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자코·전자혀의 산업적 활용
Electric-Nose/Tongue and Their Applications 원문보기

식품산업과 영양 = Food industry and nutrition, v.21 no.1, 2016년, pp.15 - 18  

김민정 (한국식품연구원 기능성식품연구본부) ,  박재호 (한국식품연구원 기능성식품연구본부)

초록이 없습니다.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전자코・전자혀는 인체가 인지하는 후각과 미각 자극을 중추신경계의 도움 없이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판별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기고를 통해 후각과 미각 신호전달계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와 현황 및 응용 방향에 대해 서술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전자코・전자혀란 무엇인가? 전자코・전자혀는 인체가 인지하는 후각과 미각 자극을 중추신경계의 도움 없이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판별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기고를 통해 후각과 미각 신호전달계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와 현황 및 응용 방향에 대해 서술하고자 한다.
전자코・전자혀 개발이 진행되는 2가지 방식은 무엇인가? 전자코・전자혀 개발은 2가지 방식으로 진행되고 있다. 먼저 생체물질인 수용체 또는 효소를 활용하는 방법과 생체물질을 사용하지 않는 방법이 있다. 먼저 생체물질을 사용하지 않는 전자코・전자혀에서 사용되는 센서는 압전기, 전기화학, 비색, GC/MS 기반 센서로 크게 4종으로 분류할 수 있다.
후각 정보의 인지는 어떻게 시작되는가? 후각 정보의 인지는 냄새 물질이 콧속의 후각신경세포에 존재하는 후각수용체와 결합하면서 시작한다. 후각수용체는 약 1,000개의 유전자가 알려졌으며 인체에서는약 400개 정도가 후각신경세포에서 발현하고 후각인지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Kang NN, Koo JH. 2012. Olfactory receptors in non-chemosensory tissues. BMB Rep 45: 612-622. 

  2. MONELL CENTER Home Page. 2016. http://www.monell.org/research/anosmia/how_smell_works. 

  3. Restrepo D, Teeter JH, Schild D. 1996. Second messenger signaling in olfactory transduction. J Neurobiol 30: 37-48. 

  4. Leffingwell & Associates Home Page. 2016. http://www.leffingwell.com/top_10.htm. 

  5. IAL Consultants. 2014. An overview of the global flavours and fragrances market. 9th ed. 

  6. 식품의약품안전처. 2014. 2014년 식품 및 식품첨가물 생산 실적(승인번호: 제14503호). 

  7. Simon SA, de Araujo IE, Gutierrez R, Nicolelis MA. 2006. The neural mechanisms of gustation: a distributed processing code. Nat Rev Neurosci 7: 890-901. 

  8. Saevels S, Lammertyn J, Berna AZ, Veraverbeke EA, Di Natale C, Nicolai BM. 2003. Electronic nose as a non-destructive tool to evaluate the optimal harvest date of apples. Postharvest Biol Technol 30: 3-14. 

  9. Sinesio F, Di Natale C, Quaglia GB, Bucarelli FM, Moneta E, Macagnano A, Paolesse R, D'Amico A. 2000. Use of electronic nose and trained sensory panel in the evaluation of tomato quality. J Sci Food Agric 80: 63-71. 

  10. Dymerski TM, Chmiel TM, Wardencki W. 2001. Invited review article: An odor-sensing system-powerful technique for foodstuff studies. Rev Sci Instrum 82: 111101. 

  11. Ciosek P, Wroblewski W. 2007. Sensor arrays for liquid sensing-electronic tongue systems. Analyst 132: 963-978. 

  12. Santonico M, Bellincontro A, De Santis D, Natale CD, Mencarelli F. 2010. Electronic nose to study postharvest dehydration of wine grapes. Food Chem 121: 789-796. 

  13. Chen Q, Liu A, Zhao J, Ouyang Q. 2013. Classification of tea category using a portable electronic nose based on odor imaging sensor array. J Pharm Biomed Anal 84: 77-83. 

  14. Rodriguez J, Duran C, Reyes A. 2010. Electronic nose for quality control of Colombian coffee through the detection of defects in"Cup Tests". Sensors(Basel) 10: 36-46. 

  15. Sliwinska M, Wisniewska P, Dymerski T, Namiesnik J, Wardencki W. 2014. Food analysis using artificial senses. J Agric Food Chem 62: 1423-1448. 

  16. Kiani S, Minaei S, Ghasemi-Varnamkhasti M. 2016. Review: Fusion of artificial senses as a robust approach to food quality assessment. J Food Eng 171: 230-239. 

  17. Esbensen K, Kirsanov D, Legin A, Rudnitskaya A, Mortensen J, Pedersen J, Vognsen L, Makarychev-Mikhailov S, Vlasov Y. 2004. Fermentation monitoring using multisensor systems: feasibility study of the electronic tongue. Anal Bioanal Chem 378: 391-395. 

  18. Rudnitskaya A, Schmidtke LM, Delgadillo I, Legin A, Scollaryd G. 2009. Study of the influence of micro-oxygenation and oak chip maceration on wine composition using an electronic tongue and chemical analysis. Anal Chim Acta 642: 235-245. 

  19. Kutyla-Olesiuk A, Zaborowski M, Prokaryn P, Ciosek P. 2012. Monitoring of beer fermentation based on hybrid electronic tongue. Bioelectrochemistry 87: 104-113. 

  20. Escriche I, Kadar M, Domenech E, Gil-Sanchez L. 2012. A potentiometric electronic tongue for the discrimination of honey according to the botanical origin. Comparison with traditional methodologies: Physicochemical parameters and volatile profile. J Food Eng 109: 449-456. 

  21. Wei Z, Wang J, Jin W. 2013. Evaluation of varieties of set yogurts and their physical properties using a voltammetric electronic tongue based on various potential waveforms. Sens Actuators B 177: 684-69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