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녹차씨껍질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신경세포 보호 효과
Antioxidant and Neuroprotective Effects of Green Tea Seed Shell Ethanol Extract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5 no.7, 2016년, pp.958 - 965  

성낙윤 (공주대학교 식품공학과) ,  송하연 (공주대학교 식품공학과) ,  안동현 (부경대학교 식품공학과) ,  유영춘 (건양대학교 의과대학 미생물학교실) ,  변의백 (한국원자력연구원) ,  장범수 (한국원자력연구원) ,  박철환 (광운대학교 화학공학과) ,  박원종 (공주대학교 식품공학과) ,  변의홍 (공주대학교 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산업 부산물의 이용성 증진을 위하여 폐자원인 녹차씨껍질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신경세포 보호 효과에 관하여 평가하였다. 녹차씨껍질로부터 유용성 성분을 얻기 위하여 에탄올 추출을 한 결과 약 1.44%의 추출물의 수율을 얻을 수 있었고, 항산화 활성에 관하여 평가하기 위하여 라디칼 소거능 및 xanthine oxidase 저해능, 환원력을 평가한 결과, 녹차씨껍질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항산화 활성이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러한 녹차씨껍질 추출물의 뇌신경세포 보호 효과에 관하여 알아보기 위하여 생쥐의 해마 유래 뇌신경세포에 녹차씨껍질 추출물을 처리한 후 $H_2O_2$로 산화적인 스트레스를 유도하여 세포독성에 관하여 알아본 결과, 녹차씨껍질 추출물의 처리는 농도 의존적으로 뇌신경 세포의 생존율을 증가시켰으며, 이에 따라 항산화 효소인 SOD 활성이 증가하고 지질과산화 생성물인 MDA level이 감소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들로 녹차씨껍질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뇌신경세포 보호 효과에 관하여 확인할 수 있었으며, 추후 어떤 메커니즘으로 신경세포를 보호하는지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또한, 이러한 결과를 활용하여 녹차씨껍질을 기능성 소재로 활용한다면 폐자원인 녹차씨껍질을 재활용하는 차원에서 그 경제적 가치가 매우 클 것으로 생각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antioxidant activity of green tea seed shell as an industrial byproduct. Green tea seed shell extract (GTSSE) was obtained by ethanol extraction, and the yield was $1.4{\pm}0.22%$. Th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1,1-diphenyl-picrylhydraz...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녹차씨껍질의 항산화 활성에 관하여 알아보기 이전에 녹차씨껍질 에탄올 추출물 추출 수율에 관하여 평가해 보았다. 녹차씨로부터 껍질 부분을 분리하여 녹차씨껍질 100 g을 에탄올을 이용하여 24시간 동안 추출한 후, 회전식 감압 농축기로 농축하여 동결 건조한 다음 수율에 관하여 평가해보았다(Table 1).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녹차 재배 시 산업 부산물로 발생하는 녹차씨껍질의 이용성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녹차씨껍질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신경세포 보호 효과에 관하여 평가하였다.
  • 녹차씨의 경우는 외피를 제거하고 오일을 추출하는 데 일부가 사용되는 것으로 알고 있으나, 현재까지 대량생산을 위한 산업적인 적용이 많이 이루어지지 않는 추세이다. 따라서 산업적인 부산물로서 이러한 외피 부분을 재활용한다면 그 경제적인 가치가 매우 클 것으로 생각하여(9) 본 연구에서는 녹차씨 외피 추출물의 생리활성에 관하여 알아보았다.
  • 따라서 신경세포에서 SOD 활성 저하는 세포독성으로 이어지고, 이는 알츠하이머, 파킨슨병과 같은 뇌질환을 일으킨다(31). 본 실험에서 GTSSE가 과산화수소 유도 독성으로부터 세포를 보호하는 것이 세포 내 SOD 활성 증가에 따른 것인지 평가하였다(Fig. 4A). GTSSE를 12.
  • 따라서 지질과산화 생성물인 MDA는 알츠하이머나 파킨슨병을 포함한 뇌질환 연구에서 신경세포의 지질과산화의 정도를 측정하는 지표로 널리 사용된다(35). 본 실험에서 GTSSE가 과산화수소로 유도되는 MDA를 억제하는지 평가하였다(Fig. 4B). GTSSE를 12.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활성산소종의 종류는? 생체 내에서 다양한 경로로 생성되는 superoxide radical(O2-), hydroxyl radical(HO・), hydrogen peroxide(H2O2), 일중항산소(1O2)와 같은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은 생체에 치명적인 독성을 일으키며(1), 세포 구성성분인 지질, 단백질, 당, DNA 등에 대해 비선택적, 비가역적으로 손상을 초래하므로 암을 비롯한 뇌신경질환, 심장질환, 동맥경화, 염증, 류마티스, 자가면역질환 등의 각종 질병과 노화의 주원인으로 알려져 있다(2,3). 따라서 생체 내 활성산소 발생 억제를 위해 항산화 물질의 개발에 관한 연구들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강력한 항산화 능력을 갖춘 butylated hydroxytoluene(BHT) 같은 합성 항산화제가 개발되었지만, 간 독성 등 다양한 부작용을 유발하여 이를 대체할 수 있는 식품 유래 천연 항산화제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추세이다(4).
녹차씨 외피 추출물의 생리활성 효능은? 녹차 부산물의 부가가치를 높이기 위해 일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녹차는 잎 외에 녹차나무 뿌리와 씨에서도 다량의 폴리페놀이 있다고 보고되었으며(10), 녹차씨에서 추출한 오일은 모발손상 방지 효과가 있고(11), 녹차씨 외피 추출물은 미백 효과가 있으며 항염증 효과가 뛰어나다고 보고되었다(9,12). 하지만 녹차씨껍질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신경세포 보호 효과에 관한 연구는 전무후무한 실정이다.
녹차의 폴리페놀 성분인 catechin에 포함되는 것은? 녹차는 전 세계적으로 널리 이용되며, 주로 잎을 가공하여 기능성 식품과 음료, 화장품 등의 다양한 제품을 제조한다. 녹차의 폴리페놀 성분인 catechin에는 (-)-epicatechin(EC), (-)-epigallocatechin(EGC), (-)-epicatechin-3-gallate(ECG), (-)-epigallocatechin-3-gallate(EGCG) 등이 있고 이 폴리페놀들은 항염증, 항암, 미백 등의 다양한 효과가 밝혀졌으며(5-7), 특히 이러한 녹차 catechin류는 blood-brain barrier를 통과하여 중추신경계의 대사 조절에도 관여한다고 밝혀졌다(8). 녹차 폴리페놀의 다양한 기능성이 밝혀지면서 녹차는 단순한 기호식품이 아닌 건강 기능적인 면에서 우수성을 인정하는 기호음료로 소비형태가 전환되었고, 이에 따라 녹차에 대한 수요는 현재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Ott M, Gogvadze V, Orrenius S, Zhivotovsky B. 2007. Mitochondria, oxidative stress and cell death. Apoptosis 12: 913-922. 

  2. Valko M, Leibfritz D, Moncol J, Cronin MT, Mazur M, Telser J. 2007. Free radicals and antioxidants in normal physiological functions and human disease. Int J Biochem Cell Biol 39: 44-84. 

  3. McBride TJ, Preston BD, Loeb LA. 1991. Mutagenic spectrum resulting from DNA damage by oxygen radicals. Biochemistry 30: 207-213. 

  4. Joo HY, Lim KT. 2009. Protective effect of glycoprotein isolated from Cudrania tricuspidata on liver in $CCl_4$ -treated A/J mice. Korean J Food Sci Technol 41: 93-99. 

  5. Lin YL, Lin JK. 1997. (-)-Epigallocatechin-3-gallate blocks the induction of nitric oxide synthase by down-regulating lipopolysaccharide-induced activity of transcription factor nuclear factor- ${\kappa}B$ . Mol Pharmacol 52: 465-472. 

  6. An BJ, Kwak JH, Son JH, Park JM, Lee JY, Park TS, Kim SY, Kim YS, Jo C, Byun MW. 2005. Physiological activity of irradiated green tea polyphenol on the human skin. Am J Chin Med 33: 535-546. 

  7. Hibasami H, Komiya T, Achiwa Y, Ohnishi K, Kojima T, Nakanishi K, Akashi K, Hara Y. 1998. Induction of apoptosis in human stomach cancer cells by green tea catechins. Oncol Rep 5: 527-529. 

  8. Faria A, Pestana D, Teixeira D, Couraud PO, Romero I, Weksler B, de Freitas V, Mateus N, Calhau C. 2011. Insights into the putative catechin and epicatechin transport across blood-brain barrier. Food Funct 2: 39-44. 

  9. Song HY, Sung NY, Jung PM, Kang MS, Park WJ, Byun EH. 2015. Whitening effect of green tea seed shell ethanol extra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4: 1470-1475. 

  10. Cha WS, Cho MJ, Ding JL, Shin HJ. 2008. Nutritional component analysis of green tea tree's root and seed. Korean J Biotechnol Bioeng 23: 387-391. 

  11. Min MJ, Choi MH, Kim GC, Shin HJ. 2013. Damage prevention effect of green tea seed oil on colored and decolored hair. Korean Soc Biotechnol Bioeng J 28: 287-294. 

  12. Noh KH, Jang JH, Min KH, Chinzorig R, Lee MO, Song YS. 2011. Suppressive effect of green tea seed coat ethyl acetate fraction on inflammation and its mechanism in RAW 264.7 macrophage cell.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625-634. 

  13. Appel HM, Govenor HL, D'Ascenzo M, Siska E, Schultz JC. 2001. Limitations of Folin assays of foliar phenolics in ecological studies. J Chem Ecol 27: 761-778. 

  14. Davis WB. 1947. Determination of flavanones in citrus fruits. Anal Chem 19: 476-478. 

  15.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0. 

  16. Re R, Pellegrini N, Proteggente A, Pannala A, Yang M, Rice-Evans C. 1999.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Free Radic Biol Med 26: 1231-1237. 

  17. Stirpe F, Della Corte E. 1969. The regulation of rat liver xanthine oxidase. J Biol Chem 244: 3855-3863. 

  18. Oyaizu M. 1986. Studies on products of browning reactions: antioxidative activities of products of browning reaction prepared from glucosamine. Jpn J Nutr 44: 307-315. 

  19. Lim HA, Jang CH, Kim JH, Kim JR, Ha YR, Song YS, Kim YK, Kim JS. 2006. Anti proliferative and anticarcinogenic enzyme-inducing activities of green tea seed extract in hepatoma cells. Food Sci Biotechnol 15: 914-919. 

  20. Yoo KM, Kim DO, Lee CY. 2007. Evaluation of different methods of antioxidant measurement. Food Sci Biotechnol 16: 177-182. 

  21. Ahmad N, Feyes DK, Nieminen AL, Agarwal R, Mukhtar H. 1997. Green tea constituent epigallocatechin-3-gallate and induction of apoptosis and cell cycle arrest in human carcinoma cells. J Natl Cancer Inst 89: 1881-1886. 

  22. Choi OJ, Choi KH. 2003.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Korean wild teas (green tea, semi-fermented tea, and black tea) according to degree of ferment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356-362. 

  23. Kinlen LJ, Willows AN, Goldblatt P, Yudkin J. 1988. Tea consumption and cancer. Br J Cancer 58: 397-401. 

  24. Chiang HC, Chen YY. 1993. Xanthine oxidase inhibitors from the roots of eggplant (Solanum melongena L.). J Enzyme Inhib 7: 225-235. 

  25. Aucamp J, Gaspar A, Hara Y, Apostolides Z. 1997. Inhibition of xanthine oxidase by catechins from tea (Camellia sinensis). Anticancer Res 17: 4381-4385. 

  26. Kim YS, Lee SJ, Hwang JW, Kim EH, Park PJ, Jeon BT. 2011. Antioxidant activity and protective effects of extracts from Helianthus tuberosus L. leaves on t-BHP induced oxidative stress in Chang cell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1525-1531. 

  27. Choi Y, Jeong HS, Lee J. 2007. Antioxidant activity of methanolic extracts from some grains consumed in Korea. Food Chem 103: 130-138. 

  28. Shackelford RE, Kaufmann WK, Paules RS. 2000. Oxidative stress and cell cycle checkpoint function. Free Radic Biol Med 28: 1387-1404. 

  29. Rao KS. 2009. Free radical induced oxidative damage to DNA: relation to brain aging and neurological disorders. Indian J Biochem Biophys 46: 9-15. 

  30. Mandel SA, Avramovich-Tirosh Y, Reznichenko L, Zheng H, Weinreb O, Amit T, Youdim MBH. 2005. Multifunctional activities of green tea catechins in neuroprotection. Neurosignals 14: 46-60. 

  31. Zemlan FP, Thienhaus OJ, Bosmann HB. 1989. Superoxide dismutase activity in Alzheimer's disease: possible mechanism for paired helical filament formation. Brain Res 476: 160-162. 

  32. Weinreb O, Amit T, Mandel S, Youdim MBH. 2009. Neuroprotective molecular mechanisms of (-)-epigallocatechin-3-gallate: a reflective outcome of its antioxidant, iron chelating and neuritogenic properties. Genes Nutr 4: 283-296. 

  33. Morrow JD, Awad JA, Kato T, Takahashi K, Badr KF, Roberts LJ 2nd, Burk RF. 1992. Formation of novel non-cyclooxygenase-derived prostanoids (F2-isoprostanes) in carbon tetrachloride hepatotoxicity. An animal model of lipid peroxidation. J Clin Invest 90: 2502-2507. 

  34. Anzai K, Ogawa K, Goto Y, Senzaki Y, Ozawa T, Yamamoto H. 1999. Oxidation-dependent changes in the stability and permeability of lipid bilayers. Antioxid Redox Signal 1: 339-347. 

  35. Bermejo P, Gomez-Serranillos P, Santos J, Pastor E, Gil P, Martin-Aragon S. 1997. Determination of malonaldehyde in Alzheimer's disease: a comparative study of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and thiobarbituric acid test. Gerontology 43: 218-222. 

  36. Inal ME, Kanbak G, Sunal E. 2001. Antioxidant enzyme activities and malondialdehyde levels related to aging. Clin Chim Acta 305: 75-80. 

  37. Choi YT, Jung CH, Lee SR, Bae JH, Baek WK, Suh MH, Park J, Park CW, Suh SI. 2001. The green tea polyphenol (-)-epigallocatechin gallate attenuates ${\beta}$ -amyloid-induced neurotoxicity in cultured hippocampal neurons. Life Sci 70: 603-61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