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SBAR 프로그램이 암 병동 간호사의 의사소통명확성, 임상수행능력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SBAR Program on Communication Clarity, Clinical Competence and Self-efficacy for Nurses in Cancer Hospitals

재활간호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nursing, v.19 no.1, 2016년, pp.20 - 29  

김윤화 (동남권원자력의학원) ,  최윤숙 (동남권원자력의학원) ,  전혜영 (동남권원자력의학원) ,  김명자 (동의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Situation, Background, Assessment, Recommendations(SBAR) program and to test the effects of the program on communication clarity, clinical competence, and self-efficacy for clinical nurses in cancer hospitals. Methods: This study applied a nonequiva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SBAR 도구를 적용한 의사소통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암 병동 간호사에게 120분간의 프로그램에 대한 교육과 총 6주간 SBAR 프로그램을 적용한 후, 간호사의 의사소통명확성과 임상수행능력,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 본 연구는 암 병동 간호사들을 대상으로 SBAR 프로그램을 개발, 적용한 후 간호사의 의사소통명확성, 임상수행능력,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보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시차설계(nonequivalent control group non-synchronized design)이다.
  • 본 연구는 암 병동 간호사를 대상으로 SBAR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환자상태에 대해 의사와의 의사소통 상황에 적용한 후 간호사의 의사소통명확성, 임상수행능력,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 또한 내·외과 간호사 73명을 대상으로 의사소통 기술 훈련의 효과를 확인한 연구(Khodadadi, Ebrahimi, Moghaddasian, & Babapour, 2013)에서 의사소통 기술의 훈련이 의사소통 능력과 간호의 질을 향상시킨 것과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본 연구에서는 암병동 간호사를 대상으로 SBAR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임상수행능력을 증진시켰으므로, 환자 질환과 상태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는 SBAR 도구를 개발하여 임상 현장에서의 반복 연구를 통해서 SBAR 프로그램이 간호사의 임상수행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할 필요가 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암 병동에 근무하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SBAR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그 효과를 평가하는 것이다.
  • 이에 본 연구는 암 병동에서 의료진 간 의사소통 시 빈번하게 이루어지는 다빈도 간호문제를 대상으로 표준화된 의사소통 위한 도구로서 SBAR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간호사에게 교육하여 적용한 후 암 병동 간호사의 의사소통명확성, 임상수행능력과 자기효능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고 향후 임상현장에 유용한 의사소통 도구와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의사 또는 동료 간호사와의 의사소통 과정에서 정보를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표준화된 도구활용이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간호사는 병원 내 많은 의료 인력과 환자와의 소통을 매개하고 있어 다양한 임상 상황에 유능하게 대처하고 효율적 의사소통을 수행할 수 있어야 하며 이는 임상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최소화하는데 기여한다. 경력이 미비한 간호사는 암 환자의 호소나 상태에 대해 사정하여 다른 의료인에게 구두 보고할 때 스트레스에 직면하고 두려움을 가지게 되고, 경력이 오래되어 임상간호 역량이 우수한 간호사도 환자에 대한 유용한 정보를 빠뜨리고 의사소통하는 실수를 할 수 있다. 이에 의사 또는 동료 간호사와의 의사소통 과정에서 환자 상태 보고에 필요한 정보를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표준화된 도구를 활용함으로써 간호의 과정에서 의사소통명확성, 임상수행능력과 임상실무 수행에 대한 자기효능감을 증대시켜 궁극적으로는 간호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의사소통명확성이란 무엇인가? Redfield (1953)는 의사소통명확성은 의사소통 원칙의 구성요소 중 하나이며, 전달자가 그 의도하는 바를 말하고 피전달자가 그 의미를 정확하게 이해하는 것이라고 했다(Park, 2010). The Joint Commission (TJC, 미국의 의료기관인증기관)에서는 2011년 적신호 사건의 60% 이상이 의사소통 실패로 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직무만족감과 재직의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Compton et al.
간호사와 의사 간의 의사소통에서 나타나는 부정적인 형태는 무엇인가? , 2010). 간호사와 의사 간의 의사소통을 살펴보면 의사는 환자 치료에 필요한 정보를 간단명료하게 듣기를 원하여(De Meester, Verspuy, Monsieurs, & Van Bogaert, 2013) 간호사의 보고에서 핵심을 기다리는 것에 대해 짜증스러워 하는 경우가 있고, 간호사들은 의사에게 연락할 때 종종 두려움을 표현하며 연락하는 것을 미루다가 결과적으로 환자의 치료가 지연되는 경우가 있다(Thomas, Bertran, & Johnson, 200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andura, E. (1982). Self-efficacy mechanism in human agency. American Psychology, 37(2), 122-147. http://dx.doi.org/10.1037/0003-066X.37.2.122 

  2. Barrett, C., & Myrick, F. (1998). Job satisfaction in preceptorship and its effect on the clinical performance of the preceptee.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7(2), 364-371. 

  3. Beckett, C. D., & Kipnis, G. (2009). Collaborative communication: Integrating SBAR to improve quality/patient safety outcomes. Journal For Healthcare Quality: Official Publication Of The National Association For Healthcare Quality, 31(5), 19-28. 

  4. Charlton, C. R., Dearing, K. S., Berry, J. A., & Johnson, M. J. (2008). Nurse practitioners' communication styles and their impact on patient outcomes: An integrated literature review.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Nurse Practitioners, 20(7), 382-388. http://dx.doi.org/10.1111/j.1745-7599.2008.00336.x 

  5. Cheraghi, F., Hassani, P., Yaghmaei, F., & Alavi-Majed, H. (2009). Developing a valid and reliable self-efficacy in clinical performance scale. International Nursing Review, 56(2), 214-221. http://dx.doi.org/10.1111/j.1466-7657.2008.00685.x 

  6. Cho, H. J. (2013). The effect of SBAR program education on a nurse's communication clarify and self express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7. Cho, Y. A., Kim, M. K., Cho, M. S., & Nam, E. Y. (2013). Nurses’ communications with health professional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9(1), 20-32 

  8. Compton, J., Copeland, K., Flanders, S., Cassity, C., Spetman, M., Xiao, Y., & Kennerly, D. (2012). Implementing SBAR across a large multihospital health system. Joint Commission Journal on Quality and Patient Safety, 38(6), 261-268. 

  9. De Meester, K., Verspuy, M., Monsieurs, K. G., & Van Bogaert, P. (2013). SBAR improves nurse-physician communication and reduces unexpected death: A pre and post intervention study. Resuscitation, 84(9), 1192-1196. http://dx.doi.org/10.1016/j.resuscitation. 2013.03.016 

  10. Doyle, D., Copeland, H. L., Bush, D., Stein, L., & Thompson, S. (2011). A course for nurses to handle difficult communication situation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impact on self-efficacy and performance. Patient Education & Counseling, 82(1), 100-109. http://dx.doi.org/10.1016/j.pec.2010.02.013 

  11. Haig, K. M., Sutton, S., & Whittington, J. (2006). SBAR: A shared mental model for improving communication between clinicians. Joint Commission Journal on Quality and Patient Safety, 32(3), 167-175. 

  12. Hsu, L. L., Huang, Y. H., & Hsieh, S. I. (2014). The effects of scenariobased communication training on nurses'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self-efficacy and myocardial infarction knowledge. Patient Education And Counseling, 95(3), 356-364. http://dx.doi.org/10.1016/j.pec.2014.03.010 

  13. Kang, M. J., & Lee, H. J. (2006). The effect of assertiveness training on communication related factors and personnel turnover rate among hospit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6(5), 681-690. 

  14. Khodadadi, E., Ebrahimi, H., Moghaddasian, S., & Babapour, J. (2013). The effect of communication skills training on quality of care, self-efficacy, job satisfaction and communication skills rate of nurses in hospitals of tabriz, iran. Journal of Caring Sciences, 2(1), 27-37. http://dx.doi.org/10.5681/jcs.2013.004 

  15. Kim, E. M., Yu, M., & Ko, J. W. (2015). Development of nurse's handover standards between hospital units using SBAR.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1(1), 127-142. 

  16. Lee, A. K. (2013). Comparison of self-efficacy, clinical performance and communication ability of between clinical nurses and oncology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Jinju. 

  17. Lee, A. K., Yeo, J. Y., Jung, S. W., & Byun, S. S. (2013). Relation on communication competence, job-stress and job satisfaction of clinical nurse.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3 (12), 299-308. http://dx.doi.org/10.5392/JKCA.2013.13.12.299 

  18. Lee, H. S., & Kim, J. K. (2010). Relationship among communication competence, communication type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hospit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6(4), 488-496. 

  19. Lee, S. L. (2013). The effect of knowledge and self-efficacy on hospital nurses nursing performance regarding oxygen therapy.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20. Marshall, S., Harrison, J., & Flanagan, B. (2009). The teaching of a structured tool improves the clarity and content of interprofessional clinical communication. Quality & Safety in Health Care, 18(2), 137-140. http://dx.doi.org/10.1136/qshc.2007.025247 

  21. Mitchell, E. L., Lee, D. Y., Arora, S., Kwong, K. L., Liem, T. K., Landry, G. L., et al. (2012). SBAR M&M: A feasible, reliable, and valid tool to assess the quality of, surgical morbidity and mortality conference presentations. The American Journal of Surgery, 203(1), 26-31. http://dx.doi.org/10.1016/j.amjsurg.2011.07.008 

  22. Novak, K., & Fairchild, R. (2012). Bedside reporting and SBAR: Improving patient communication and satisfaction. Journal of Pediatric Nursing, 27(6), 760-762. http://dx.doi.org/10.1016/j.pedn.2012.09.001 

  23. Park, J. A., & Kim, B. J. (2009).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clinical competence in general hospit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9(6), 840-850. http://dx.doi.org/10.4040/JKAN.2009.39.6.840 

  24. Park, Y. H. (2010). A study on the communication system model and recognition analysis of president-staffs communication in universit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Wonkwang University, Iksan. 

  25. Renz, S. M., Boltz, M. P., Wagner, L. M., Capezuti, E. A., & Lawrence, T. E. (2013). Examining the feasibility and utility of an SBAR protocol in long-term care. Geriatric Nursing, 34(4), 295-301. http://dx.doi.org/10.1016/j.gerinurse.2013.04.010 

  26. Schwirian, P. M. (1978). Evaluating the performance of nurses: A multidimensional approach. Nursing Research, 27(6), 347-351. 

  27. Seo, E. A., Park, K. M., & Lee, B. S. (2003). Relations between the types of communication and, job satisfaction and nursing performance in staff nurses.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17(2), 317-332. 

  28. Seo, M. J. (2000). Burnout and coping type of oncology nurs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29. Sheldon, L. K., Barrett, R., & Ellington, L. (2006). Difficult communication in nursing. Journal of Nursing Scholarship, 38(2), 141-147. 

  30. Thomas, C. M., Bertram, E., & Johnson, D. (2009). The SBAR communication technique: Teaching nursing students professional communication skills. Nurse Educator, 34(4), 176-180. http://dx.doi.org/10.1097/NNE.0b013e3181aaba5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