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방암생존자의 외상 후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Influencing Posttraumatic Growth in Survivors of Breast Cancer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6 no.3, 2016년, pp.454 - 462  

박진희 (아주대학교 간호대학.간호과학연구소) ,  정용식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외과 진료부) ,  정영미 (아주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Posttraumatic growth (PTG) is defined as 'positive psychological change experienced as a result of a struggle with highly challenging life circumstanc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level of PTG and its correlates in Korean patients with breast cancer. Methods: A sample 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유방암 진단 후 수술과 보조적 항암요법이 종료된 유방암 환자를 대상으로 외상 후 성장 정도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유방암 진단 후 수술과 보조적 항암요법이 종료된 지 1년 이내에 있는 유방암 환자 120명을 대상으로 외상 후 성장 정도와 외상 후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본 연구 대상자의 외상 후 성장 정도는 79.
  • 본 연구의 목적은 유방암 진단 후 수술과 보조적 항암요법이 종료된 환자를 대상으로 외상 후 성장 정도와 대처, 사회적 지지, 낙관성, 지각된 질병영향이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정도를 파악하기 위함이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처, 사회적 지지, 낙관성 그리고 지각된 질병영향을 주요 변수로 하여 유방암 진단 후 수술과 보조적 항암요법이 종료된 유방암 환자의 외상 후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확인된 영향요인은 유방암 환자의 외상 후 성장을 높이고 암생존자로의 적응을 도모하는 효과적인 중재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사용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에서 유방암이 다른 나라와 비교했을 때 어느 연령이 발병률이 높나? 8%를 차지한다[1]. 그러나 조기진단과 적극적인 보조요법으로 5년 상대 생존율은 평균 90% 이상으로 다른 암에 비해 높으며 더욱이 우리나라 유방암은 50대 이후에 호발하는 서구와는 달리 50대 이하에서의 발병률이 46.6%로 높다.
대처란? 대처란 개인이 감당할 수 있는 역량을 초과하는 스트레스 상황의 내외적 요구를 잘 다루기 위한 인지적이고 행동적인 노력을 말하며, 본 연구에서는 Moorey 등[21]이 개발하고 Kim 등[22]이 번역한 암 대처 질문지(Cancer Coping Questionnaire [CCQ])를 원저자의 승인을 받은 후 사용하였다. 본 도구는 개인 내 대처척도(total individual scale) 14문항과 대인 간 대처척도(interpersonal scale) 7문항인 총 21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혀 하지 않음 1점’에서 ‘매우 자주 함 4점’까지 4점 라이커트 척도로 되어 있으며 최저 21점에서 최대 84점으로 측정된 점수의 총합이 높을수록 암에 대한 대처가 긍정적임을 의미한다.
유방암 환자는 의학적 치료가 종료되고 관해기에 접어드는 시기 동안 무엇을 겪나? 삶을 위협하는 수술과 보조적 항암요법을 종료한 유방암 환자는 대체로 건강한 상태를 유지하며 암 진단 이전의 삶으로 돌아가기 위해 노력한다. 그러나 많은 유방암 환자들은 의학적 치료가 종료되고 관해기에 접어드는 시기 동안 피로, 통증, 림프부종과 같은 신체적 증상과 신체상 저하, 우울, 불확실성, 재발에 대한 두려움 등과 같은 정서적 문제 등으로 심각한 심리적 디스트레스를 경험한다[2]. 하지만 유방암 진단과 치료과정 동안 유방암 환자는 이러한 부정적인 면만을 경험하는 것이 아니라 삶에 대한 감사가 증가하고, 인생의 중요한 목표를 새롭게 설정하며, 자신의 강점을 발견하고 새로운 가능성을 타진하거나 친밀한 관계의 가치와 중요성을 인식하는 등 긍정적인 변화도 경험하는데 이를 외상 후 성장이라고 한다[2-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Korean Breast Cancer Society. Breast cancer facts & figures 2014. Seoul: Author; 2014. 

  2. Liu JE, Wang HY, Wang ML, Su YL, Wang PL. Posttraumatic growth and psychological distress in Chinese early-stage breast cancer survivors: A longitudinal study. Psycho-Oncology. 2014;23(4):437-443. http://dx.doi.org/10.1002/pon.3436 

  3. Tedeschi RG, Calhoun LG. The posttraumatic growth inventory: Measuring the positive legacy of trauma. Journal of Traumatic Stress. 1996;9(3):455-471. http://dx.doi.org/10.1007/bf02103658 

  4. Yun M, Song M. A qualitative study on breast cancer survivors' experiences. Perspectives in Nursing Science. 2013;10(1):41-51. 

  5. Tedeschi RG, Calhoun LG. Posttraumatic growth: Conceptual foundations and empirical evidence. Psychological Inquiry. 2004;15(1):1-18. http://dx.doi.org/10.1207/s15327965pli1501_01 

  6. Danhauer SC, Case LD, Tedeschi R, Russell G, Vishnevsky T, Triplett K, et al. Predictors of posttraumatic growth in women with breast cancer. Psycho-Oncology. 2013;22(12):2676-2683. http://dx.doi.org/10.1002/pon.3298 

  7. Silva SM, Crespo C, Canavarro MC. Pathways for psychological adjustment in breast cancer: A longitudinal study on coping strategies and posttraumatic growth. Psychology & Health. 2012;27(11):1323-1341. http://dx.doi.org/10.1080/08870446.2012.676644 

  8. Bellizzi KM, Blank TO. Predicting posttraumatic growth in breast cancer survivors. Health Psychology. 2006;25(1):47-56. http://dx.doi.org/10.1037/0278-6133.25.1.47 

  9. Wang ML, Liu JE, Wang HY, Chen J, Li YY. Posttraumatic growth and associated socio-demographic and clinical factors in Chinese breast cancer survivors. European Journal of Oncology Nursing. 2014;18(5):478-483. http://dx.doi.org/10.1016/j.ejon.2014.04.012 

  10. Thornton AA, Perez MA. Posttraumatic growth in prostate cancer survivors and their partners. Psycho-Oncology. 2006;15(4):285-296. http://dx.doi.org/10.1002/pon.953 

  11. Bozo O, Gundogdu E, Buyukasik-Colak C. The moderating role of different sources of perceived social support on the dispositional optimism-posttraumatic growth relationship in postoperative breast cancer patients.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2009;14(7):1009-1020. http://dx.doi.org/10.1177/1359105309342295 

  12. Scheier MF, Carver CS, Bridges MW. Distinguishing optimism from neuroticism (and trait anxiety, self-mastery, and self-esteem): A reevaluation of the life orientation tes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1994;67(6):1063-1078. http://dx.doi.org/10.1037/0022-3514.67.6.1063 

  13. Buyukask-Colak C, Gundogu-Akturk E, Bozo O. Mediating role of coping in the dispositional optimism-posttraumatic growth relation in breast cancer patients. The Journal of Psychology. 2012;146(5):471-483. http://dx.doi.org/10.1080/00223980.2012.654520 

  14. Buxton A. Posttraumatic growth in survivors of breast cancer: The role of dispositional optimism, coping strategies, and psychosocial interventions [dissertation]. Toronto, CA: University of Toronto; 2011. p. 1-137. 

  15. Sears SR, Stanton AL, Danoff-Burg S. The yellow brick road and the emerald city: Benefit finding, positive reappraisal coping and posttraumatic growth in women with early-stage breast cancer. Health Psychology. 2003;22(5):487-497. http://dx.doi.org/10.1037/0278-6133.22.5.487 

  16. Cordova MJ, Giese-Davis J, Golant M, Kronenwetter C, Vickie C, Spiegel D. Breast cancer as trauma: Posttraumatic stress and posttraumatic growth.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in Medical Settings. 2007;14(4):308-319. http://dx.doi.org/10.1007/s10880-007-9083-6 

  17. Yang AJ. Mindfulness, positive cancer coping styles, and posttraumatic growth in breast cancer survivor: The mediating effect of positive coping styles [master's thesis]. Seoul: Ewha Womans University; 2009. p. 1-81. 

  18. Lee S, Kim YJ. Posttraumatic growth of patients with breast cancer.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2;42(6):907-915. http://dx.doi.org/10.4040/jkan.2012.42.6.907 

  19. Kim HJ, Kwon JH, Kim JN, Lee R, Lee KS. Posttraumatic growth and related factors in breast cancer survivors.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2008;13(3):781-799. 

  20. Song SH, Kim KH, Hong SL, Park JH.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posttraumatic growth inventory.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2009;14(1):193-214. http://dx.doi.org/10.17315/kjhp.2009.14.1.012 

  21. Moorey S, Frampton M, Greer S. The Cancer coping questionnaire: A self-rating scale for measuring the impact of adjuvant psychological therapy on coping behaviour. Psycho-Oncology. 2003;12(4):331-344. http://dx.doi.org/10.1002/pon.646 

  22. Kim JN, Kwon JH, Kim SY, Yu BH, Hur JW, Kim BS, et al. Validation of Korean-cancer coping questionnaire (K-CCQ).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2009;9(2):395-414. http://dx.doi.org/10.17315/kjhp.2009.14.1.012 

  23. Zimet GD, Dahlem NW, Zimet SG, Farley GK. The multidimensional scale of perceived social support.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1988;52(1):30-41. http://dx.doi.org/10.1207/s15327752jpa5201_2 

  24. Shin JS, Lee YB.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s on psychosocial well-being of the unemployed.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1999;37:241-269. 

  25. Yom YM. The effect of learned optimism program for college students [master's thesis]. Daegu: Keimyung University; 1999. p. 1-97. 

  26. Devins GM, Binik YM, Hutchinson TA, Hollomby DJ, Barre PE, Guttmann RD. The emotional impact of end-stage renal disease: Importance of patients' perception of intrusiveness and control. International Journal of Psychiatry in Medicine. 1983;13(4):327-343. http://dx.doi.org/10.2190/5dcp-25bv-u1g9-9g7c 

  27. Suh M, Noh S, Devins GM, Kim K, Kim K, Song J, et al. Readjustment and social support of the post hospitalized stroke 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1999;29(3):639-655. 

  28. Seligman MEP. Learned optimism: How to change your mind and your life. Woo MS, Choi HY, translator. Anyang: Mulpure; 2012. p. 359-423. 

  29. Schroevers MJ, Helgeson VS, Sanderman R, Ranchor AV. Type of social support matters for prediction of posttraumatic growth among cancer survivors. Psycho-Oncology. 2010;19(1):46-53. http://dx.doi.org/10.1002/pon.1501 

  30. McDonough MH, Sabiston CM, Wrosch C. Predicting changes in posttraumatic growth and subjective well-being among breast cancer survivors: The role of social support and stress. Psycho-Oncology. 2014;23(1):114-120. http://dx.doi.org/10.1002/pon.338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