sh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오미자 열매의 고유한 영양 및 기능성 성분에 기능성 GABA성분이 강화된 식품소재의 개발은 농산물의 부가가치화를 통해 산업적으로 의미 있는 연구라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는 건강 식품소재로서 널리 이용되는 오미자 열매의 고부가가치화를 위해서 유용 식물성 젖산균의 발효를 최적화함으로서 고농도 GABA 및 probiotics를 함유한 기능성 오미자 발효음료를 제조하는 기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γ-Aminobutyric acid의 건강 기능 효과는? GABA의 대사는 에너지를 생산하고 TCA 회로에서 산화를 위한 탄소의 제공, 질소 저장화합물 및 아미노산 대사산물 등의 여러 가지 기능이 알려져 있다(18). 또한 GABA는 치매예방, 면역 및 기억력증진, 불면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19,20). 자연계에서 GABA는 발아 쌀 녹차, 현미 등에 미량 포함되어 있지만, 최근 다양한 미생물에 의해 GABA생산을 증진시키기 위한 연구가 수행되었다(19).
안토시아닌 색소의 안정성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은? 과실의 대표적인 phytochemical인 안토시아닌은 cyanidin계의 고유한 색으로 수용성 식용색소로 이용가능성이 높지만, 다른 색소 성분에 비해 가공 공정 중에 불안정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2). 특히, 안토시아닌 색소의 안정성은 pH, 온도, 빛, 효소, 산소, 당류, 유기산, 금속이온 등의 존재여부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을 보고되었다(3-6). 오미자 열매는 유기산 함량이 매우 높은 과실로서 천연 발효에 어려움이 있어, 오미자 열매를 알코올로 침출 또는 오미자 열매를 당절임에 의한 추출차로서 널리 이용되어 왔다.
젖산균을 이용한 대표적인 발효제품은? 젖산균은 요구르트, 김치 등 발효제품에 주로 이용되어 왔으며, 최근 probiotics로서 다양한 기능성이 밝혀지면서 젖산균을 응용한 발효 식품이 건강식품으로서 각광을 받고 있다(11,12). 젖산균이 대장 내에서 혐기성 세균, 포자형성 세균 및 독소생성 세균들의 증식을 억제하기 때문에 장내 균총 개선 및 장수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이 보고되었다(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Chang SK, Alasalvar C, Shahidi F (2016) Review of dried fruits: phytochemicals, antioxidant efficacies, and health benefits. J Functional Foods, 21, 113-132 

  2. Hwang ES, Ki KN (2013) Stability of the Anthocyanin pigment extracted from aronia (Aronia melancocarpa). Korean J Food Sci Technol, 45, 416-421 

  3. Cho SB, Kim HJ, Yoon JI, Chun HS (2003) Kinetic study on the color deterioration of crude anthocyanin extract from Schizandra fruit (Schizandra chinensis fructus).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23-27 

  4. Chung KW, Joo YH, Lee DJ (2004) Content and color difference of anthocyanin by different storage periods in seed coats of black soybean [Glycine max (L.) Merr.]. Kor J Int Agric, 16, 196-199 

  5. Hong JH, Chung HS, Hong U, Youn KS (2002) Storage stability of anthocyanin pigment isolated from a wasted grape peels. Korean J Food Preserv, 9, 327-331 

  6. Yang HC, Lee JM, Song KB (1982) Anthocyanins in cultured Omija (Schizandrea chinensis Baillon) and its stability. J Korean Agric Chem Soc, 25, 35-43 

  7. Hong KH, Nam ES, Park SI (2003) Effect of water extract of omija (Schizandra chinensis) on growth of yoghurt starter.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3, 333-341 

  8. Park SS (2013) Biochemical characterization and biological activity of Schizandra chinensis (Turcz.) Baill fermented by Lactobacillus fermentum MieW L1106. MS thesis, Dong-A University, Korea, 1-2 

  9. Molokovskii DS, Davydov VV, Tiulenev VV (1989) The action of adaptogenic plant preparations in experimental alloxan diabetes. Probi Endokrinol, 35, 82-87 

  10. Zhu M, Lin KF, Yeung RY, Li RC (1999) Evaluation of the protective effects of Schisandra chinensis on phase I drug metabolism using a CCl4 intoxication model. J Ethnopharmacol, 67, 61-68 

  11. Ingram M (1975) The lactic acid bacteria: a broad view. In Lactic acid bacteria in Beverages and food. Academic Press, London, UK, p 1-13 

  12. Sanders ME (1998) Overview of functional foods: emphasis on probiotic bacteria. Int Dairy Journal, 8, 341-347 

  13. Metchnikoff E (1908) The prolongation of life. C.P. Putanama's sons. New York, USA, 161 

  14. Miral BK, Steinkraus KH (1974) Growth of Lactic acid bacteria in soy milks. J Food Sci, 39, 1018-1022 

  15. Fleming HP, Mcfeeters RF, Thompson RL, Sander DC (1983) Storage stability of vegetable fermented with pH control. J Food Sci, 48, 975-981 

  16. Cagno RD, Coda R, Angelis MD, Gobbetti M (2013) Exploitation of vegetables and fruits through lactic acid fermentation. Food Microbiol, 33, 1-10 

  17. Mody I, Dekoninck Y, Otis TS, Soltesz I (1994) Bringing the cleft at GABA synapses in the brain. Trends Neurosci, 17, 517-525 

  18. Bown AW, Shelp BJ (1997) The metabolism and function of ${\gamma}$ -aminobutyric acid. Plant Physiol, 115, 1-5 

  19. Diana M, Quilez J, Rafecas M (2014) Gamma-aminobutyric acid as a bioactive compound in foods: a review. J Functional Foods, 10, 407-420 

  20. Oh SH, Oh CH (2003) Brown rice extracts with enhanced levels of GABA stimulate immune cells. Food Sci Biotechnol, 12, 248-252 

  21. Luchsinger WW, Cornesky RA (1962) Reducing power by the dinitrosalicylic acid method. Anal Biochem, 4, 346-347 

  22. Mocan A, Crisan G, Vlase L, Crisan O, Vodnar DC, Raita O, Gheldiu AM, Toiu A, Oprean R, Tilea I (2014) Comparative studies on polyphenolic composition,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Schisandra chinensis leaves and fruits. Molecules, 19, 15162-15179 

  23. Kim YS, Kim YS, Kim SY, Whang JH, Suh HJ (2008) Application of omija (Schisandra chinensis) and plum (Prunus mume) extracts for the improvement of kimchi quality. Food Control, 19, 662-669 

  24. Drinan DF, Robin S, Cogan TM (1976) Citric acid metabolism in hetero-and homo-fermentative lactic acid bacteria. Appl Environ Microbiol, 31, 481-486 

  25. Feehily C, Karatzas, KA (2013) Role of glutamate metabolism in bacterial responses towards acid and other stresses. J Appl Microbiol, 114, 11-2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