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식이장애 환자에서 나타나는 감정표현불능증의 치료적 함의
The Therapeutic Implications of Alexithymia in Patients with Eating Disorders 원문보기

精神身體醫學 = Korean journal of psychosomatic medicine, v.24 no.1, 2016년, pp.54 - 60  

김승준 (건양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감정표현불능증(alexithymia)은 자신의 감정을 판별하거나 감정과 신체 감각을 구별하지 못하고 감정을 교류하지 못하며 공상이 부족하고 외부적 환경에만 인지적으로 집중하는 특성으로 정의되며, 그 기저에는 감정 처리 과정 상의 지속적인 결함이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식이장애는 비적응적인 식이 관련 행동들로 인하여 신체적, 심리사회적 기능이 저하되는 질환으로서 이러한 비적응적 식이 관련 행동은 감정을 처리하고 조절하는 능력의 저하와 관련이 있다는 보고들이 있다. 식이장애 환자들에게 나타나는 감정표현불능증을 연구한 기존 연구들을 살펴 보면 식이장애 환자들은 정상인들에 비해 높은 수준의 감정표현불능증을 보이며, 감정표현불능증 요소 중 감정을 판별하기 어려움 요소와 감정을 묘사하기 어려움 요소가 정상인들에 비해 높은 수준으로 나타난다. 높은 수준의 감정표현불능증은 유년기 학대 및 우울증과 상호 작용하면서 식이장애 행동의 발생 위험성을 증대시키며 식이장애의 치료 효과 또한 반감시키는 것으로 보인다. 이상의 논의를 종합해 볼 때 감정표현불능증을 포함한 정서 처리 및 조절 능력의 결함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치료가 식이장애의 치료에도 도움이 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이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lexithymia is characterized by difficulties identifying and describing feelings, impoverished fantasy life, and concrete and poorly introspective thinking. Alexithymic patients have been reported to show a stable deficit with regard to processing and regulating emotions. Eating disorders are chara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상의 논의에서 알 수 있듯이 감정표현불능증은 식이장애의 발생 과정을 이해하고 이에 따른 적절한 치료를 도출해 내기 위한 연구에서 효과적인 개념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식이장애와 감정표현불능증 간의 연관성을 연구한 기본 문헌들을 검토하여 감정표현불능증의 측정, 식이장애 환자의 감정표현불능증 양상, 식이장애 발생 원인으로서 감정표현불능증, 식이장애 치료의 예측 변인으로서 감정표현불능증, 식이장애 치료가 감정표현불능증에 미치는 영향을 정리한 후 이를 바탕으로 식이장애에서 감정표현불능증이 가지는 치료적 함의에 대해 논의해 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감정표현불능증이란 무엇인가? 감정표현불능증(alexithymia)이란 Sifneos가 정신신체장애 환자들을 연구하면서 최초로 소개한 인지정서적 장애로서, 자신의 감정을 판별하거나 감정과 신체 감각을 구별하지 못하고 감정을 교류하지 못하며 공상이 부족하고 외부적 환경에만 인지적으로 집중하는 특성으로 정의된다.1) 감정표현불능증은 감정 처리 과정 상의 지속적인 결함으로 요약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감정표현불능증을 가진 환자들은 주위 사람들에게 차갑고 회피적인 인상을 주어 친밀한 대인 관계를 맺지 못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감정표현불능증은 어떤 과정을 거쳐서 식이장애로 나타나게 되는가? 정서적 요인이 식이장애 증상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설 중 식이장애 환자들은 자신의 감정을 피하거나 이에 대처하기 위해 비적응적인 식이 관련 행동을 한다는 가설이 존재한다. 이러한 가설에 의하면 감정의 표현이 주위 사람들에게 수용되지 않거나 이로 인해 공포를 느끼는 등의 정서적 학대를 당한 유년기를 보냈을 경우, 감정 자체를 부정적인 것으로 생각하면서 이를 느끼고 표현하지 말아야 한다는 믿음을 가지게 된다. 이러한 믿음은 감정이 느껴질 때마다 활성화되면서 수치심, 죄책감, 혐오와 같은 이차적 감정을 발생시키는데 이로 인해 정서적 고통은 커지고 대처 능력은 줄어들면서 이차적 감정을 피하거나 이에 대처하기 위한 시도인 이상 식이 및 식이 관련 행동들이 나타나게 된다.9,10)
식이장애란 무엇인가? 한편, 식이장애는 지속적인 이상 식이 및 식이 관련 행동들로 인하여 음식 섭취 및 흡수가 방해되면서 신체적 건강 혹은 심리사회적 기능이 심각하게 저하되는 질환이다.6) 식이장애 환자들은 흔히 사춘기 혹은 청년기부터 식사 제한, 폭식, 제거 행동, 과도한 운동 등과 같은 증상을 보이며 그 경과는 매우 다양하나 인지행동치료, 역동치료, 가족치료 등의 정신치료와 약물치료에도 불구하고 25~30%정도는 증상이 만성화되며 이중 2~7%는 사망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5)

  1. Sifneos PE. The prevalence of 'alexithymic' characteristics in psychosomatic patients. Psychother Psychosom 1973;22:255-262. 

  2. Spitzer C, Siebel-Jurges U, Barnow S, Grabe HJ, Freyberger HJ. Alexithymia and interpersonal problems. Psychother Psychosom 2005;74:240-246. 

  3. Marchesi C, Fonto S, Balista C, Cimmino C, Maggini C. Relationship between alexithymia and panic disorder: a longitudinal study to answer an open question. Psychother Psychosom 2005;74:56-60. 

  4. Luminet O, Bagby RM, Taylor GJ. An evaluation of the absolute and relative stability of alexithymia in patients with major depression. Psychother Psychosom 2001;70:254-260. 

  5. de Timary P, Luts A, Hers D, Luminet O. Absolute and relative stability of alexithymia in alcoholic inpatients undergoing alcohol withdrawal: relationship to depression and anxiety. Psychiatry Res 2008;157:105-113. 

  6.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5 ed. Arlington, VA: American Psychiatric Publishing;2013. 

  7. Goodsitt A. Self-regulatory disturbances in eating disorders. International Journal of Eating Disorders 1983;2:51-60. 

  8. Grotstein JS. The psychology of powerlessness: Disorders of self-regulation and interactional regulation as a newer paradigm for psychopathology. Psychoanalytic Inquiry 1986;6:93-118. 

  9. Cooper MJ. Cognitive theory in anorexia nervosa and bulimia nervosa: progress, development and future directions. Clin Psychol Rev 2005;25:511-531. 

  10. Waller G, Corstorphine E, Mountford V. The role of emotional abuse in the eating disorders: implications for treatment. Eat Disord 2007;15:317-331. 

  11. Bagby RM, Taylor GJ, Parker JD. Construct validity of the Toronto Alexithymia Scale. Psychother Psychosom 1988;50:29-34. 

  12. Taylor GJ, Bagby RM, Parker JD. The Revised Toronto Alexithymia Scale: some reliability, validity, and normative data. Psychother Psychosom 1992;57:34-41. 

  13. Bagby RM, Parker JD, Taylor GJ. The twenty-item Toronto Alexithymia Scale--I. Item selection and cross-validation of the factor structure. J Psychosom Res 1994;38:23-32. 

  14. Meganck R, Vanheule S, Desmet M. Factorial validity and measurement invariance of the 20-item Toronto Alexithymia Scale in clinical and nonclinical samples. Assessment 2008;15: 36-47. 

  15. Haviland MG, Warren WL, Riggs ML. An observer scale to measure alexithymia. Psychosomatics 2000;41:385-392. 

  16. Cochrane CE, Brewerton TD, Wilson DB, Hodges EL. Alexithymia in the eating disorders. Int J Eat Disord 1993;14:219-222. 

  17. Rastam M, Gillberg C, Gillberg IC, Johansson M. Alexithymia in anorexia nervosa: a controlled study using the 20-item Toronto Alexithymia Scale. Acta Psychiatr Scand 1997;95:385-388. 

  18. Jimerson DC, Wolfe BE, Franko DL, Covino NA, Sifneos PE. Alexithymia ratings in bulimia nervosa: clinical correlates. Psychosom Med 1994;56:90-93. 

  19. Beales DL, Dolton R. Eating disordered patients: personality, alexithymia, and implications for primary care. Br J Gen Pract 2000;50:21-26. 

  20. De Panfilis C, Rabbaglio P, Rossi C, Zita G, Maggini C. Body image disturbance, parental bonding and alexithymia in patients with eating disorders. Psychopathology 2003;36:239- 246. 

  21. Schmidt U, Jiwany A, Treasure J. A controlled study of alexithymia in eating disorders. Compr Psychiatry 1993;34:54-58. 

  22. Parling T, Mortazavi M, Ghaderi A. Alexithymia and emotional awareness in anorexia nervosa: time for a shift in the measurement of the concept? Eat Behav 2010;11:205-210. 

  23. Troop NA, Schmidt UH, Treasure JL. Feelings and fantasy in eating disorders: a factor analysis of the Toronto Alexithymia Scale. Int J Eat Disord 1995;18:151-157. 

  24. Bydlowski S, Corcos M, Jeammet P, Paterniti S, Berthoz S, Laurier C, Chambry J, Consoli SM. Emotion-processing deficits in eating disorders. Int J Eat Disord 2005;37:321-329. 

  25. Montebarocci O, Codispoti M, Surcinelli P, Franzoni E, Baldaro B, Rossi N. Alexithymia in female patients with eating disorders. Eat Weight Disord 2006;11:14-21. 

  26. Gilboa-Schechtman E, Avnon L, Zubery E, Jeczmien P. Emotional processing in eating disorders: specific impairment or general distress related deficiency? Depress Anxiety 2006; 23:331-339. 

  27. de Groot JM, Rodin G, Olmsted MP. Alexithymia, depression, and treatment outcome in bulimia nervosa. Compr Psychiatry 1995;36:53-60. 

  28. Sexton MC, Sunday SR, Hurt S, Halmi KA. The relationship between alexithymia, depression, and axis II psychopathology in eating disorder inpatients. Int J Eat Disord 1998;23:277-286. 

  29. Rozenstein MH, Latzer Y, Stein D, Eviatar Z. Perception of emotion and bilateral advantage in women with eating disorders, their healthy sisters, and nonrelated healthy controls. J Affect Disord 2011;134:386-395. 

  30. Hund AR, Espelage DL. Childhood emotional abuse and disordered eating among undergraduate females: mediating influence of alexithymia and distress. Child Abuse Negl 2006;30: 393-407. 

  31. Mitchell KS, Mazzeo SE. Mediators of the association between abuse and disordered eating in undergraduate men. Eat Behav 2005;6:318-327. 

  32. Mazzeo SE, Mitchell KS, Williams LJ. Anxiety, alexithymia, and depression as mediators of the association between childhood abuse and eating disordered behavior in African American and European American women. Psychol Women Quart 2008;32:267-280. 

  33. Speranza M, Loas G, Wallier J, Corcos M. Predictive value of alexithymia in patients with eating disorders: a 3-year prospective study. J Psychosom Res 2007;63:365-371. 

  34. Leweke F, Bausch S, Leichsenring F, Walter B, Stingl M. Alexithymia as a predictor of outcome of psychodynamically oriented inpatient treatment. Psychother Res 2009;19:323-331. 

  35. Tchanturia K, Davies H, Harrison A, Fox JR, Treasure J, Schmidt U. Altered social hedonic processing in eating disorders. Int J Eat Disord 2012;45:962-969. 

  36. Shiina A, Nakazato M, Mitsumori M, Koizumi H, Shimizu E, Fujisaki M, Iyo M. An open trial of outpatient group therapy for bulimic disorders: combination program of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with assertive training and self-esteem enhancement. Psychiatry Clin Neurosci 2005;59:690-696. 

  37. Balestrieri M, Isola M, Baiano M, Ciano R. Psychoeducation in Binge Eating Disorder and EDNOS: a pilot study on the efficacy of a 10-week and a 1-year continuation treatment. Eat Weight Disord 2013;18:45-51. 

  38. Clyne C, Latner JD, Gleaves DH, Blampied NM. Treatment of emotional dysregulation in full syndrome and subthreshold binge eating disorder. Eat Disord 2010;18:408-424. 

  39. Becker-Stoll F, Gerlinghoff M. The impact of a four-month day treatment programme on alexithymia in eating disorders. Eur Eating Disord Rev 2004;12:159-163. 

  40. Iancu I, Cohen E, Yehuda YB, Kotler M. Treatment of eating disorders improves eating symptoms but not alexithymia and dissociation proneness. Compr Psychiatry 2006;47:189-193. 

  41. Storch M, Keller F, Weber J, Spindler A, Milos G. Psychoeducation in affect regulation for patients with eating disorders: a randomized controlled feasibility study. Am J Psychother 2011;65:81-93. 

  42. Lafrance Robinson A, Dolhanty J, Stillar A, Henderson K, Mayman S. Emotion-Focused Family Therapy for Eating Disorders Across the Lifespan: A Pilot Study of a 2-Day Transdiagnostic Intervention for Parents. Clin Psychol Psychother 2016;23:14-23. 

  43. Linehan MM. Cognitive-behavioral treatment of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New York: Guilford Press;1993. 

  44. Telch CF, Agras WS, Linehan MM. Dialectical behavior therapy for binge eating disorder. J Consult Clin Psychol 2001;69:1061-1065. 

  45. Safer DL, Robinson AH, Jo B. Outcome from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group therapy for binge eating disorder: comparing dialectical behavior therapy adapted for binge eating to an active comparison group therapy. Behav Ther 2010;41:106-12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