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HepG2 및 PC12 세포에서 혼합 한약재 발효물의 산화적 스트레스 억제 활성 평가
Effect of Fermented Herbal Mixture against Oxidative Stress in HepG2 and PC12 Cell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5 no.7, 2016년, pp.1057 - 1064  

이윤정 (경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난슬 (경남대학교 식품생명학과) ,  손명수 (경남대학교 식품생명학과) ,  김교남 (경남대학교 식품생명학과) ,  황용일 (경남대학교 식품생명학과) ,  박은주 (경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생체 내에서 발생하는 활성산소종(ROS)은 정상적인 상태에서 체내의 항산화 효소와 물질에 의해서 소거되지만, ROS가 과도하게 생성되면 산화적 스트레스를 유발한다. 천연물을 이용하여 이러한 ROS를 경감시켜 산화적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것은 만성 질병을 예방하고 각종 질병의 합병증을 예방할 수 있는 식이 전략의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화, 영지, 가시오가피, 오미자, 지구자, 구기자, 그리고 산수유를 공통으로 한 혼합 한약재 발효액을 제조하였으며, 조성에 따라 하고초와 쇠비름이 추가된 FHM-A 및 석창포와 산해박이 추가된 FHM-B로 구분하였으며, 혼합 한약재 발효물을 활용하여 차 및 음료 개발에 있어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FHM-A 및 FHM-B의 총페놀 함량을 분석한 결과 FHM-B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총페놀 함량이 나타났다. ORAC value는 FHM-A가 FHM-B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활성을 나타냈고, ROS 생성 억제 활성은 FHM-A와 FHM-B 간에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간세포인 HepG2 세포에서 에탄올로 유도된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발효액 FHM-A 및 FHM-B는 $10{\sim}100{\mu}g/mL$에서 모두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았으며, FHM-A와 FHM-B 모두 에탄올로 유도된 세포독성에 대한 보호 효과를 나타냈다. 또한, FHM-A와 FHM-B 모두 에탄올로 유도된 산화적 스트레스로 인해 증가한 지방축적을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냈다. 신경세포인 PC12 세포에서 $H_2O_2$로 유도된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발효액 FHM-A 및 FHM-B의 분석 결과 $1{\sim}50{\mu}g/mL$에서 FHM-A와 FHM-B 모두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았으며, FHM-A와 FHM-B 모두 농도 의존적으로 $H_2O_2$로 유도된 세포독성에 대한 보호효과를 나타냈다. FHM-B는 항산화제로 잘 알려진 비타민 C와 같은 수준의 높은 세포보호 효과를 확인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발효액 FHM-A와 FHM-B가 간 기능 및 신경 스트레스와 관련된 질병 예방을 위한 식품개발에 있어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fermented herbal mixtures (FHMs) in HepG2 and PC12 cells. Two different types of fermented herbal mixtures consisted of Chrysanthemum morifolium, Ganoderma lucidum, Acanthopanax senticosus, Schisandra chinensis, Hovenia dulcis thumb, and Lycii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4시간 동안 침지시킨 한약재를 증류수로 세척한 후 Table 1과 같이 FHM-A와 FHM-B는 국화, 영지, 가시오가피, 오미자, 지구자, 구기자, 그리고 산수유를 공통으로 포함하였으며, FHM-A는 ursolic acid 등의 생리활성 성분으로 간세포 보호 활성 등의 활성이 보고된 하고초와 쇠비름을 추가로 첨가하였다(12). FHM-B에는 신경세포 보호 활성과 관련하여 항치매 활성이 보고된 석창포와 산해박을 추가로 첨가하여 혼합 한약재 발효물의 차 및 음료 개발에 있어 각 그룹의 특성을 달리하여 평가하고자 하였다(13). 각각의 혼합 한약재 중량에 50%(w/v)의 살균수를 가하여 섞고 1.
  • 유럽식품안전청 EFSA (European Food Safety Authority)와 미국 농무성 USDA(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에서 대표적인 항산화 지표로 ORAC value를 제시하고 있으며, 현재 AAPH를 peroxyl radical generator로 사용하는 ORACROO・ 방법이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 Peroxyl radical의 생성은 특히 지방 산화를 촉진하는 ROS로 잘 알려져 FHM-A와 FHM-B의 peroxyl radical 소거 활성을 ORAC 분석법을 통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혼합 한약재 발효물 FHM-A 및 FHM-B는 10~500 μg/mL의 범위에서 모두 농도 의존적인 peroxyl radical 소거 활성을 나타냈다(Fig.
  • 이미 보고된 다수의 연구에 따르면 천연물을 비롯한 한약재의 항산화 활성은 총페놀 화합물의 함량과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17).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혼합 한약재 발효물 FHM-A와 FHM-B의 총페놀 함량을 알아보기 위하여 Folin-Ciocalteu 실험법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FHM-A의 총페놀 함량은 962.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항산화 활성이 보고된 국화, 영지, 가시오가피, 오미자, 지구자, 구기자, 산수유에 하고초와 쇠비름 그리고 석창포와 산해박을 각각 혼합하여 한약재 발효물을 제조하고 이들 두 가지 혼합 한약재 발효물의 총페놀 함량, 산화적 스트레스 억제 활성, 신경세포 보호 활성 등의 생리활성을 HepG2 및 PC12 세포모델에서 평가하였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차 및 음료의 개발에 있어 혼합 한약재 발효물의 이용 가능성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 천연물을 이용하여 이러한 ROS를 경감시켜 산화적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것은 만성 질병을 예방하고 각종 질병의 합병증을 예방할 수 있는 식이 전략의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화, 영지, 가시오가피, 오미자, 지구자, 구기자, 그리고 산수유를 공통으로 한 혼합 한약재 발효액을 제조하였으며, 조성에 따라 하고초와 쇠비름이 추가된 FHM-A 및 석창포와 산해박이 추가된 FHM-B로 구분하였으며, 혼합 한약재 발효물을 활용하여 차 및 음료 개발에 있어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FHM-A 및 FHM-B의 총페놀 함량을 분석한 결과 FHM-B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총페놀 함량이 나타났다.
  • 이전 연구에서는 호두 추출물이 amyloid β에 의해 유도된 세포사멸 및 산화적 스트레스로부터 보호 효과를 나타내었고, tert-butyl hydroperoxide(tBHP)에 의해 산화적 스트레스가 유도된 PC12 신경세포에서 당귀 추출물이 ROS의 억제를 통해 항산화 활성 및 세포 보호 효과를 나타내었다고 보고하였다(27,28). 이는 H2O2에 의해 유도된 산화적 스트레스를 가지는 PC12 신경세포에서 FHM-A 및 FHM-B 발효물이 항산화적 세포보호 효과를 통한 퇴행성 신경질환 예방을 위한 식품소재로서의 사용 가능성을 제시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활성산소종이 다량으로 발생하여 체내 항산화 방어 체계의 균형이 깨지면 어떤 질병들이 발생하기 쉬운가? 활성산소종은 호기성 대사 동물에서 생명유지에 필수불가결한 요소이지만 대사 과정에서 과량으로 발생한 활성산소종은 에너지를 받아들여 unpaired electron의 회전방향이 변하여 singlet oxygen(1 O2)이 되거나 전자를 받아들여 수퍼옥사이드 라디칼(superoxide radical, ・O2- ), 하이드록실 라디칼(hydroxyl radical, ・OH), 과산화수소(hydrogen peroxide, H2O2), alkoxy radical(RO・), peroxyl radical(ROO・) 등과 같은 반응성이 강한 라디칼을 형성하고 산화적 스트레스를 유발하여 세포 구성성분인 지질, 단백질, 핵산, 당, 그리고 DNA 등의 손상을 유발하며 세포의 정상적인 대사를 저해한다. 이들 활성산소종이 다량으로 발생하여 체내 항산화 방어 체계의 균형이 깨지면 노화, 동맥경화, 그리고 암 등의 다양한 만성질환 발병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왔다(1-3).
대사 과정에서 과량으로 발생한 활성산소종은 에너지나 전자를 받아들여 어떤 형태로 되는가? 생체 내 대사과정에서 호기적 대사의 부산물로써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은 자연적으로 발생한다. 활성산소종은 호기성 대사 동물에서 생명유지에 필수불가결한 요소이지만 대사 과정에서 과량으로 발생한 활성산소종은 에너지를 받아들여 unpaired electron의 회전방향이 변하여 singlet oxygen(1 O2)이 되거나 전자를 받아들여 수퍼옥사이드 라디칼(superoxide radical, ・O2- ), 하이드록실 라디칼(hydroxyl radical, ・OH), 과산화수소(hydrogen peroxide, H2O2), alkoxy radical(RO・), peroxyl radical(ROO・) 등과 같은 반응성이 강한 라디칼을 형성하고 산화적 스트레스를 유발하여 세포 구성성분인 지질, 단백질, 핵산, 당, 그리고 DNA 등의 손상을 유발하며 세포의 정상적인 대사를 저해한다. 이들 활성산소종이 다량으로 발생하여 체내 항산화 방어 체계의 균형이 깨지면 노화, 동맥경화, 그리고 암 등의 다양한 만성질환 발병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왔다(1-3).
생체계의 항산화 시스템 3가지는 무엇인가? 생체계의 항산화 시스템은 크게 3가지로 구분된다. 첫째는 catalase, glutathione peroxidase(Gpx), phospholipid hydroperoxide, peroxidase, superoxide dismutase(SOD) 그리고 glutathione-S-transferase 등 프리라디칼 생성의 억제 시스템이 있으며, 둘째는 비타민 C, 비타민 E, uric acid, bilirubin, flavonoids 등을 통해 생성된 프리라디칼의 소거 시스템 그리고 마지막으로 DNA repair enzymes, transferase 등의 복원(repair) 시스템이다(4). 일반적인 생체계는 프리라디칼의 생성과 소거가 균형 있게 이뤄지지만, 과도 하게 프리라디칼이 생성되었을 경우 생체의 기능과 활성을 잃게 하여 조직의 손상 및 세포사멸을 유도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Song YB, Kwak YS, Park KH, Chang SK. 2002. Effect of total saponin from red ginseng on activities of antioxidant enzymes in pregnant rats. J Ginseng Res 26: 139-144. 

  2. Coyle JT, Puttfarcken P. 1993. Oxidative stress, glutamate, and neurodegenerative disorders. Science 262: 689-695. 

  3. Ricci JE, Waterhouse N, Green DR. 2003. Mitochondrial functions during cell death, a complex (I-V) dilemma. Cell Death Differ 10: 488-492. 

  4. Pokorny J, Yanishlieva N, Gordon MH. 2001. Antioxidants in food: practical application. Woodhead Publishing, Ltd., Cambridge, UK. p 148. 

  5. Larson RA. 1988. The antioxidants of higher plants. Phytochemistry 27: 969-978. 

  6. Ju JC, Shin JH, Lee SJ, Cho HS, Sung NJ. 2006. Antioxidative activity of hot water extracts from medicinal plan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7-14. 

  7. Kim EY, Baik IH, Kim JH, Kim SR, Rhyu MR. 2004. Screening of the antioxidant activity of some medicinal pla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333-338. 

  8. Lee SJ, Shin JH, Kang JR, Hwang CR, Sung NJ. 2012. In vitro evaluation of biological activities of Wa-song (Orostachys japonicus A. Berger) and Korean traditional plants mixture.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 295-301. 

  9. Lee MH, Han MH, Yoon JJ, Song MK, Kim MJ, Hong SH, Choi BT, Kim BW, Hwang HJ, Choi YH. 2014. Medicinal herb extracts attenuate 1-chloro-2,4-dinitrobenzene-induced development of atopic dermatitis-like skin lesions. J Life Sci 24: 851-859. 

  10. Woo JH, Shin SL, Jeong HS, Lee CH. 2010. Antioxidant effect of extracts obtained from three Chrysanthemum speci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631-636. 

  11. Kim DB, Shin GH, Lee JS, Lee OH, Park IJ, Cho JH. 2014. Antioxidant and nitrite scavenging activities of Acanthopanax senticosus extract fermented with different mushroom mycelia. Korean J Food Sci Technol 46: 205-212. 

  12. Jeong GS, An RB, Pae HO, Oh GS, Chung HT, Kim YC. 2008. Heme oxygenase-1 inducing constituent of Prunella vulgaris in HepG2 cells. Biol Pharm Bull 31: 531-533. 

  13. Choi H, Kim SH, Lee DY, Ahn DJ, Kang WH, Lyu YS. 2002. The effects of Rhizoma Acori Graminei water extract in Alzheimer's disease model induced by pCT105. J Orient Neuropsychiatry 13: 173-194. 

  14. Folin O, Denis W. 1912. On phosphotungstic-phosphomolybdic compounds as color reagents. J Biol Chem 12: 239-243. 

  15. Kurihara H, Fukami H, Asami S, Toyoda Y, Nakai M, Shibata H, Yao XS. 2004. Effects of oolong tea on plasma antioxidative capacity in mice loaded with restraint stress assessed using the oxygen radical absorbance capacity (ORAC) assay. Biol Pharm Bull 27: 1093-1098. 

  16. Lautraite S, Bigot-Lasserre D, Bars R, Carmichael N. 2003. Optimisation of cell-based assays for medium throughput screening of oxidative stress. Toxicol In Vitro 17: 207-220. 

  17. Oh CH, Kim GN, Lee SH, Lee JS, Jang HD. 2010. Effects of heat processing time on total phenolic content and antioxidant capacity of ginseng Jung Kwa. J Ginseng Res 34: 198-204. 

  18. Cao G, Alessio HM, Cutler RG. 1993. Oxygen-radical absorbance capacity assay for antioxidants. Free Radic Biol Med 14: 303-311. 

  19. Chen YC, Shen SC, Lee WR, Lin HY, Ko CH, Shih CM, Yang LL. 2002. Wogonin and fisetin induction of apoptosis through activation of caspase 3 cascade and alternative expression of p21 protein in hepatocellular carcinoma cells SK-HEP-1. Arch Toxicol 76: 351-359. 

  20. Khan N, Afaq F, Syed DN, Mukhtar H. 2008. Fisetin, a novel dietary flavonoid, causes apoptosis and cell cycle arrest in human prostate cancer LNCaP cells. Carcinogenesis 29: 1049-1056. 

  21. Alia M, Mateos R, Ramos S, Lecumberri E, Bravo L, Goya L. 2006. Influence of quercetin and rutin on growth and antioxidant defense system of a human hepatoma cell line (HepG2). Eur J Nutr 45: 19-28. 

  22. Park MJ, Han JS. 2013. Protective effects of the fermented Laminaria japonica extract on oxidative damage in LLCPK1 cells. Prev Nutr Food Sci 18: 227-233. 

  23. Lee YA, Kim HY, Cho EJ. 2005. Comparison of methanol extracts from vegetables on antioxidative effect under in vitro and cell system.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1151-1156. 

  24. Li H, Min Q, Ouyang C, Lee J, He C, Zou MH, Xie Z. 2014. AMPK activation prevents excess nutrient-induced hepatic lipid accumulation by inhibiting mTORC1 signaling and endoplasmic reticulum stress response. Biochim Biophys Acta 1842: 1844-1854. 

  25. Wan Y, Liu LY, Hong ZF, Peng J. 2014. Ethanol extract of Cirsium japonicum attenuates hepatic lipid accumulation via AMPK activation in human HepG2 cells. Exp Ther Med 8: 79-84. 

  26. Jeong HR, Choi GN, Kim JH, Kwak JH, Kim YS, Jeong CH, Kim DO, Heo HJ. 2010. Nutritional components and their antioxidative protection of neuronal cells of litchi (Litchi chinensis Sonn.) fruit pericarp. Korean J Food Sci Technol 42: 481-487. 

  27. Muthaiyah B, Essa MM, Chauhan V, Chauhan A. 2011. Protective effects of walnut extract against amyloid beta peptide-induced cell death and oxidative stress in PC12 cells. Neurochem Res 36: 2096-2103. 

  28. Lee PSC, Yan AL, Gong AGW, Choi RCY, Lin HQ, Tsim KWK. 2015. The water extract of Angelica Sinensis Radix protects cultured PC12 cells against oxidative stress: Suppress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and activation of antioxidant response elements. Oxid Antioxid Med Sci 4: 39-4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