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분 개념의 이해에 관한 수업 사례 - 공학적 도구를 활용한 역사 발생적 과정을 토대로 -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Understanding of the Differential Concept Based on the Historical-Genetic Process Using a Technological Device 원문보기

학교수학 = School Mathematics, v.18 no.2, 2016년, pp.277 - 300  

황혜정 (조선대학교) ,  김미향 (광주과학고등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미분에 관한 주요 문제점으로 미분 개념이 공식처럼 다루어져 기초적 지식이 결여되어 있으며, 정형화된 계산 및 활용 문제를 해결하는 데에는 익숙하지만 비정형의 새로운 문제를 해결하는데 있어서는 그렇지 못함이 지적되고 있다. 선행 연구들은 주로 학습자 오류, 교재 구성, 지도 방법 등에 관심을 두고 이의 해결 방안을 제시하는데 중점을 두어 온 반면, 실험수업을 통한 양 질적 연구는 그다지 활발히 이뤄지지 않아 왔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우선 '이해'의 의미를 가늠하고 미분 개념을 이해한다는 것이 무엇인지를 탐색하고, 그 결과에 맞춰 역사 발생적 원리 및 공학적 도구를 활용하여 미분계수와 도함수 내용의 이해를 돕기 위한 수업지도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또, G광역시의 S고등학교 1학년에 재학 중인 총 68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통제집단 설계를 적용하여 실험수업을 실시하였다. 이때, 검사 도구는 '학습이해도'와 '학습만족도' 영역으로 구성하였으며, 'SPSS 21.0 Ver'를 사용하여 사후검사 결과를 분석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미분 개념의 이해를 높이기 위한 몇몇 지도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school mathematics, the definition and concept of a differentiation has been dealt with as a formula. Because of this reason, the learners' fundamental knowledge of the concept is insufficient, and furthermore the learners are familiar with solving routine, typical problems than doing non-routin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교사들은 미분 개념의 유용성과 가치 함양을 뒷받침할 다양하고 풍부한 자료들을 마련하여 제공할 필요가 있는데, 이를 교사의 몫으로만 돌리기보다는 시도교육청 및 국가 수준의 교육 관련 기관으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는 방안이나 정책도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그럼으로써 교사를 주축으로 학습자로 하여금 미분 학습에 보다 적극적으로 참여토록하고 미분 개념에 대한 견고한 이해를 토대로 미분 개념의 유용성과 가치를 인식할 수 있기를 기대하며, 본 연구가 이러한 인식과 노력을 이끄는 시발점이 되기를 바라는 바이다.
  • 셋째, 단순히 공식을 적용하기보다는 정의를 정확히 사용하여 문제를 다룸으로써 비정형화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하였다. 넷째, 수업 도입 또는 정리 부분에 미분 개념이 실생활에 활용되는 구체적인 예와 역사 발생적 과정을 읽기 자료(가령, 음원과 미분, 경제와 미분, 인터체인지와 미분 등)로 제시하고자 하였는데, 이는 학습자가 미분 개념이 왜 중요한지, 어느 분야에 활용되는지, 그리고 역사적으로 어떤 과정을 거쳐 발달해 왔는지 등 수학적 가치를 인식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함이다.
  • 정연준(2010)은 미분계수의 역사 발생적 과정에 대한 고찰을 통해 미분계수는 순간적인 운동 현상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이러한 부분이 적절히 드러나지 못한다면 미분계수는 미분법 공식을 유도하는 과정 혹은 순간 속도를 계산하는 수단 이상의 것이 되기 어렵다고 하였다. 따라서 미분계수 지도에서 순간속도와 운동 상황의 제시방식을 개선할 필요가 있으며, 그 방안으로 미분계수의 역사 발생적 과정을 학생들의 이해 수준에 맞추고 실제 상황에서 수업 진행이 가능할 정도로 정리하여 가르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또, 강향임(2013)은 미분계수는 그 형성 과정에서 대수적, 기하학적, 운동학적 관점을 포함하면서 발달해 왔으므로 학생들에게 이렇게 다양한 관점을 서로 구분지어 그 차이를 분명히 하는 것 보다는 통합된 관점에서 상호관련지어 제시하는 것이 보다 효율적일 것이라고 하며 그 방안 중 하나로 공학적 도구의 활용을 제안하였다.
  • 본 연구에서 이해의 대상은 미분 개념이며 이해의 주체는 미분 개념의 학습을 앞둔 학습자인데, 일반적으로 학습자가 어떤 인식론적 장애 및 오류가 있는지는 앞서 언급한 여러 선행 연구에서 논의된 바 있으며, 이해의 과정은 학습자 내부에서 일어나는 심리적 현상으로 해석학적 고찰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의미 충실한 교수ㆍ학습 결과는 해당 교수ㆍ학습의 목표 달성으로부터 도래되는 것으로 간주하고 미분 개념을 이해한다는 것의 의미를 이해의 결과에 초점을 두어 살펴보고자 한다.
  •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우선적으로 선행 연구를 통해 ‘이해’의 의미를 가늠하고 미분 개념을 이해한다는 것이 무엇인지 탐색하고자 하였으며, 그 결과에 맞춰 역사 발생적 원리 및 공학적 도구를 활용하여 미분계수와 도함수에 해당하는 미분 내용의 이해를 돕기 위한 수업지도 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또, G광역시의 S고등학교 1학년에 재학 중인 총 68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통제집단 설계(Posttest Only Control Group Design)를 적용하여 실험수업을 실시하고자 하였다. 이때, 검사 도구는 ‘학습이해도’와 ‘학습만족도’ 영역으로 나누어 구성하였으며, ‘SPSS 21.
  • 본 연구는 미분 개념의 올바른 이해를 도모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해 설계된 실험수업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사후검사 통제집단 설계(Posttest Only Control Group Design)를 적용하였다. 이때, 실험 결과는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 여부를 알아보기 위해 t-검증을 이용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2009 개정에 따른 ‘미적분Ⅰ’ 과목에서 ‘다항함수의 미분법’ 영역의 성취기준들을 참고하여 평균변화율, 미분계수의 정의, 미분계수 구하기, 미분계수의 기하학적 의미(접선), 미분가능성과 연속성, 도함수의 정의, 도함수 구하기, 도함수의 그래프 개형에 관한 내용을 다루었다.
  • 또한, 우리나라 2015 개정에 따른 수학과 교육과정에서도 공학적 도구의 활용을 권장하는 ‘정보처리’ 역량을 새롭게 강조하고 있다(교육부, 2015). 본 연구에서는 미분 개념의 이해를 도모하기 위한 수단으로 GeoGebra라는 공학적 도구를 활용하였는데, GeoGebra의 특징은 대수적 표현과 기하학적 대상이 서로 연결되어 있다는 점이다.2)
  • 한편, 강향임(2013)은 고등학교 2학년 문과반 여학생 2명을 대상으로 발생적 모델링을 활용한 미적분 개념의 구성 과정을 분석한 사례연구에서 GeoGebra를 활용하였으며, 이와 같은 공학의 활용은 함수와 도함수의 관계를 시각적으로 나타낼 수 있고 정적분의 값을 즉각적으로 계산할 수 있으며 접선을 역동적으로 구성할 수 있도록 돕는다고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상의 선행 연구 결과를 참고하여, GeoGebra를 활용한 시각화 도구를 마련하여 학생들로 하여금 직접적으로 보다 수월하게 미분 개념의 수업 상황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우선, 본 연구에서는 강향임(2012)의 미분계수 개념의 역사 발생적 과정을 토대로 와 같이 학습 순서 및 내용을 구현하여 실험수업에 적용하고자 하였다.
  • 이때, 검사 도구는 ‘학습이해도’와 ‘학습만족도’ 영역으로 나누어 구성하였으며, ‘SPSS 21.0 Ver’를 사용하여 사후검사 결과를 분석하고, 그 결과에 근거하여 미분 개념의 이해를 높이기 위한 몇몇 지도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한 마디로 정리하면, 우정호ㆍ민세영(2002)은 교사가 수학적 사고의 본질에 자연스럽게 접근하여 학습자의 수학 학습 과정을 더 잘 이해하고, 이를 실제 지도에 반영하기 위한 시도가 역사 발생적 학습ㆍ지도 원리라고 하였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에서는 미분 개념의 이해를 도모하기 위한 수업 지도 방안을 마련하기 위하여 미분 개념의 역사 발생적 과정을 토대로 미분 개념의 학습 내용을 구현해 보고자 하였다.
  •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우선적으로 선행 연구를 통해 ‘이해’의 의미를 가늠하고 미분 개념을 이해한다는 것이 무엇인지 탐색하고자 하였으며, 그 결과에 맞춰 역사 발생적 원리 및 공학적 도구를 활용하여 미분계수와 도함수에 해당하는 미분 내용의 이해를 돕기 위한 수업지도 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 이상으로 살펴본 이해의 결과 요소의 특징을 토대로 미분 개념을 이해한다는 것의 의미를 와 같이 정리하고, 본 연구에서는 이에 근거하여 수업지도안을 마련하였다.
  • 또한, 이러한 연구들은 미분 내용을 학습하는데 있어서 학습자에게서 나타나는 오류, 교재 구성, 지도 방법 등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이의 해결 방안들을 제시하는데 중점을 두어 온 것에 반해, 실험수업을 통한 분석 연구는 그다지 활발히 이뤄지지는 않았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가 미분 개념을 올바르게 이해하도록 돕기 위한 수업 자료 및 지도서를 마련하고, 이를 활용하여 실험수업 적용 및 분석을 실시하고자 하였다.
  • 한편, 4번 문항은 대수표현과 기하표현 사이의 연결성을 이해하고 이의 호환이 잘 이루어져야 쉽게 해결할 수 있는 물음으로, 이 문항을 통해 평균변화율과 할선의 기울기, 미분계수와 접선의 기울기 사이의 관계를 알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두 집단 간의 정답률 차이가 17.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미분에 관한 주요 문제점은 무엇인가? 미분에 관한 주요 문제점으로 미분 개념이 공식처럼 다루어져 기초적 지식이 결여되어 있으며, 정형화된 계산 및 활용 문제를 해결하는 데에는 익숙하지만 비정형의 새로운 문제를 해결하는데 있어서는 그렇지 못함이 지적되고 있다. 선행 연구들은 주로 학습자 오류, 교재 구성, 지도 방법 등에 관심을 두고 이의 해결 방안을 제시하는데 중점을 두어 온 반면, 실험수업을 통한 양 질적 연구는 그다지 활발히 이뤄지지 않아 왔다.
우리나라의 수학과 교육과정은 무엇을 강조하는가? 우리나라의 수학과 교육과정은 수 십 년에 걸쳐 개정되어 오면서 미적분 학습의 중요성과 역할이 지속적으로 강조되어 왔다. 이현주ㆍ류중현ㆍ조완영(2015)은 미분 개념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미분은 초등학교의 규칙성, 중학교의 함수, 고등학교의 함수의 극한과 연속을 통합하여 심화시킨 내용으로 수학뿐만 아니라 다양한 분야 에서 응용되는 도구적 지식이며 사회 및 자연 현상을 이해하고 분석하는데 이용되는 가장 핵심적인 내용 중 하나라고 하였다.
사후검사 통제집단 설계를 적용할 때 실험 결과를 알아보기 위해 무엇을 이용하였는가? 본 연구는 미분 개념의 올바른 이해를 도모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해 설계된 실험수업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사후검사 통제집단 설계 (Posttest Only Control Group Design)를 적용하였다. 이때, 실험 결과는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 여부를 알아보기 위해 t-검증을 이용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강향임(2012). 수학적 모델링 과정에서 접선 개념의 재구성을 통한 미분계수의 재발명과 수학적 개념 변화. 학교수학, 14(4), 409-429. 

  2. 강향임(2013). 발생적 모델링을 활용한 미적분 개념의 구성.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 교육과학기술부(2011).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11-361호 별책 8). 서울:교육과학기술부. 

  4. 교육부(2015).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 8). 세종: 교육부. 

  5. 김동엽(2001). 문제중심 수업과 지시적 수업이 학습자의 인식론적 신념에 따라 수업의 유의미성 지각 및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6. 김정희, 조완영(2006). 고등학교 학생들의 미적분 개념 이해 및 오류유형 분석. 과학교육연구논총, 22(1), 87-97. 

  7. 김준송(2013). 융합인재교육(STEAM)과정을 적용한 수학수업이 영재학생의 학습만족도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김창동 외 14인(2015). 미적분 I. 서울: (주)교학사. 

  9. 마윤심(2010). 미분개념의 오류유형 분석 및 오개념 극복을 위한 GSP활용 수업의 효과.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박성희(2011). 도움닫기를 활용한 수학교수학습이 학습만족도와 수학적 성향에 미치는 영향.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박희진(2007). 학생들의 미분개념 오류유형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조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오혜경(2008). 고등학교수학에서의 미적분단원의 오류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우정호, 민세영(2002). 역사발생적 수학 학습-지도 원리에 관한 연구. 대한수학교육학회논문, 12(3), 409-424. 

  14. 우정호(2011). 수학 학습-지도 원리와 방법. 서울:서울대학교 출판부. 

  15. 이상구, 장지은, 김경원, 박경은(2014). GeoGebra와 미분적분학 개념의 시각화. 수학교육 논문집, 28(4), 457-474. 

  16. 이정곤(2012). GeoGebra 환경에서 정적분을 이용한 자연로그의 개념이미지 형성 학습 개선방안. 한국수학사학회지, 25(1), 71-88. 

  17. 이종희(1999). 이해에 대한 수학교육적 고찰.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8. 이현주, 류중현, 조완영(2015). 통합적 이해의 관점에서 본 고등학교 학생들의 미분계수 개념 이해 분석. 수학교육 논문집, 29(1), 131-155. 

  19. 이호철(2005). 미분문제 해결과정에서 발생하는 오류에 관한 연구.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학위논문. 

  20. 임연휘, 표용수(2013). 대학 입학 예정자들의 함수 및 미분의 기초개념 이해에 대한 오류 분석.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6(2), 435-457. 

  21. 임재훈, 박교식(2004). 학교 수학에서 접선 개념 교수 방안 연구. 수학교육학연구, 14(2), 171-185. 

  22. 전영배, 노은환, 최정숙, 김대의, 정의창, 정찬식, 김창수(2009). 미분 문제해결 과정에서의 오류 분석.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2(4), 545-562. 

  23. 정가람(2013). GeoGebra를 활용한 구분구적법 지도.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정다희(2011). 도함수의 그래프 이해에서 발생하는 오류 및 오개념에 관한 연구: 고등학교 3학년 미분단원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정연준(2010). 미분계수의 역사적 발달 과정에 대한 고찰. 학교수학, 12(2), 239-257. 

  26. 정자욱(2012). GeoGebra를 이용한 미적분수업의 질적 사례연구.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7. 지상호(2010). 선택과정 미분과 적분의 미분법 단원에 대한 고등학교 3학년 학생들의 이해실태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8. 최나영(2001) 미분개념에 대한 오류와 오개념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9. 홍선주(2013). 미분개념에 대한 학생들의 학습경향 및 오류분석과 지도방안 연구 -고등학교 2학년 문과학생을 대상으로: 이과학생들과 비교하여-.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Aleamoni, L. M. (1981). Student ratings of instruction. Handbook of teacher evaluation, 110, 145. 

  31. Boyer, C. B. (1959). The History of Calculus of the Calculus and its Conceptual Development. 김경화(역)(2004). 미적분학사-그 개념의 발달. 서울: 교우사. 

  32. Dunham, W. (2005). The calculus gallery: Masterpieces from Newton to Lebesgue. 권혜승(역)(2011). 미적분학 갤러리. 서울: 한승. 

  33. Giambrone, T. M. (1983). A Philosophy Study of Epistemological nature of the Attainment of Understanding Mathematics. Doctoral Dissertation,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Buffalo. 

  34. Nehari, M. & Bender, H. (1978). Meaningfulness of a learning experience: A measure for education outcomes in higher education. Higher Education, 7(1), 1-11. 

  35. Orton, A. (1983). Students' understanding of differentiation.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14(3), 235-250. 

  36. Sobral, D. T. (1992). Self-report visual scale of course appeal. Higher Education, 23(3), 321-329. 

  37. Tall, D. O. (1986). Building and testing a cognitive approach to the calculus using interactive computer graphics.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Warwick. 

  38. Tall, D. & Vinner, S. (1981). Concept image and concept definition in mathematics with particular reference to limits and continuity.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12(2), 151-169. 

  39. White, P. (1990). Is calculus in trouble. Australian Senior Mathematics Journal, 4(2), 105-11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