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소방관에서 기능성 소화불량에 대한 심리사회적 요인의 영향 및 삶의 질에 관한 연구
A Study of Effects of Psychosocial Factors and Quality of Life on Functional Dyspepsia in Firefighters 원문보기

精神身體醫學 = Korean journal of psychosomatic medicine, v.24 no.1, 2016년, pp.66 - 73  

장승호 (원광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건강의학교실) ,  류한승 (원광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최석채 (원광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이혜진 (원광대학교 대학원 보건학과) ,  이상열 (원광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건강의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연구목적 소방관에서 기능성 소화불량유병률이 높고 기능성 소화불량의 발현과 악화에 심리사회적 요인이 깊이 연관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소방관들을 대상으로 기능성 소화불량에 관련되는 심리사회적 요인의 특징을 알아보고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방 법 소방관 1,217명을 대상으로 로마 III 진단기준에 따라 기능성 소화불량 집단을 선별하였다. 인구학적 요인을 조사하였으며 심리사회적 요인을 평가하기 위해 Patient Health Questionnaire-9(PHQ-9),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questionnaire-7(GAD-7), Korean Occupational Stress Scale(KOSS), Ways of Coping Checklist(WCCL), Rosenberg's Self-Esteem Scale(RSES) 그리고 World Health Organization Quality of Life Scale abbreviated version(WHOQOL-BREF)를 사용하였다. 기능성 소화불량에 따라 집단을 나누고 교차분석(chisquare test)과 독립표본 t-검정(independent t-test)을 사용하여 집단 간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또한 KOSS의 각 하위 영역별로 기능성 소화불량의 위험도를 평가하기 위해 로지스틱 회귀분석(logistic regres-sion analysis)을 시행하였다. 기능성 소화불량 집단의 삶의 질과 독립변인들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Pearson 상관분석(Pearson's correlation test)을 시행하였으며, 위계적 회귀분석(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을 통해 기능성 소화불량 집단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 요인을 알아보았다. 결 과 기능성 소화불량 집단은 남성(p=0.006)이 많았고, PHQ-9(p<0.001), GAD-7(p<0.001), KOSS(p<0.001) 점수가 유의미하게 높았으며, RSES(p=0.008), WHOQOL-BREF(p<0.001) 점수는 유의미하게 낮았다. KOSS 하위 영역 중 높은 직무요구도(OR 1.94, 95% CI : 1.29-2.93), 부적절한 보상(OR 2.47, 95% CI : 1.61-3.81), 그리고 불편한 직장 문화(OR 1.51, 95% CI : 1.01-2.24)에서 기능성 소화불량의 위험도가 높았다. 기능성 소화불량 집단의 삶의 질에 대한 최종 회귀모델에서 우울증상과 직무스트레스가 낮고, 자아존중감이 높은 것이 삶의 질의 42.0%를 설명했다. 결 론 본 연구 결과 기능성 소화불량 및 삶의 질에 대한 심리사회적 요인의 영향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향후 기능성 소화불량의 평가에 있어 내과적 접근 뿐만 아니라 정신건강의학과적인 접근이 동시에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psychosocial factors related to functional dyspepsia(FD) and their effects on quality of life(QOL) in firefighters. Methods : This study examined data collected from 1,217 firefighters. We measured psychological sympto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소방관에서 기능성 소화불량의 유병률이 높고 기능성 소화불량의 발현과 악화에 심리사회적 요인이 깊이 연관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이들의 관계에 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소방관들을 대상으로 기능성 소화불량에 관련되는 심리사회적 요인의 특징을 알아보고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8) 병태 생리가 다양하고 병태생리와 증상이 일치하지 않아 병태생리에 근거한 치료적 접근이 어렵다. 기능성 위장질환의 대표적인 진단기준인 로마기준은 최소한의 검사를 시행하여 기질적 질환을 배제한 후 진단기준만으로도 기능성 소화불량을 진단하고, 임상연구에 적합한 병태생리가 비교적 균일한 집단을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그 정의가 개정되어 왔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4)

  1. Kim TW, Kim KS, Ahn YS.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depressive symptoms among field firefighters. Korean J Occup Environ Med 2010;22:378-387. 

  2. Kim KS. Health hazards in firefighters. Hanyang med rev 2010;30:296-304. 

  3. Kim SH, Kim JW, Kim JE, Son BC, Kim JH, Lee CH, Jang SH, Lee CK. Pulmonary function and respiratory symptoms of municipal fire officers in Busan. Korean J Occup Environ Med 2006;18:103-111. 

  4. Kim GH, Kim JW, Kim SH. Influences of job stressors on psychosocial well-being, fatigue and sleep sufficiency among firefighters. Korean J Occup Environ Med 2006;18:232-245. 

  5. Kim DS, Moon MK, Kim KS. A survey musculoskeletal symptoms and risk factors for the 119 emergency medical service (EMS) activities. J Ergon Soc Korea 2010;29:211-216. 

  6. Lovejoy S, Gillespie GL, Christianson J. Exploring physical health in a sample of firefighters. Workplace Health Saf 2015;63:253-258. 

  7. Roh SG, Kim JH. Work related diseases in Korean fire fighters. J Dis Pol & Manage 2013;11:571-576. 

  8. Drossman DA. The functional gastrointestinal disorders and the Rome III process. Gastroenterology 2006;130:1377-1390. 

  9. Management of dyspepsia: report of a working party. Lancet 1988;1:576-579. 

  10. Talley NJ, Stanghellini V, Heading RC, Koch KL, Malagelada JR, Tytgat GN. Functional gastroduodenal disorders. Gut 1999;45:II37-II42. 

  11. Tack J, talley NJ, Camilleri M, Holtmann G, Hu P, Malagelada JR, Stanghellini V. Functional gastroduodenal disorders. Gastroenterology 2006;130:1466-1479. 

  12. Jeong JJ, Choi MG, Cho YS, Lee SG, Oh JH, Park JM, Cho YK, Lee IS, Kim SW, Han SW, Choi KY, Chung IS. Chronic gastrointestinal symptoms and quality of life in the Korean population. World J Gastroenterol 2008;14:6388-6394. 

  13. Yang SY, Lee OY, Kim HE, Chang YK, Yoon BC, Choi HS, Chung YG, Cho CH. Dietary related risk factors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Korean J Med 2006;70:627-635. 

  14. Noh YW, Jung HK, Kim SE, Jung SA. Overlap of erosive and non-erosive reflux diseases with functional gastrointestinal disorders according to rome III criteria. Korean J Neurogastroenterol Motil 2010;16:148-156. 

  15. Mak AD, Wu JC, Chan Y, Chan FK, Sung JJ, Lee S. Dyspepsia is strongly associated with major depression and generalised anxiety disorder: a community study. Aliment Pharmacol Ther 2012;36:800-810. 

  16. De la Roca-Chiapas JM, Solis-Ortiz S, Fajardo-Araujo M, Sosa M, Cordova-Fra T, Rosa-Zarate A. Stress profile, coping style, anxiety, depression, and gastric emptying as predictors of functional dyspepsia: a case-control study. J Psychosom Res 2010;68:73-81. 

  17. Tominaga K, Higuchi K, Iketani T, Ochi M, Kadouchi K, Tanigawa T, Shiba M, Watanabe T, Fujiwara Y, Oshitani N, Nagata T, Kiriike N, Arakawa T. Comparison of gastrointestinal symptoms and psychological factors of functional dyspepsia to peptic ulcer or panic disorder patients. Inflammopharmacology 2007;15:84-89. 

  18. Filipovic BF, Randjelovic T, Ille T, Markovic O, Milovanovic B, Kovacevic N, Filipovic BR. Anxiety, personality traits and quality of life in functional dyspepsia-suffering patients. Eur J Intern Med 2013;24:83-86. 

  19. Ghoshegir SA, mazaheri M, Ghannadi A, Feizi A, Babaeian M, Tanhaee M, Karimi M, Adibi P. Pimpinella anisum in modifying the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functional dyspepsia: A double-blind randomized clinical trial. J Res Med Sci 2014;19:1118-1123. 

  20. Talley NJ, Locke GR 3rd, Lahr BD, Zinsmeister AR, Tougas G, Ligozio G, Rojavin MA, Tack J. Functional dyspepsia, delayed gastric emptying, and impaired quality of life. Gut 2006;55:933-939. 

  21. Kroenke K, Spitzer RL, Williams JB. The PHQ-9: validity of a brief depression severity measure. J Gen Intern Med 2001;16: 606-613. 

  22. Han C, Jo SA, Kwak JH, Pae CU, Steffens D, Jo I, Park MH. Validation of the Patient Health Questionnaire-9 Korean version in the elderly population: the Ansan Geriatric study. Compr Psychiatry 2008;49:218-223. 

  23. Spitzer RL, Kroenke K, Williams JBW, Lowe B. 2006. A brief measure for assessing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the GAD-7. Arch Intern Med 166:1092-1097. 

  24. Kroenke K, Spitzer RL, Williams JBW, Monahan PO, Lowe B. Anxiety disorders in primary care: prevalence, impairment, comorbidity, and detection. Annals of Internal Medicine 2007;146: 317-325. 

  25. Chang SJ, Koh SB, Kang D, Kim SA, Kang MG, Lee CG, Chung JJ, Cho JJ, Son M, Chae CH, Kim JW, Kim JI, Kim HS, Roh SC, Park JB, Woo JM, Kim SY, Kim JY, Ha M, Park J, Rhee KY, Kim HR, Kong JO, Kim IA, Kim JS, Park JH, Huyun SJ, Son DK. Developing an occupational stress scale for Korean employees. Korean J Occup Environ Med 2005; 17:297-317. 

  26. Folkman S, Lazarus RS. If it changes it must be a process: Study of emotion and coping during three stages of a college examination. J Pers Soc Psychol 1985;48:158-170. 

  27. Rosenberg HS. Society and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1965. 

  28. Lee JY, Nam SK, Lee MK, Lee JH, Lee SM. Rosenberg' Self-Esteem Scale: Analysis of Item-Level Validity.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2009;21:173-189. 

  29. WHOQOL Group. Development of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QOL-BREF Quality of life assessment. Soc sci Med 1998;15:551-558. 

  30. Min SK, Lee CI, Kim KI, Suh SY, Kim DK. Development of Korean version of WHO quality of life scale abbreviated version (WHOQOL-BREF).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2000; 39:571-579. 

  31. Tubbs RL. Occuaptional noise exposure and hearing loss in fire fighters assigned to airport fire stations. Am Ind Hyg Assoc J 1991;52:372-378. 

  32. Reichelt PA, Conrad KM. Musculoskeletal injury: Ergonomics and physical fitness in firefighters. Occup Med 1995;10:735-746. 

  33. Myong JP, Yim HW, Kim HR, Chae JM, Jung YK, Park JI. Depression symptom features of an fire station workers by job. Korean J Occup Health 2007;46:85-94. 

  34. Branka FF, Tomislav R, Tatjana I, Olivera M, Branislav M, Nada K, Branislav R. Anxiety, personality traits and quality of life in functional dyspepsia-suffering patients. Eur J Intern Med 2013;24:83-86. 

  35. Savas LS, White DL, Wieman M, Daci K, Fitzgerald S, Laday SS, Tan G, Graham DP, Cully JA, El-Serag HB. Irritable bowel syndrome and dyspepsia among women vererans: prevalence and association with psychological distress. Aliment Pharmacol Ther 2009;29: 115-125. 

  36. Lorena SL, Tinois E, Brunetto SQ, Camargo EE, Mesquita MA. Gastric emptying and intragastric distribution of a solid meal in functional dyspepsia: influence of gender and anxiety. J Clin Gastroenterol 2004;38:230-236. 

  37. Geeraerts B, Vandenberghe J, Van Oudenhove L, Gregory LJ, Aziz Q, Dupont P. Influence of experimentally induced anxiety on gastric sensory motor function in humans. Gastroenterology 2005;129:1437-1444. 

  38. Keohane J, Quigley EMM. Functional dyspepsia: the role of visceral hypersensitivity in its pathogenesis. World J Gastroenterol 2006;12:2672-2676. 

  39. Lee DS, Kim JH. Effect of job stress on psychiatric symptomsfocused on gender difference of mediation effect of self-esteem.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2001;40:217-229. 

  40. Devanarayana NM, Mettananda S, Liyanarachchi C, Nanayakkara N, Mendis N, Perera N, Rajindrajith S. Abdominal pain predominant functional gastrointestinal disease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prevalence, symptomatology, and association with emotional stress. J Pediatr Gastroenterol Nutr 2011;53:659-665. 

  41. Vanuytsel T, van Wanrooy S, Vanheel H, Vanormelingen C, Verschueren S, Houben E, Salim Rasoel S, Toth J, Holvoet L, Farre R, Van Oudenhove L, Boeckxstaens G, Verbeke K, Tack J. Psychological stress and corticotropin-releasing hormone increase intestinal permeability in humans by a mast cell-dependent mechanism. Gut 2014;63:1293-1299. 

  42. Yasuki SJ, Takeji UN, Yoshihiro HS. Twenty four-hour shift work, depressive symptoms, and job dissatisfaction among Japanese firefighters. A J Ind Med 2008;51:380-391. 

  43. Ha JH, Kim DI, Seo BS, Kim WS, Ryu SH, Kim SG. Job stress and psychosocial stress among firefighters. Korean J Occup Environ Med 2008;20:104-111. 

  44. Van Oudenhove L, Vandenberghe J, Vos R, Holvoet L, Demyttenaere K, Tack J. Risk factors for impaired health ralated quality of life in functional dyspepsia. Aliment Pharmacol Ther 2011;33:261-27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