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Taquet 신부의 왕벚나무: 엽록체 염기서열을 통한 야생 왕벚나무와 재배 왕벚나무의 계통학적 비교
Comparative phylogenetic relationship between wild and cultivated Prunus yedoensis Matsum. (Rosaceae) with regard to Taquet's collection 원문보기

식물분류학회지 =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v.46 no.2, 2016년, pp.247 - 255  

조명숙 (성균관대학교 생명과학과) ,  김찬수 (난대.아열대산림연구소) ,  김선희 (성균관대학교 생명과학과) ,  김승철 (성균관대학교 생명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천주교 대구교구청에 심어져 있는 오래된 왕벚나무의 기원을 추적하기 위하여 제주도에 자생하는 야생 왕벚나무와 재배 왕벚나무(Somei-yoshino cherry)의 계통분류학적 유연관계를 알아보았다. 한국과 일본에서 채집한 야생 왕벚나무, 재배 왕벚나무 및 근연종인 올벚나무, 총 25 개체에 대하여 cpDNA 두 구간(rpl16 유전자, trnS-trnG intergenic spacer)의 염기서열을 사용하여 계통수와 반수체형(haplotype) 네트워크를 작성하여 두 분류군을 비교하였다. 야생 왕벚나무와 재배 왕벚나무는 서로 구별되는 분류군으로 드러났으며, 비록 적은 샘플을 대상으로 비교적 짧은 유전자위가 사용되었지만 야생 왕벚나무는 재배 왕벚나무보다 반수체형 다양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야생 왕벚나무의 교배 기원에 모계쪽으로 기여한 것으로 알려진 올벚나무의 유전적 다양성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야생 왕벚나무와 재배 왕벚나무의 계통분류학적 관계를 보다 명확하게 파악하기 위하여 올벚나무를 한국과 일본의 다양한 분포 지역에서 넓게 채집하여 추가 연구를 실시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Taquet 신부가 제주에서 채집하여 대구에 옮겨 심었다고 추정되었던 천주교 대구교구청의 오래된 왕벚나무는 야생 왕벚나무가 아닌 재배 왕벚나무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 an attempt to determine the identity of the old trees of flowering cherries planted in the yard of the Catholic Archdiocese of Daegu, we conducted comparative phylogenetic analyses between wild and cultivated Prunus yedoensis Matsum. We generated the phylogeny (MP) and haplotype network (TCS) of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본 연구에서는 한국에 분포하는 올벚나무와 일본에 분포하는 올벚나무 간의 유전적 다양성과 이들과 왕벚나무와의 관계에 관해 기초적인 결과를 제시해주고 있다. 한국의 자생 올벚나무는 haplotype A와 B, 두 개의 반수체형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고(Fig.
  • , 2014)에서도 두 분류군 간의 계통적 유연관계를 명확하게 밝히지 못하여 제주도의 야생 왕벚나무와 재배 왕벚나무의 기원 및 원산지에 대한 논란은 계속되고 있다. 본 연구는 cpDNA 분자 마커를 사용한 엽록체 DNA 계통수와 반수체형 네트워크를 통하여 두 분류군이 유전적으로 거리가 있는 독립적인 분류군일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엽록체 DNA의 rpl16 과 trnL-F 구간의 반수체형과 ISSR 마커를 사용하여 두 분류군이 충분히 다르다는 Roh et al.
  • 본 연구는 대구교구청의 왕벚나무를 포함하여 한국과 일본에서 채집된 대표적인 야생 왕벚나무 및 재배 왕벚나무들을 대상으로 두 분류군에 대한 변별력이 있는 cpDNA 분자 마커를 사용하여 분자계통분류학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즉, 야생 왕벚나무와 재배 왕벚나무에 대한 계통분류학적 비교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대구교구청의 오래된 왕벚나무들의 기원을 추적하는 동시에, 야생 왕벚나무와 재배 왕벚나무의 유연관계를 밝히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대구교구청의 왕벚나무를 포함하여 한국과 일본에서 채집된 대표적인 야생 왕벚나무 및 재배 왕벚나무들을 대상으로 두 분류군에 대한 변별력이 있는 cpDNA 분자 마커를 사용하여 분자계통분류학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즉, 야생 왕벚나무와 재배 왕벚나무에 대한 계통분류학적 비교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대구교구청의 오래된 왕벚나무들의 기원을 추적하는 동시에, 야생 왕벚나무와 재배 왕벚나무의 유연관계를 밝히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벚나무류는 어떤 식물인가? 벚나무류는 장미과(Rosaceae)의 벚나무속(Prunus L.)의 Cerasus (Mill.) A. Gray 아속에 속하는 식물이다. Cerasus아속의 식물들은 흰 색 가루가 없는 핵과의 열매, 동아 속에서 접혀있는 잎, 꽃자루가 있거나 없는 꽃들이 산형이나 산방화서를 이루는 형태학적 특징을 가지고 있다(Gray, 1856).
Cerasus아속의 식물들의 형태학적 특징은? Gray 아속에 속하는 식물이다. Cerasus아속의 식물들은 흰 색 가루가 없는 핵과의 열매, 동아 속에서 접혀있는 잎, 꽃자루가 있거나 없는 꽃들이 산형이나 산방화서를 이루는 형태학적 특징을 가지고 있다(Gray, 1856). 주로 북반구 온대지역에서 자라며 특히 중국에 33종이 분포하고 있으나(Yu and Li, 1986), 한국에서도 10여 종 이상이 숲 속의 야생 환경에서 발견되고 있다(Lee, 2003).
벚나무류는 주로 어느 지역에서 자라며 분포하는가? Cerasus아속의 식물들은 흰 색 가루가 없는 핵과의 열매, 동아 속에서 접혀있는 잎, 꽃자루가 있거나 없는 꽃들이 산형이나 산방화서를 이루는 형태학적 특징을 가지고 있다(Gray, 1856). 주로 북반구 온대지역에서 자라며 특히 중국에 33종이 분포하고 있으나(Yu and Li, 1986), 한국에서도 10여 종 이상이 숲 속의 야생 환경에서 발견되고 있다(Lee, 2003). 또한 벚나무류는 수많은 품종들이 개발되어 관상수 및 조경수로 식재되고 있는 경제적 가치가 매우 높은 분류군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Bailey, L. H. and E. Z. Bailey. 1976. Prunus L. Hortus Third; A Concise Dictionary of Plants Cultivated in the United States and Canada. Macmillan Publishing Company, New York. 

  2. Chang, C. S., H. Choi and K. S. Chang. 2004. Reconsideration of Prunus sargentii complex in Korea: With respect to P. sargentii and P. takesimensis.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34: 221-244. (in Korean) 

  3. Chang, K. S., C. S. Chang T. Y. Park and M. S. Roh. 2007. Reconsideration of the Prunus serrulata complex (Rosaceae) and related taxa in eastern Asia. Botanical Journal of the Linnean Society 154: 35-54. 

  4. Cheng, S., J. R. Mcbride and K. Fukunar. 2000. The urban forest of Tokyo. Arboricultural Journal 23: 379-392. 

  5. Cho, M. S., C. S. Kim, S. H. Kim, T. O. Kim, K. I. Heo, J. Jun and S.-C. Kim. 2014. Molecular and morphological data reveal hybrid origin of wild Prunus yedoensis (Rosaceae) from Jeju Island, Korea: Implications for the origin of the flowering cherry. American Journal of Botany 101: 1976-1986. 

  6. Clement, M., D. Posada and K. A. Crandall. 2000. TCS: A computer program to estimate gene genealogies. Molecular Ecology 9: 1657-1659. 

  7. Felsenstein, J. 1985. Confidence limits on phylogenies: An approach using the bootstrap. Evolution 39: 783-791. 

  8. Gray, A. 1856. Manual of the botany of the northern United States, including Virginia, Kentucky, and all east of the Mississippi:arranged according to the natural system. 2nd ed., George P. Putnam & Co., New York. 

  9. Harn, C., Y. J. Kim, S. Y. Yang and H. J. Chung. 1977. Studies on the origin of Prunus yedoensis Matsumura. 1. A comparative electrophoretic study on wild P. subhirtella in Mt. Hanla, cultivated P. yedoensis and P. donarium. Korean Journal of Botany 20: 1-5. (in Korean) 

  10. Iketani, H, T. Katsuki and T. Kawahara. 2006. Prunus $\times$ yedoensis 'Somei-yoshino', a correct cultivar name for Yoshino cherry. Journal of Japanese Botany 81: 123-125. 

  11. Iketani, H, S. Ohta, T. Kawahara, T. Katsuki, N. Mase, Y. Sato and T. Yamamoto. 2007. Analyses of clonal ctatus in 'Someiyoshino' and confirmation of genealogical record in other cultivars of Prunus $\times$ yedoensis by microsatellite markers. Breeding Science 57: 1-6. 

  12. Innan, H., R. Terauchi, N. T. Miyashita and K. Tsunewaki. 1995. DNA fingerprinting study on the intraspecific variation and the origin of Prunus yedoensis (Somei yoshino). Japanese Journal of Genetics 70: 185-196. 

  13. Iwasaki, F. 1991. Investigations on wild somei-yoshino (Prunus yedoensis Matsumura) and related varieties. Bulletin of Agricultural and Forestry Research Center, University of Tsukuba 3: 95-110. 

  14. Jung, Y. H., M. H. Ko, Y. S. Oh, G. O. Kim, Y. C. Chung, M. H. Kim and M. Y. Oh. 1997. Phylogenetic relationship among selected taxa of Prunus in Mt. Halla and cultivated Prunus yedoensis by the RAPD analysis.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27: 415-428. (in Korean) 

  15. Jung, Y. H., M. H. Ko, Y. S. Oh, S. H. Han, M. H. Kim, S. C. Koh and M. Y. Oh. 1998. Genetic relationship of Prunus yedoensis, native and cultivated, based on internal transcribed spacer sequences of ribosomal DNA. Korean Journal of Genetics 20: 109-116. (in Korean) 

  16. Jung, Y. H. and M. Y. Oh. 2005. Phylogenetic relationships of Prunus (Rosaceae) in Korea and Japan inferred from chloroplast DNA sequences. Korean Journal of Genetics 27: 279-288. 

  17. Kato, S., A. Matsumoto, K. Yoshimura, T. Katsuki, K. Iwamoto, T. Kawahara, Y. Mukai, Y. Tsuda, S. Ishio, K. Nakamura and K. Moriwaki. 2014. Origins of Japanese flowering cherry (Prunus subgenus Cerasus) cultivars revealed using nuclear SSR markers. Tree Genetics & Genomes 10: 477-487. 

  18. Kim, C. S. 1998. Distribution and taxonomic study of Prunus yedoensis Matsumura (Rosaceae). Ph. D. Dissertation, Cheju National University, Jeju, Korea. (in Korean) 

  19. Kim, C. S., K. Y. Lee, M. K. Moon, H. J. Hyun. B. S. Ihm and M. H. Kim. 1998. Natural habitat of Prunus yedoensis Matsumura and its morphological variation.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28: 117-137. (in Korean) 

  20. Koehne, E. 1912. 96. Prunus yedoensis Matsum. var. nudiflora Koehne. Repertorium Specierum Novarum Regni Vegetabilis 10: 507. (in German) 

  21. Koidzumi, G. 1932. Prunus yedoensis Matsum. is a native of Quelpaert. Acta Phytotaxonomica et Geobotanica, 1:177-179. 

  22. Krssmann, G. 1986. Cultivated broad-leaved trees and shrubs. BT Batsford Ltd, London. 

  23. Lee, T. B. 2003. Coloured Flora of Korea. Hyangmunsa. Seoul. (in Korean) 

  24. Matsumura, J. 1901. Cerasi Japanicae duae species novae. The Botanical Magazine Tokyo 15: 99-101. 

  25. Nakai, T. 1916. Flora Sylvatica Koreana. Vol. 5. Government of Chsen, Forestal Experiment Station, Seoul. (in Japanese) 

  26. Nakamura, I., H. Takahashi, S. Ohta, T. Moriizumi, Y. Hanashiro, Y. I. Sato and M. Mii. 2015. Origin of Prunus $\times$ yedoensis 'Somei-yoshino' based on sequence analysis of PolAI gene. Advances in Horticultural Science 29: 17-23. 

  27. Ohta, S., S. Osumi, T. Katsuki, I. Nakamura, T. Yamamoto and Y. I. Sato. 2006. Genetic characterization of flowering cherries (Prunus subgenus Cerasus) using rpl16-rpl14 spacer sequences of chloroplast DNA. Journal of the Japanese Society for Horticultural Science 75: 72-78. 

  28. Park, M. K. 1965. A historological survey on the Prunus yedoensis in Korea. Korean Journal of Botany 8: 12-15. (in Korean) 

  29. Park, S. H., M. H. Kim, S. Lee and K. K. Sim. 1984. A palynological study of some Prunus in Mt. Halla.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14: 153-159. (in Korean) 

  30. Roh, M. S., E. J. Cheong, I. Y. Choi and Y. H. Joung. 2007. Characterization of wild Prunus yedoensis analyzed by inter-simple sequence repeat and chloroplast DNA. Scientia Horticulturae 114: 121-128. 

  31. Shaw, J., E. B. Lickey, J. T. Beck, S. B. Farmer, W. Liu, J. Miller, K. C. Siripun, C. T. Winder, E. E. Schilling and R. L. Small. 2005. The tortoise and the hare II: Relative utility of 21 noncoding chloroplast DNA sequences for phylogenetic analysis. American Journal of Botany 92: 142-166. 

  32. Swofford, D. L. 2002. PAUP*.Phylogenetic analysis using parsimony (*and other methods) version 4.0. Sinauer Associates, Sunderland, MA. 

  33. Takenaka, Y. 1963. The origin of Yoshino cherry tree. Journal of Heredity 54: 207-211. 

  34. Warm-Temperate and Subtropical Forest Research Center. 2015. Investigation report on flowering cherries in Catholic Archdiocese of Daegu: 1-2. (in Korean) 

  35. Wilson, E. H. 1916. The Cherries of Japan. Univ. Press, Cambridge, MA, USA. 

  36. Yu T. T. and C. L. Li. 1986. Cerasus. In Flora Reipublicae Popularis Sinicae 38. Yu, T. T. (ed.), Science Press, Beijing. Pp. 1-133. (in Chinese)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