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사의 분노, 직무스트레스, 사회적 지지에 대한 대인돌봄행위의 융합적 연구
The Convergence Study of Interpersonal Caring Behaviors on Anger, Job Stress and Social Support in Nurses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7 no.3, 2016년, pp.87 - 98  

한진아 (단국대학교) ,  김미진 (경동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간호사의 분노, 직무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정도를 파악하고 대인돌봄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2014년 12월 1일부터 31일까지 4개 도시의 대학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 174명을 대상으로 자료수집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간호사의 대인돌봄행위와 분노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 반복적 분노반추가 대인돌봄행위를 줄어들게 하며, 분노억제와 분노조절이 대인돌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높은 직무요구 스트레스에서도 대인돌봄행위를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자율적인 간호환경과 물질적 지지, 교육 기간의 확대가 필요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간호행위인 대인돌봄행위 증진과 이에 필요한 요소를 규명하고, 간호사의 정서관리 중재로서 분노에 대한 융합적 관리의 필요성을 제시하는데 의의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comprised descriptive research into nurses' anger, job stress and social support, and the impact thereof on interpersonal caring behaviors. This study focused on the anger and interpersonal caring behaviors of nurses. From December $1^{st}$ to $31^{st}$ 2014, the da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간호사의 분노반추, 분노표현, 직무스트레스, 사회적 지지가 대인돌봄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간호사의 분노, 직무스트레스, 사회적 지지가 대인돌봄행위에 미치는 영향를 파악하여 간호활동에서도 대인돌봄행위를 증진시키기 위하여 간호사의 정서및 직무스트레스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로 제시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간호행위를 대인돌봄행위로 측정하여 나타내고, 간호사의 대인돌봄행위 증진에 필요한 요소들을 규명하였다. 또한 대학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들의 직무스트레스 관리에 있어 간호사의 대인돌봄행위는 높이고 직무스트레스를 완화하는데 분노를 융합적으로 관리해야하는 근거자료로써 의의가 있다.
  • 이에 본 연구는 간호사의 분노반추, 분노표현, 직무 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의 특성 및 대인돌봄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간호사의 대인돌봄행위를 증진시키기 위한 기초자료로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간호사의 대인돌봄행위를 증진하기 위하여 본 연구가 제안하는 것은 무엇인가? 또한 대학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들의 직무스트레스 관리에 있어 간호사의 대인돌봄행위는 높이고 직무스트레스를 완화하는데 분노를 융합적으로 관리해야하는 근거자료로써 의의가 있다. 그러므로 간호사로서 대인돌봄행위를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근무기간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간호업무 환경을 조성하고, 석사 이상의 전문적 교육과정을 간호사에게 제안하는데 의의가 있다.
간호사에게는 어떤 능력이 요구되는가? 간호사는 환자의 고통이나 죽음과 간호 사정을 통해 적절한 지식과 상황적 이해를 갖는 것이 요구된다. 또한 간호 상황에서 시작된 감정적인 반응들에 대한 스트레스는 적절한 적응기간이 필요하며, 환자가 경험한 돌봄 중에 환자의 질병에 관한 이야기를 잘 이해한 간호사에게 받는 돌봄이 진정한 돌봄이라고 이해할 수 있다[1].
스트레스를 받은 간호사는 가장 흔히 어떤 정서를 경험하는가? 간호사의 경우는 업무에 과부하가 걸리거나 간호사로서 존중받지 못했을 때, 비난받거나 희생양이 되었을 때, 힘이 없을 때, 간호사의 보고를 듣지 않을 때, 정신적인 피로감이나 어떤 지지도 받지 못했을 때에도 스트레스가 발생하고[5], 스트레스를 받은 간호사의 44.4%가 가장 흔히 경험하는 정서는 분노이며, 주 1회 이상으로 경험하는 부정적 정서도 분노가 83% 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6]. 또한 분노의 감소는 심적 신체적 건강을 증진시키고, 간호에 있어서도 안전한 삶과 업무 환경을 수립할 수 있으므로[7] 간호사의 부정적인 정서 경험을 관리하여 간호업무를 새로운 시각으로 볼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6)

  1. P. Benner, M. Sutphen, V. Leonard, L. Day, Educating Nurses-A Call for Radical Transformation, Seoul: Hyunmoon, 2012. 

  2. B. S. Lee, “Concept Analysis of Caring,”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 26, No. 2, pp. 337-344, 1996. 

  3. Yeter D. O., Huya O., Ayhan A. L., “Implementation of Watson's Theory of Human Caring: A Case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Caring Sciences, Vol. 8, No. 1, pp. 25-3, 2015.. 

  4. S. H. Hong, "A Phenomenological Study of the Caring in Nursing Science,"Research in Philosophy and Phenomenology, Vol. 50, pp. 213-241, 2011. 

  5. Thomas, S. P., Transforming nurses' stress and anger: Steps toward healing (3rd ed). NY: Springer, 2009. 

  6. J. I. Lee, “Anger, Anxiety, Depression in the Workplace-Differences of Evoking Causes and Coping Methods among Emotions, Relationships of Emotion Regula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Job Effectiveness,” Korean Journal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Vol. 16, No. 3, pp. 19-58, 2003. 

  7. Pierce, Linda L. Pierce, Scott W. Gies, Cheryl E.. "Choices: Anger and Anger Management in Rehabilitative Care," Rehabilitation Nursing, Vol. 38, No. 2, pp. 80-7, 2013. http://dx.doi.org/10.1002/rnj.71 

  8. Caraballo, R. S., Rye, M. S., Pan, W., Kirscman, K. B., Lutz-Zois, C., Lyons, A. M., "Negative Affect and Anger Ruminationas Mediators between Forgiveness and Sleep Quality," Journal of behavior and Medicine, Vol. 31, pp. 471-488, 2008. 

  9. Eliss, A., Tafrate, R. C., How to Control Your Anger before It Controls You. NY: Citadel Press, 1997. 

  10. M. J. Kim, H. Y. Kim, “The Impact of Social Support and Self-esteem on Nurses' Empower ment,” J Korean AcadNurs Adm, Vol. 20, No. 5, pp. 558-566, 2014. 

  11. Sukhodolsky, D.G., Golub, A., and Cromwell, E. N.,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Anger Rumination scale,”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 Vol. 31, No. 5, pp. 689-700, 2001. 

  12. G. B. Lee, H. C. Cho, “Validation Stud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Anger Rumination Scale,” Journal of Emotional & Behavioral Disorders, Vol. 24, No. 1, pp. 1-22, 2008. 

  13. Conger J. C., Conger A. J., Edmondson C., TescherB., & Smolin J.. "The Relationship of Anger and Social Skills to Psychological Symptoms," Assesment, Vol. 10, No. 3, pp. 248-258, 2003. 

  14. M.A. Kim,. "The Eeffects of Belief about Anger and Anger Expression on Psychopathology," Master dissertation, Catholic University, 2012. 

  15. D. M. Kang, S. B. Ko, S. A. Kim, S. Y. Kim, Y. J. Kim, J. S. Park, J. D. Sung, J. M. Woo, S. J. Chang, J. J. Jung, H. S. Jung, S. I. Cho, J. J. Cho, J. H. Chae, B. G. Choi, S. C. Choi, M. N. Ha, Work-related Stress, Seoul: KoreaMecical, 2005. 

  16. S. J. Chang, S. B. Koh, D. M. Kang, S. A. Kim, M.G. Kang, C. G. Lee, J. J. CHung, J. J. Cho, M.. Son, C, H. Chae, J. W. Kim, J. I. Kim, H. S. Kim, S. C. oh, J. B. Park, J. M. Woo, S. Y. Kim, J. Y. Kim, M. Ha, J. S. Park, K. Y. Rhee, H. R. Kim, J. O. Kong, I. A. Kim, J. S. Kim, J. H. Park, S. J. Huyun, D. K. Son, “Developing an Occupational Stress Scale for Korean Employe,” Korean J Occup Environ Med, Vol. 17, No. 4, pp. 297-317, 2005. 

  17. Cohen, S., “Social Relationships and Health,” American Psychologist, Vol. 59, No. 8, pp. 676-684, 2004. 

  18. Cohen, S., Mermelstein, R., Kamarck, T., Hoberman, H. M.. "Measuring the Functional Components of Social Support. In I. G. Sarason & B. R. Sarason (Eds.), Social Support: Theory, Research, and Applications," The Hague: Martinus Nijhof,. pp. 73-94, 1985. doi:10.1007/978-94-009-5115-0_5 

  19. Erin L. M., Scott C. R.,Vanessa L. M., Frank J. P., Maria M. L., Orit B. W., Elena L. N., Krista M. P., Franklyn G., Liliana A. P., Timothy P. J., Linda C. G., “Validation of Interpersonal Support Evaluation List-12(ISEL-12) Scores Among English-and Spanish-Speaking Hispanics/Latinos From the HCHS/SOL Sociocultural Ancillary Study,” American Psychological Assessment, Vol. 26, No. 2, pp. 384-394, 2014. 

  20. J. H. Kim. "Relations of Perceived Stress, Cognitive Set, and Coping Behaviors to Depress ion," Ph. D. dissertation, Seoul University, 1987. 

  21. S. W. Lee, J. H. Kim, B. S. Lee, E. H. Lee, M. S. Jung, Nursing Theory, Paju: Soomoonsa, 2009. 

  22. Susie Kim,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n Community-based Mental Health Nursing: Effect of community-based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in Korea," Nursing Science, pp. 62-78, 1997. 

  23. S. H. Yoon, Study on Clinical Nurse's Performa nce and Satisfaction of Using Communication Skills by Interpersonal Caring Technique, Master dissertation, Ewha Women University, 2005. 

  24. Y. S. Son. "Interpersonal Caring Behavior and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Enneagram Personality Types of Nurses in Medium Sized Hospitals," Master dissertation, Dankook University, 2012. 

  25. J. W. Baek. "Factors Influencing on Interpers onal Caring Behavior of Nursing Students," Master dissertation, Dankook University, 2013. 

  26. Alvisa P., Marco T., Riitta S., Georgios E., Haritini T., Anastasios M., Darja J., Helena L., Elisabeth P., Chrysoula K., Zoltan B., Evridiki P.. "Surgical Patient Satisfaction as an Outcome of Nurses' Caring Behaviors: A Descriptive and Correlational Study in Six European Conturies," Journal of Nursing Scholarship, Vol. 43, No. 4, pp. 341-350, 2011. 

  27. C. G. Kim, "Influencing Factors and Importance of Nurses' Caring Behaviors for Chronically Sick Elderly," J Korean Acad Adult Nurs. Vol. 22, No. 3, pp. 303-311, 2010. 

  28. Y. I. Kim, B. S. Lee, "Importance of Nurses's Caring Behaviors as Perceived by Staff Nurses and Patients," J Korean Acad Fundam Nurs, Vol 6, No. 1, pp. 18-34, 1999. 

  29. C. G. Kim, “Importance of and Influencing Factors on Nurses' Caring Behaviors for Elders with Dementia,” J Korean Acad Adult Nurs, Vol. 23, No. 2, pp. 160-169, 2011. 

  30. S. J. Oh, S. H. Shin, G. Y. Go, Bhandari Pratibha1a, "The Effect of Job Stress on Health Promoting Behaviors among Nurses: Mediating Selection, Optimization and Compensation Strategy," Korean Adult Nurs. Vol. 26, No. 2, pp. 148-158, 2014. DOI: http://dx.doi.org/10.7475/kjan.2014.26.2.149 

  31. S. J. Han, “The Effect of the Job Rotation and Occupational Stress on Job Satisfaction among Hospital Nurses,” Nursing Science, Vol. 24, No. 2, pp. 1-10, 2012. 

  32. J. H. Kim, E. O. Park, The Effect of Job-stress and Self-efficacy on Depression of Clinical Nurses. Korean J Occup Health Nurs. Vol. 21, No. 2, pp. 134-144, 2012. DOI: http://dx.doi.org/10.5807/kjohn.2012.21.2.134 

  33. N. H. Lee, “A Study on the Relationship among Self-Efficacy of Psychiatric Nurses, Job Stress and Burnout,” Nursing Science, Vol. 23, No. 2, pp. 47-58, 2001. 

  34. K. O. Park, J. K. Kim, S. Y. Kim, S. J. Chang, "A Model on Turnover Intention of Chief Nurse Offic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 42, No. 1, pp. 9-18, 2012. http://dx.doi.org/10.4040/jkan.2012.42.1.9 

  35. Lee, S. J., Kang, M. K., Kwon, S. H., Song, K. H., Lee, J. H., Choi, J. R., Hyun, E. S., & Park K. S.. "A Study on Job Stress between Experien ced Versus New Nurse," J Chung-Ang Nurs. Vol. 6, No. 1, pp. 89-99, 2002. 

  36. W. H. Lee, J. E. Song, J. H. Kim, H. J. Kim, J. M. Lee, U. Y. Kim, “The Relationships among Trait Anger, Anger Expression, Jab Satisfaction, Job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in Clinical Nurse,” J Korean Acad Nurs Admin, Vol. 15, No. 4, pp. 539-549, 2009. 

  37. W. H. Lee, D. H. Kang, J. H. Park, S. H. Kim, S. G. Min, J. H. Nho, “Association of Anger Expression Patterns and Health Status in Health Care Work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 36, No. 5, pp. 821-828, 2006. 

  38. H. S. Park, Y. J. Bae, S. Y. Jung, "A Study on Anger expression and Burnout of Psychiatric Mental Health Nurses," J Korean Acad Psych Mental Health Nurs,Vol. 12, No. 3, pp. 235-244, 2003. 

  39. J. A. Oh, "The Effects of Nurse's Anger-Expression Mode and Emotional Labor on Psych ological Well-being and service Lebel," Master dissertation, Kwangwoon University, 2013. 

  40. So Young, "The Moderation Effect of Thought Control Ability on Anger Rumination and Anger," Cognitive Behavior Therapy, Vol 15, No. 1, pp. 95-111, 2015. 

  41. H. J. Kwon, A Study on the Relationship among Distress Tolerance, Anger Rumination and Dysfunctional Anger, Master dissertation, Seoul Women University, 2014. 

  42. J. M. Shin, S. H. Cho, “The Effects of Emotional Clarity on Anger Expression Attitude: The Mediating Effects of Anger Rumination,” Journal of Human Understanding and Counseling, Vol. 35, No. 1, pp. 129-148, 2014. 

  43. D. H. Kim, H. K. Lee, J. W. Kim, K. S. Le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Interpersonal Support Evaluation List-12 (ISEL-12),"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Vol. 51, No. 6, pp. 416-421, 2012. http://dx.doi.org/10.4306/jknpa.2012.51.6.416 

  44. J. H. Kim, Y. M. Lee, H. Y. Jung, H. S. Choo, S. J. Won, S. Y. Kwon, H. J. Bae, H. K. An, E. M. Kim, H. J. Jang, “Effects of Emotional Labor, Emotional Intelligence and Social Support on Job Stress in Clinical Nurses,” J Korean Acad Fundam Nurs, Vol. 20, No. 2, pp. 157-167, 2013. 

  45. Y. S. Kang, K. Y. Cho, “Relationship between Autonomy and Job Satisfaction of the Hospital Nurses,”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 6, No. 2, pp. 45-56, 2012. 

  46. H. J. Park, H. S. Kang, K. H. Kim, H. J. Kwon, "Exposure to Workplace Violence and Coping in Intensive Care Unit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Vol. 20, No. 3, pp. 291-301, 201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