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장암 환자의 외상 후 성장 관련 요인
Factors Related to Posttraumatic Growth in Patients with Colorectal Cancer 원문보기

성인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28 no.3, 2016년, pp.247 - 255  

이현주 (양산부산대학교병원) ,  전성숙 (부산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ing factors on Posttraumatic Growth(PTG) in patients with colorectal cancer. Methods: Eighty patients who were diagnosed with colorectal cancer at least twelve months ago were recruited from the oncology outpatient clinic of universi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그러나 국내에서는 대장암 환자만을 대상으로 하는 외상 후 성장에 대한 연구가 전무한 실정이며 국외에서도 대장암 환자만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소수이다. 이에 본 연구자는 선행연구[4-6,13-15,21,28-30]에서 암 환자의 외상 후 성장과 관련성이 확인된 인구사회학적 특성, 질병 관련 특성, 대처, 사회적 지지, 회복탄력성과 대장암 환자의 외상 후 성장의 관련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며 이를 통해 인생 역경을 경험하는 대장암 환자를 위한 전인적 간호중재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외상후 스트레스장애란? 실제로 암은 외상 경험 중 하나로 제시되고 있으며 개인에게 실제적이고 위협적인 죽음 및 심각한 상해, 또는 신체적 안녕에 위협을 가져다주는 사건이다[1,2]. 이러한 외상으로서의 암은 대상자에게 극심한 공포를 느끼게 하고, 외상 경험 후에도 계속적인 재경험을 통해 고통을 느끼게 하며, 이것에서 벗어나기 위해 에너지를 소비하지만 무력감을 느끼게 하는 외상후 스트레스장애(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를 경험하게도 한다[3].
대장암 환자들은 다른 소화기암 환자들에 비해 어떤 것들을 경험하는가? 대장암 환자는 수술 후에도 병기에 따라 방사선요법, 항암화학요법과 같은 추가적인 치료과정에서 나타나는 부작용과 불편감을 경험할 뿐만 아니라, 장루 형성과 배변 습관의 변화로 인해 정상적인 사회생활을 유지하는 것에 어려움을 경험하고 지속적인 적응과정이 필요하다. 대장암 환자들은 다른 소화기암 환자들에 비해 치료 후에도 여전히 높은 수준의 우울, 불안과 같은 심리적 불안정과 낮게 인지된 사회적 지지를 경험한다[18]. 대장암 환자의 외상 후 성장의 관련 요인을 규명함으로써 대장암 환자의 정신건강을 저해하는 위험요인을 감소시키기 위한 중재가 가능해지고, 이는 대상자의 심리적 회복과 적응을 유도하게 되므로 대장암 환자의 정신건강증진 측면에서 중요한 의의를 가진다.
암이라는 외상적 경험의 장점은? 하지만 암이라는 외상적 경험이 언제나 부정적인 결과만을 초래하는 것은 아니다. 암이라는 외상 경험을 통해 새로운 대처 기술과 사회적 지지를 기반으로 자신의 삶을 보다 긍정적인 시각으로 바라보고 적극적인 삶의 의지를 가지게 된다. 이러한 긍정적 변화들이 임상 현장에서 관찰되어왔으며 최근에는 암으로 인한 긍정적 변화를 실증적이고 심층적으로 검증한 연구 결과들이 보고되기 시작했다[4-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est M, Streisand R, Catania L, Kazak AE. Parental distress during pediatric leukemia and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PTSS) after treatment ends. Journal of Pediatric Psychology. 2001;26(5):299-307. 

  2. Jim HSL, Jacobsen PB. Posttraumatic stress and posttraumatic growth in cancer survivorship: A review. The Cancer Journal. 2008;14(6):414-9. 

  3. Kangas M, Henry JL, Bryant RA.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following cancer: A conceptual and empirical review. Clinical Psychology Review. 2002;22(4):499-524. http://dx.doi.org/10.1016/S0272-7358(01)00118-0 

  4. Weiss T. Posttraumatic growth in women with breast cancer and their husbands: An intersubjective validation study. Journal of Psychosocial Oncology. 2002;20(2):65-80. http://dx.doi.org/10.1300/J077v20n02_04 

  5. Lechner SC, Zakowski SG, Antoni MH, Greenhawt M, Block K, Block P. Do sociodemographic and disease-related variables influence benefit-finding in cancer patients? Psycho-Oncology. 2003;12(5):491-9. http://dx.doi.org/10.1002/pon.671 

  6. Sears SR, Stanton AL, Danoff-Burg S. The yellow brick road and the emerald city: Benefit finding, positive reappraisal coping, and posttraumatic growth in women with early-stage breast cancer. Health Psychology. 2003;22(5):487-97. http://dx.doi.org/10.1037/0278-6133.22.5.487 

  7. Weiss T. Correlates of posttraumatic growth in husbands of breast cancer survivors. Psycho-Oncology. 2004;13(4):260-8. http://dx.doi.org/10.1002/pon.735 

  8. Tomich PL, Helgeson VS. Is finding something good in the bad always good? benefit finding among women with breast cancer. Health Psychology. 2004;23(1):16-23. http://dx.doi.org/10.1037/0278-6133.23.1.16 

  9. Tedeschi RG, Calhoun LG. The posttraumatic growth inventory: Measuring the positive legacy of trauma. Journal of Traumatic Stress. 1996;9(3):455-72. http://dx.doi.org/10.1002/jts.2490090305 

  10. Lee IJ. A systematic review of posttraumatic growth in cancer. Social Work Practice & Research. 2009;6:81-113. 

  11. Lee YJ, Chung NW. A review of posttraumatic growth researches: Focused on relation with adjustment and clinical application.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2008;13(1):1-23. 

  12. Song SH, Lee HS, Park JH, Kim KH.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posttraumatic growth inventory.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2009;14(1):193-214. 

  13. Kim HJ, Kwon JH, Kim JN, Lee R, Lee KS. Posttraumatic growth and related factors in breast cancer survivors.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2008;13(3):492-3. 

  14. Rhee YS. Reliability and validatity of a Korean version of posttraumatic growth inventory among cancer caregivers.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Studies. 2009;40(2):123-43. 

  15. Han IY, Lee IJ. Posttraumatic growth on patients with cancer.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Studies. 2011;42(2):419-41. 

  16. Lee S, Kim YJ. Posttraumatic growth of patients with breast cancer. Journal of Korean Academy Nursing. 2012;42(6):907-15. http://dx.doi.org/10.4040/jkan.2012.42.6.907 

  17. Statistics Korea, 2013 Cancer tables for Korea [Internet]. Seoul: Statics Korea; 2014 [cited 2016 January 3]. Availble from: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17&tblIdDT_117N_A00022&conn_pathI2 

  18. Simon AE, Thompson MR, Flashman K, Wardle J. Disease stage and psychosocial outcomes in colorectal cancer. Colorectal Disease. 2009;11(1):19-25. 

  19. Lazarus RS, Folkman S. Stress, appraisal, and coping. New York: Springer Publishing Company; 1984. p. 117-139. 

  20. Moorey S, Frampton M, Greer S. The cancer coping questionnaire: A self-rating scale for measuring the impact of adjuvant psychological therapy on coping behaviour. Psycho-Oncology. 2003;12(4):331-44. http://dx.doi.org/10.1002/pon.646 

  21. Kim JN, Kwon JH, Kim SY, Yu BH, Hur JW, Kim BS, et al. Validation of Korean-cancer coping questionnaire (K-CCQ).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2004;9(2):395-414. 

  22. Cobb S. Social support as a moderator of life stress. Psychosomatic Medicine. 1976;38(5):300-14. http://dx.doi.org/10.1097/00006842-197609000-00003 

  23. Zimet GD, Dahlem NW, Zimet SG, Farley GK. The multidimensional scale of perceived social support.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1988;52(1):30-41. http://dx.doi.org/10.1207/s15327752jpa5201_2 

  24. Shin JS, Lee YB.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s in psychosocial well-being of the unemployed. Korean Academy of Social Welfare. 1999;37:241-69. 

  25. Masten AS. Ordinary magic: Resilience processes in development. The American Psychologist. 2001;56(3):227-38. 

  26. Shin WY, Kim MG, Kim JH. Developing measures of resilience for Korean adolescents and testing cross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Studies on Korean Youth. 2009;20(4):105-31. 

  27. Salsman JM, Segerstrom SC, Brechting EH, Carlson CR, Andrykowski MA. Posttraumatic growth and PTSD symptomatology among colorectal cancer survivors: A 3-month longitudinal examination of cognitive processing. Psycho-Oncology. 2009;18(1):30-41. 

  28. Manne S, Ostroff J, Winkel G, Goldstein L, Fox K, Grana G. Posttraumatic growth after breast cancer: Patient, partner, and couple perspectives. Psychosomatic Medicine. 2004;66(3):442-54. http://dx.doi.org/10.1097/00006842-200405000-00025 

  29. Smith BW, Dalen J, Bernard JF, Baumgartner KB. Posttraumatic growth in non-hispanic white and hispanic women with cervical cancer. Journal of Psychosocial Oncology. 2008;26(4):91-110. http://dx.doi.org/10.1080/07347330802359768 

  30. Reivich K, Shatte A. The resilience factor: Seven essential skills for overcoming life's inevitable obstacles. New York: Broadway books; 2002. p. 9-2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