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건강가정지원센터의 공동육아나눔터에 관한 사례연구: 인천소재 공동육아나눔터의 물리적 실내공간환경을 중심으로

A Case Study on the Co-Child Care Sharing Space of the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 Focusing on the Physical Environment of Interior Space in Incheon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 fer, v.54 no.3, 2016년, pp.263 - 278  

최재순 (인천대학교 소비자 아동학과) ,  조정현 (가톨릭대학교 주거학) ,  공은희 (인천서구 건강가정.다문화가족지원센터 가족지원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in South Korea, family-friendly living environment in resident communities have emerged as an important issue in addressing problems created by personalized and fragmented family in urban areas. Since their foundation in 2005,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s provided a variety of community a...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공동육아나눔터를 사업이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 것인가의 관점에서 본다면 무엇인가? 건강가정지원센터에서 공동육아나눔터를 ‘어떻게 이용하고 있는가’의 관점에서 살펴본다면 공동육아나눔터의 터는 품앗이 참가자들이 계획하거나 원하는 활동을 수행할 수 있는 비어 있 는 공간으로서의 의미를 갖고 있다. 다른 한편에서 ‘사업이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 것인가’의 관점에서 파악한다면 공동육아 나눔을 위해 필요로 하는 다양한 정보, 부모 및 자녀교육 프로그램, 주민주도적인 공동육아나눔의 실천을 위한 역량강화의 장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공간이다[2].
공동육아나눔터를 어떻게 이용하고 있는가의 관점에서 본다면 어떤 의미를 갖는가? 공동육아나눔터는 공동육아, 나눔 그리고 터의 세 단어 합성어이다. 건강가정지원센터에서 공동육아나눔터를 ‘어떻게 이용하고 있는가’의 관점에서 살펴본다면 공동육아나눔터의 터는 품앗이 참가자들이 계획하거나 원하는 활동을 수행할 수 있는 비어 있 는 공간으로서의 의미를 갖고 있다. 다른 한편에서 ‘사업이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 것인가’의 관점에서 파악한다면 공동육아 나눔을 위해 필요로 하는 다양한 정보, 부모 및 자녀교육 프로그램, 주민주도적인 공동육아나눔의 실천을 위한 역량강화의 장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공간이다[2].
가족돌봄 정책으로 설치된 건강가정 지원센터에서는 무엇을 수행하고 있는가? 2004 년 건강가정지원법에 의한 건강가정 지원센터를 설립하기 시작하여 10년이 지난 지금 2014년 12월 말 기준 전국에 152개소의 건강가정지원센터가 있다. 전국의 시·군·구에 설치된 건강가정 지원센터에서는 아동이 건강한 지역사회의 일원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아동양육을 지원하는 아이돌보미 사업, 가족해체 예방을 지원하기 위한 가족돌봄나눔, 가족교육, 가족상담, 가족(친화)문화, 다양한 가족 통합지원 서비스, 지역사회 연계 등의 사업이 수 행되고 있다. 2013년 말 통계자료에 의하면 건강가정지원센터의 프로그램 참여자가 183만여 명으로 집계되었으며 그 중 가족돌봄 나눔 사업의 이용자가 599,721명으로 참여 인원이 가장 많은 프로그램으로 나타났다[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Cha, S. L. (2010). A discussion of the family-friendly village model and important factors.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28(2), 63-76. 

  2. Cha, S. L. (2012). Operating strategies for family-cooperative activities (Pumasi) and a cooperative child care place as a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s project. Journal of Korean Family Resource Management Association, 16(2), 187-210. 

  3. Cho, J. H., & Choi, J. S. (2014). Creating a family-friendly community support center for local community: Focus on the healthy family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in Seoul & Incheon.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52(5), 457-471. http://dx.doi.org/10.6115/fer.2014.039 

  4. Choi, J. S. (2013). Family friendly community environment for child and family care. Review Architecture and Building Science, 57(9), 18-24. 

  5. Headquarters for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s. (2010).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 manage guidebook: Co-child care sharing space consulting free board manual, 2010 . Seoul: Headquarters for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s. 

  6. Korean Institute for Healthy Family. (2012).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 manage guidebook. Retrieved March 13, 2012, from http://www.kihf.or.kr/ 

  7. Korean Institute for Healthy Family. (2013).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 manage guidebook: Family-Pumasi operation and co-child care sharing space consulting free board manual, 2013. Seoul: Korean Institute for Healthy Family. 

  8. Korean Institute for Healthy Family. (2014a). Family-Pumasi operation and co-child care sharing space free board interim report and work councils, 2014 . Seoul: Korean Institute for Healthy Family. 

  9. Korean Institute for Healthy Family. (2014b).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s nationwide annual business performance report. Seoul: Korean Institute for Healthy Family. 

  10. Kwon, S. J., Kim, S. G., Kim, S. J., Park, H. S., Seong, K. C., Shin, H. J., et al. (2011). Design guidelines for the innovative welfare facilities. Paju: Gyomoon Publishers. 

  11. Lee, S. J. (2002). Methodological development of physical environment rating scale for interior space of child care facility.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Journal, (33), 27-35. 

  12.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2011).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 business guidance. Seoul: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13.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2011). Seoul welfare facility universal design guideline: Childcare facility. Seoul: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