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음성인식 기반 응급상황관제
Emergency dispatching based on automatic speech recognition 원문보기

말소리와 음성과학 =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v.8 no.2, 2016년, pp.31 - 39  

이규환 (서울대학교 인문정보연구소) ,  정지오 ,  신대진 ,  정민화 (서울대학교) ,  강경희 (가천대학교 응급구조학과) ,  장윤희 (인하대학교 한국어문학과) ,  장경호 (인하대학교 사회교육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emergency dispatching at 119 Command & Dispatch Center, some inconsistencies between the 'standard emergency aid system' and 'dispatch protocol,' which are both mandatory to follow, cause inefficiency in the dispatcher's performance. If an emergency dispatch system uses automatic speech recognit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구급 신고 전화 전사의 주요목적은 증상표현에 대해서 분석하기 위해서이다. 신고자의 증상 표현의 경우, 동일 증상에 대한 다양한 표현이 존재하고 다른 증상임에도 동일하거나 유사한 표현이 존재한다.
  • 그러나 이들의 업무 수행에 필수적으로 활용하는 ‘긴급구조표준시스템’과 ‘수보 프로토콜’이 연계성을 갖지 못함으로써 수보업무의 효율성이 떨어지고 있다[10]. 따라서 수보요원의 업무를 효과적으로 지원하고 위기 상황 대응의 신속성과 정확성을 높이기 위한 기술 개발로 음성인식 기술을 수보요원 프로토콜에 적용해 보고자 한다.
  • 먼저 현재 응급상황관제 시스템에 음성인식 기술을 적용 방법에 대해서 살펴본다. 그리고, 응급관제시스템의 대용량 음성인식기 개발에 대해서 살펴본다.
  • 본 연구는 대화체 음성을 그 대상으로 하며, 인식된 텍스트를 기반으로 다양한 지식 정보를 추출하는 음성기술 서비스로 수보요원 도우미 역할을 한다. 자연어 대화체 음성을 인식하기 위해 대용량 음성인식기 모델 개발과 녹취록 분석에서 사용되는 후처리 기법이 접목되어 사용되고 응급상황관제시스템에 적용하기 위한 한국어 연속음성인식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 WordPiece Model은 모든 음절의 통계치를 기본으로 시작하여 음절을 붙여가는 방식인데 이 방법은 구글에서와 같이 대용량의 텍스트 말뭉치를 보유하고 있어야 의미 있는 인식단위가 추출되고 많은 계산량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실제 사용하기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구글의 WordPiece Model과는 다르게 음절이 아닌 어절단위 Unigram과 Bigram 빈도수를 이용하여 긴어절을 분할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대용량 음성 인식기를 개발하여 응급관제시스템에 적용함으로써, 수보 프로토콜과 신고 접수업무와의 연계성을 높여 수보업무의 효율성을 높이고자 시도하였다. 대용량음성 인식기를 위한 발음모델은 40만 어휘 크기로 사전을 구성하였으며, 음향모델은 DNN-HMM 형식으로 개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WordPiece Model 사용 시, 한계점은 무엇인가? 구글에서는 앞서 제기한 여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문자(한글), 숫자, 영문자 등을 구분하지 않고 모두 심볼로 처리하면서 대용량의 텍스트 말뭉치로부터 통계적 빈도수로 인식단위를 추출하는 WordPiece Model[5] 이라는 개념을 사용했다. WordPiece Model은 모든 음절의 통계치를 기본으로 시작하여 음절을 붙여가는 방식인데 이 방법은 구글에서와 같이 대용량의 텍스트 말뭉치를 보유하고 있어야 의미 있는 인식단위가 추출되고 많은 계산량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실제 사용하기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구글의 WordPieceModel과는 다르게 음절이 아닌 어절단위 Unigram과 Bigram 빈도수를 이용하여 긴어절을 분할하고자 한다.
응급상황관제시스템을 두 가지로 구분했을 때, 각각의 단점은 무엇인가? 전 세계적으로 응급상황관제시스템은 크게 두 가지 유형, 즉 프로토콜(protocol) 형태의 MPD(Medical Priority Dispatch)와 가이드라인(guideline) 형태의 CBD(Criteria Based Dispatch)로 구분되며, 국가별 또는 지역별 여건에 따라 사용되는 응급상황관제시스템이 다르다. 현재 사용하는 프로토콜 형태의 MPD방식은프로토콜 시퀀스를 따르는 대화가 이루어지기 힘든 단점이 있고, 가이드라인 형태의 CBD방식은 교육 훈련을 많이 받아야 하고 경험이 풍부해야 하는데 현실적으로 그렇지 못한 단점이 있다.
응급상황관제시스템은 크게 무엇으로 구분되는가? 전 세계적으로 응급상황관제시스템은 크게 두 가지 유형, 즉 프로토콜(protocol) 형태의 MPD(Medical Priority Dispatch)와 가이드라인(guideline) 형태의 CBD(Criteria Based Dispatch)로 구분되며, 국가별 또는 지역별 여건에 따라 사용되는 응급상황관제시스템이 다르다. 현재 사용하는 프로토콜 형태의 MPD방식은프로토콜 시퀀스를 따르는 대화가 이루어지기 힘든 단점이 있고, 가이드라인 형태의 CBD방식은 교육 훈련을 많이 받아야 하고 경험이 풍부해야 하는데 현실적으로 그렇지 못한 단점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Alumae, T. (2014). Full-duplex Speech-to-text system for Estonian. Proceedings of Baltic HLT (pp. 3-10). 

  2. Levenshtein, V. I. (1966). Binary codes capable of correcting deletions, insertions, and reversals. Soviet Physics Doklady, 10(8), 707-710. 

  3. Povey, D., Ghoshal, A., Boulianne, G., Burget, L., Glembek, O., Goel, N., Hannemann, M., Motlicek, P., Qian, Y., Schwarz, P., Silovsky, J., & Vesely, K. (2011). The Kaldi speech recognition toolkit. Proceedings of IEEE Workshop on Automatic Speech Recognition and Understanding. 

  4. Povey, D., Ghoshal, A., Boulianne, G., Burget, L., Glembek, O., Goel, N., Hannemann, M., Motlicek, P., Qian, Y., Schwarz, P., Silovsky, J., & Vesely, K. (2011). Online decoding in Kaldi. Retrieved from http://kaldi-asr.org/doc/online_decoding.html on February 25, 2016. 

  5. Schuster, M. & Nakajima, K. (2012). Japanese and Korean voice search. Proceedings of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coustics, Speech and Signal Processing (pp. 5149-5152). 

  6. Stolcke, A., Zheng, J., Wang, W., & Abrash, V. (2011). SRILM at sixteen: Update and outlook. Proceedings of IEEE Workshop on Automatic Speech Recognition and Understanding. 

  7. Zhang, X., Trmal, J., Povey, D. & Khudanpur, S. (2014). May. Improving deep neural network acoustic models using generalized maxout networks. Proceedings of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coustics, Speech and Signal Processing (pp. 215-219). 

  8. Chung, M., Lee, K., Shin, D., Chung, J., & Kang, K. (2016). Applying Speech Recognition Technology to Emergency Dispatch.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pp. 77-78). (정민화.이규환.신대진.정지오.강경희 (2016). 음성인식기술의 응급상황관제 적용, 한국화재소방학회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77-78.) 

  9. Jang, Y., Kang, K., Kim, J., & Kim, K. (2016). A study of Korean symptom expression in emergency call.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75-76. (장윤희.강경희.김준태.김경혜 (2016). 구급 신고 전화에서의 한국어 증상 표현 연구, 한국화재소방학회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75-76.) 

  10. Kang, K. (2015). A comparison of information gathering and protocol in dispatching.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pp. 119-120). (강경희 (2015). 구급 신고 접수와 수보요원의 도입부 수보 프로토콜의 비교, 한국화재소방학회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119-120.) 

  11. Kim, K., Lee, D., Lim, M., & Kim, J. (2015). Input Dimension Reduction based on Continuous Word Vector for Deep Neural Network Language Model.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7(4), 3-8. (김광호.이동현.임민규.김지환 (2015). Deep Neural Network 언어모델을 위한 Continuous Word Vector 기반의 입력 차원 감소. 말소리와 음성과학, 7(4), 3-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