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시화호 조력발전소 가동 전·후 조간대 복원과 수조류와의 관계
The Intertidal Restoration and Relationship with Water birds According to Before and After Operation of Sihwa Lake Tidal Power Plant 원문보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30 no.3, 2016년, pp.320 - 327  

박치영 (충남대학교 대학원) ,  김호준 (한국수자원공사 K-Water 연구원) ,  백인환 (국립중앙과학관) ,  진선덕 (국립생태원) ,  백운기 (국립중앙과학관) ,  이준우 (충남대학교 산림환경자원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2012년 시화호 조력발전소가 가동됨에 따라 조간대가 복원되었다. 복원 후 물새 분류군별 개체수 변동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2009년부터 2014년까지 조사가 수행되었다. 복원 전 배수갑문 운영시 조간대 면적은 $5.3km^2$에서 복원 후 $20.3km^2$로 늘어났다. 전체 조류개체수 군집에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6개 분류군별 개체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잠수성 오리류(p=0.237)를 제외한 백로류(p<0.001), 고니기러기류(p<0.01), 수면성오리류(p<0.001), 도요물떼새류(p<0.001) 갈매기류(p<0.001)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시화호 조간대는 복원된 지 얼마 지나지 않았지만 환경 및 저서생태계의 개선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조간대 지역을 기반으로 살아가는 수조류의 서식지 이용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사라졌던 조간대가 다시 복원된 유례가 없는 사례이며 향후에는 유사한 환경에서의 생물다양성 유지를 위한 대안의 한 방법으로도 고려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tertidal zone has been restored by the Sihwa Lake tidal power plant is operating in 2012. After restoration, to check the difference of bird group's community change out, the examination has been carried out from 2009 to 2014 when sea dike sluicer runs, the intertidal zone area was increased t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시화호의 조간대 복원의 환경변화가 물새의 군집 양상에 어떠한 변화를 가져왔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시화호 조력발전소 가동 전・후 조간대 복원 변화는 전체 조류 군집에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조류 분류군별군집 차이에는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는 조력발전소 건설 전・후 조간대 복원 변화가 시화호에 도래하는 물새의 분류군별 개체수 변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이를 활용한 조류다양성 유지 및 증진을 위한 조간대 보전·관리의 기초자료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바다와 접한 만의 가장자리에 넓은 조간대가 발달한 이유는 무엇인가? 만이 내륙 깊숙이 만입되고 복잡한 굴곡을 가진, 전형적인 서해안의해안선을 형성하고 있었던 지역이다. 바다와 접한 만의 가장자리는 큰 조차와 지형적인 특성 때문에 넓은 조간대가잘 발달되어 있었다. 사리포구, 마산포구, 대부도, 음도, 형도 등을 포함하는 군자만 내해의 주변 조간대는 다양한 생물이 서식하였으며, 수산자원이 가장 풍부한 지역이었다(Statistics Korea, 2013).
국내의 군자만 내해의 주변 조간대에 포함되는 곳은 어디인가? 바다와 접한 만의 가장자리는 큰 조차와 지형적인 특성 때문에 넓은 조간대가잘 발달되어 있었다. 사리포구, 마산포구, 대부도, 음도, 형도 등을 포함하는 군자만 내해의 주변 조간대는 다양한 생물이 서식하였으며, 수산자원이 가장 풍부한 지역이었다(Statistics Korea, 2013). 그러나 시화지구 대단위 간척종합개발의 일환으로 농어촌진흥공사가 1994년 시화방조제를 완공함에 따라 군자만과 그 내부의 조간대는 소실되었으며, 방조제 축조로 형성된 호수면적은 56.
시화방조제 건설로 유발된 시화호의 수질악화를 해결하기 위한 방편으로 추진된 것은 무엇인가? 시화방조제 건설은 내부 조간대의 소실뿐만 아니라 극심한 수질악화를 유발하였고(KORDI, 1999) 이에 정부는 2000년 「시화호 수질개선(변경) 대책을 통해 담수화를 포기하고 해수호로의 전환을 공식적으로 발표하였다. 그러나 배수갑문의 구조적인 문제와 해수유통량의 부족은 시화호 수질 및 생태계를 크게 개선시키지 못하였고(Jung,2000)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편으로 시화호 조력발전소 건립을 추진하기에 이른다. 2012년 조력발전소가 완공․ 가동되면서 시화호 수역에는 규칙적인 조석환경이 조성되었고, 이에 따라 시화호 가장자리를 따라 소실되었던 조간대가 다시 형성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CADEE, G. C(1995) Birds as producers of shell fragments in the Wadden Sea, in particular the role of the Herring gull. GEOBIOS, M.S. 18: 77-85. 

  2. Choi, Y.S., Kwon, I.K. and Yoo, J.C.(2007) Foraging habitat preferences of Herons and Egrets, Journal of Ecology and field Biology, 30: 237-244. 

  3. Cramp S. and K. E. L. Simmons( 1977) Handbook of the birds of Europe, the Middle East and North Africa: the birds of the Western Palearctic. Vol. 1: Ostrich to Ducks. Oxford University Press. Oxford. pp. 385-670. 

  4. Czech H. A. and K. C. Parsons(2002) Agricultural wetlands and waterbirds: A review. Waterbirds 25(Special Publication 2): 56-65. 

  5. Eertman, R.H.M., Kornman, B.A., Stikvoork, E., Verbeek, H(2002) Restoration of the Sieperda Tidal Marsh in the Scheldt Estuary, the Netherlands, Restoration Ecol. 10(3): 438-449. 

  6. Gray, A., Simentstad, C.A., Bottom, D.L. and Cornwell, T.J(2002) Contrasting Functional Performance of Juvenile Salmon Habitat in Recovering Wetlands of the Salmon River Estuary, Oregon, U.S.A. Restoration Ecol. 10(3): 514-526. 

  7. Hilton, M.J., Manning, S.S.(1995) Conversion of coastal habitats in Singapore: indications of unsustainable development, Environ. Conserv. 22: 307­322. 

  8. Jung, J. C.(2000) The Effect Analysis of Water Quality Enhancement Using the Water Gate Control in Lake Sihwa", J. Korean Soc. Water Qual. 16(1): 1-8. 

  9. KORDI(1999) Report on study of environmental changes and establishment of conservation countermeasure for Lakes Shihwa, KORDI, 363 pp. 

  10. Korea Water Resource Corporation(2005) Study about establishment method of ecological network of the Sihwa Lake. Korea Institute of Water and Environment, Korea Water Resources Corporation. 264pp. 

  11. Krapu, G.L., Reinecke, K.J.(1992) Foraging ecology and nutrition, pp. 1-29 Ecology and Management of Breeding Waterfowl.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Minneapolis, MN, USA. 

  12. Kubetzki, U & S. Garthe(2003) Distribution, diet and habitat selection by four sympatrically breeding gull species in the south-eastern North Sea. Marine Biology 143: 199-207. 

  13. Lee, W. S., T. H. Koo and J. Y. Park(2014) A Field guide to the birds of Korea. LG Evergreen Foundation, Seoul, 383pp. 

  14. MacKinnon, J., Verkuil, Y.I. and Murray, N.(2012) IUCN situation analysis on East and Southeast Asian intertidal habitats, with particular refeence to the Yellow Sea (including the Bohai Sea), pp. 9-14, Occasional paper of the IUCN species survival commission, 47. 

  15.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2013) Annual report of project to improve the marine environments of the Shihwa Lake, Korea Institute of Ocean Science & Technology (KIOST), pp. 145-189. 

  16. Neckles, H,A., Dionne, M., Burdick, D.M., Roman, C.T., Buchsbaum, R., Hutchins, E.(2002) A Monitoring Protocol to Assess Tidal Restoration of Salt Marshes on Local and Regional Scales, Restoration Ecol. 10(3): 556-563. 

  17. Newman, M., Lindsey, A.(2011) A ten-year study of shorebirds at the morpeth wastewater treatment work near Maitland in New South Wales, Stilt. 60: 37-45. 

  18. Park, C.Y., Kim, W.Y. and Lee, D.P.(2009) Comparison of the characteristics of bird community according to habitat types in rural area of Muan-gun, Jeollanam-do, The Korea Journal of Ornithology, 16: 81-92. 

  19. Park, Y.S., Lee, W.S., Nam, H.K., Lee, K.S. and Yoo, J.C.(2007) Patterning waterbirds occurrences at the western costal area of the Korean peninsula in winter using a self-organizing map,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25: 149-157. 

  20. Sanchez, M.I., Green, A.J. and Alejandre, R.(2006) Shorebird predation affects density, biomass, and size distribution of benthic chironomids in salt pans: an exclosure experiment, J.N. Am. Benthol Soc. 25: 9­18. 

  21. Statistics Korea.(2013) Statistical data of intertidal change, http://www.kosta.go.kr/. Accessed 1 Aug 2014. 

  22. The Ornithological Society of Korea(2009) Checklist of the birds of Korea. Hanrimwon, Seoul, 133pp. 

  23. Tong, C., Baustian, J.J., Graham, S.A. and Mendelssohn, I.A. (2013) Salt marsh restoration with sediment-slurry application: Effects on benthic macroinvertebrates and associated soil-plant variables, Ecol. Eng. 51: 151-160. 

  24. Vickery J. A., W. J. Sutherland, A. R. Watkinson, S. J. Lane and J. M. Rowcliffe(1995) Habitat switching by dark-bellied brent geese Branta b. bernicla (L.) in relation to food depletion. Oecologia 103: 499-508. 

  25. Wataru, N., Yoichi, N., Satoshi, N., Tetsuji, O., Tsuyoshi, I. and Mitsumasa, O.(2014) Macrobenthic succession and characteristics of a man-made intertidal sandflat constructed in the diversion channel of the Ohta River Estuary, Mar. Pollut. Bull. 82(1-2): 101-108. 

  26. Yee, A.T.K., Ang, W.F., Teo, S., Liew, S.C. and Tan, H.T.W.(2010) The present extent of mangrove forests in Singapore, Nature in Singapore 3: 139-145. 

  27. Young, S.M. and Ishiga, H.(2014) Environmental change of the fluvial-estuary system in relation to Arase Dam removal of the Yatsushiro intertidal, SW Kyushu, Japan, Environmental Earth Sciences, pp. 1-1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