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스마트폰 동영상과 형성적 피드백을 활용한 핵심기본간호술 교육의 효과
Effectiveness of Education Program for Core Fundamental Nursing Skills using Recording Video with Smartphone and Formative Feedback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4 no.6, 2016년, pp.285 - 294  

채여주 (경상대학교 간호대학) ,  하영미 (건강과학연구원 노인건강연구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기관내 흡인실습교육을 중심으로 스마트폰 동영상과 형성적 피드백을 활용한 핵심기본간호술 교육이 대상자의 핵심기본간호술 지식, 핵심기본간호술 수행능력, 자기효능감, 학습동기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간호대학 2학년 학생 54명이 모집되었으며,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각각 27명씩 구성되었다. 실험군에게는 핵심기본간호술 지도 시 개별적인 형성적 피드백을 제공하였고, 수행과정을 스마트폰 동영상으로 촬영한 교육을 실시하였다. 대조군에게는 일반적 실습교육인 4시간 자율실습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실험군의 핵심기본간호술 지식, 핵심기본간호술 수행능력, 자기효능감, 학습동기가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간호대학에서 핵심기본간호술 교육 시 스마트폰 동영상을 활용한 반복학습과 형성적 피드백을 통한 정교한 학습이 이뤄질 수 있도록 교육현장에서 활발하게 활용되기를 고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knowledge of core fundamental nursing skills, clinical competency, self-efficacy and learning motivation) of education program for core fundamental nursing skills focusing on endotracheal suctioning using recording video with smartphone an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들의 핵심기본간호술 능력 향상을 통해 환자에게 안전한 간호를 제공하기 위함을 목적으로 스마트폰 동영상과 형성적 피드백을 활용한 핵심기본간호술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스마트폰 동영상과 형성적 피드백을 활용한 핵심기본간호술 교육은 간호대학생의 핵심기본 간호술 지식, 수행능력, 자기효능감, 학습동기를 높이는데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향후 간호대학에서 핵심기본간호술 교육 시 스마트폰 동영상을 활용한 반복학습과 형성적 피드백을 통한 정교한 학습이 이뤄질 수 있도록 교육현장에서 활발하게 활용되기를 고대한다.
  • 본 연구는 기관내 흡인실습교육을 중심으로 스마트폰 동영상과 형성적 피드백을 활용한 핵심기본간호술 교육이 핵심기본간호술 지식, 핵심기본간호술 수행능력, 자기 효능감, 학습동기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설계에 의한 유사 실험 연구이다.
  • 형성적 피드백을 적용한 선행연구에서 학생들의 지식[22], 자기효능감[23]에 효과적이라고 하였으나, 국내 간호학 교육에서 형성적 피드백을 활용한 학습효과에 관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려웠다. 이에 본 연구는 기관내 흡인실습 교육을 중심으로 스마트폰 동영상과 형성적 피드백을 활용한 핵심기본간호술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핵심기본간호술 지식, 핵심기본간호술 수행능력, 자기효능감, 학습 동기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핵심기본간호술이란? 핵심기본간호술이란 간호사 직무수행에 있어 수행빈도와 중요도가 높아 간호사 양성 교육과정 중에 필수적으로 학습되고 성취되어야 할 간호술을 말한다[5]. 한국간호교육평가원에서는 국내외 간호전문직에서 요구하는 간호사의 핵심역량을 보장하기 위해서 간호학생이 졸업 학년까지 필수적으로 성취해야할 간호술 20항목을 도출하여 공적인 합의절차를 거쳐 구체적으로 명시하였다.
피드백 교육전략의 한계는? 피드백 교육전략은 지식과 기술습득에 있어 핵심적인 요소로 잘 알려졌다[20]. 그러나 교육현장에서 제공되는 피드백이 학습수준의 차이를 고려하지 않고 제공될 경우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20]. 학생의 성취수준이나 학습준비도에 관계 없이 제공되는 일반적 피드백과 달리, 형성적 피드백은 학생의 성취도와 수행정도에 따라 피드백의 제공 시기를 달리하고 사전지식의 정도에 따라 피드백의 종류를 달리 하여 학습자의 학습 향상을 위해 자신의 생각이나 행동을 수정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말한다[20].
실습교육의 목표는? 간호학은 간호 실무의 지침이 되는 과학적 지식체이기 때문에 이론적 지식을 바탕으로 실무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실습교육이 필수적이다[1]. 실습교육의 목표는 간호학생에게 지속적이고 전문적인 교육을 통해 지식과 기술을 습득하게 하고 다양한 임상상황에 맞는 술기술을 적용해서 향후 간호사로서의 질적인 업무를 수행할 수있도록 하는 데 있다[2]. 간호대학에서는 이와 같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간호술기술 교육을 강조하고 있으며, 최근에 우리나라 간호계에서도 이에 대한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American Association of Colleges of Nursing, "The essential clinical resources for nursing academic missions." Washington. DC: Author, 2008. 

  2. R. J. Evans, & G. W. Donnelly, "A model to describe the relationship between knowledge, skill, and judgement in nursing practice." Nursing Forum, Vol. 41, No. 4, pp.150-157, 2006. 

  3. J. Yoon, G. J. Kim, & M. S. Choi, "The effects of OSCE aplication before clinical practice for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 119, No. 2, pp.273-284, 2013. 

  4. J. I. Kim, K. H. Kim, H. J. Paik, K. Y. Song, M. R. Eom, S. Y. Oh, W. S. Lee, O. J. Chang, H. S. Jeon, & D. S. Lee, "Study on the present status of practice of fundamentals of nursing and test for competency of nursing skill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 Nursing, Vol. 17 No. 3, pp.362-370, 2010. 

  5. 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Education, "Nursing education certification criteria home." 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Education, 2014. 

  6. D. W. Choi, "Clinical competence according to experiences on the essential of fundamental nursing skills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Nursing Education, Vol. 20, No. 2, pp.184-191, 2014. 

  7. M. S. Yoo, I. Y. Yoo, & Y. J. Son, "The effectiveness of standardized patient managed instruction in teaching foley catheterization skills, communication skills and learning motiva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 Nursing, Vol. 9, No. 1, pp.66-75, 2002. 

  8. I. H. Park, & S. J. Shin, "The effects of video-based peer assisted learning in standardized patients simulation: pre and post operative care."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ol. 27, No. 1, pp.73-82, 2015. 

  9. H. J. Chae, "The needs and effects of convergence-based simulation practice for obstrial nursing."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3, No. 9, pp.377-386, 2015. 

  10. E. H. Park, H. S. Kim, J. O. Kim, "The effect of convergence action learning techniques in simulation clas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 6, No. 5, pp.241-248, 2015. 

  11. M. Ross, G. Carrol, J. Knight, & M. Chamberlain, "Using OSCE to mearsure clinical skills performance in nursing." Journal of Advanced Nursing, Vol. 13, pp. 45-56, 1988. 

  12. Y. I. Han, "Core nursing simulation application." pp.17-18, Soomoonsa, 2015. 

  13. S. N. Yoon, S. Y. Kim, Y. S. Kim, C. M. Kim, & J. H. Park, "Community health education methods: a practical guide." pp.160-167, Soomoonsa, 2010. 

  14. A. Pulman, J. Scammell, & M. Martin, "Enabling interprofessional education: The role of technology to enhance learning." Nurse Education Today, Vol. 29, No. 2, pp.232-239, 2009. 

  15. J. Y. Chang, "Convergence of education and 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 A study on the communication characteristics of SNS affecting relationship development between proffessor and student."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 6, No. 6, pp.213-219, 2015. 

  16. D. W. Han, & M. C. Kang, "An exploratory study of applying SNS to lecture and professor trust."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2, No. 10, pp.531-539, 2014. 

  17. S. Y. Pi, "Educational utilization of smart devices in the convergence education era."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3, No. 6, pp.29-37, 2015. 

  18. E. Y. Cheon, "The effects of video-aided peer feedback on enhancing nursing students' understanding of foley catheterization."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 19, No. 1, pp.43-51, 2013. 

  19. S. G. Lee, "Effects of self-directed feedback practice using smartphone videos on basic nursing skills, confidence in performance and learning satisfaction." Yonsei University, Master's thesis, 2015. 

  20. V. J. Shute, "Focus on formative feedback,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Vol. 78, No. 1, pp.153-189, 2008. 

  21. J. Ende, "Feedback in clinical medical education." The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Vol. 250, No. 6, pp.777-781, 1983. 

  22. D. A. Cameron, V. I. Binnie, A. Sherriff, & V. Bissel, "Peer assisted learning: teaching dental skills and enhancing graduate attributes." British Dental Journal, Vol. 219, pp.267-272, 2015. 

  23. L. Ahlborg, M. Weurlander, L. Hedman, H. Nisel, P. G. Lindqvist, L. F. Tsai, & L. Enochsson, "Individualized feedback during simulated laparoscopic training: a mixed methods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Medical Education, Vol. 6, pp.93-100, 2015. 

  24. M. Sherer, J. E. Maddux, B. Mercandante, & S. Prentice-Dunn, B. Jacobs, & R. W. Rogers, "The self-efficacy scale: construction and validation." Psychological Report, Vol. 51, pp.663-671, 1982. 

  25. A. S. Jung, "A study on the Relations between a health promoting behaviors and self-efficacy in general hospital nurse." Hanyang University, Master's thesis, 2007. 

  26. J. M. Keller, "Motivation design of instruction." In C.M. Reigeluth(Ed.), Instructional design theories and models : An overview of their current status. Hillsdale, NJ: Lawrence Erlabum Association, 1994. 

  27. S. Y. Hwang, "Effects of problem-based learning on the knowledge achievement, critical thinking ability, attitude and motivation toward learning of nursing student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Ph.D. dissertation, 2003. 

  28. B. J. Mason, & R, Bruning, "Providing feedback in computer-based instruction: What the research tells us. Center for Instructional Innovation." University of Nebraska-Lincoln:14. Retrieved June 1, 2006, from http://dwb.unl.edu/Edit/MB/Mason, 2001. 

  29. J. S. Park, & H. R. Jeon, "The effect of basic life support education using a standardized basic life support video program in nurses'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knowledge, attitude and performanc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Nursing Education, Vol. 16, No. 2, pp.301-311, 2010. 

  30. S. S. Lee, "Effects of self-directed fundamental nursing practice using smartphone videos on self-efficacy, practice satisfaction, and practice ability." Catholic University, Master's thesis, 2015. 

  31. S. R. Song, "The effect of self-evaluation method using video recording on competency in nursing skill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problem solving ability, and academic self-efficacy." Sungshin Women's University, Master's thesis, 2013. 

  32. M. Y. Jho, "Effects of core fundamental nursing skills education on self-efficacy, clinical competence and practice satisfaction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 Nursing, Vol. 21, No. 3, pp.292-301, 2014. 

  33. S. Y. Yun, & M. S. Kim, "A study on the relevance among self efficacy, major satisfaction, nursing ethics values in nursing students before clinical practice."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2, No. 2, pp.363-372, 2014. 

  34. Y. H. Kim, "Effects of utilizing animation prior to fundamental nursing practice on learning motivation self-directedness in student nurses."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Vol. 17, No. 2, pp.240-248, 201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