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남북한 가정생활교육 관련용어 비교분석 - 아동·가족분야를 중심으로 -
Comparis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n Terminologies in Child and Family Domains of Family Life Education 원문보기

韓國 家政科敎育學會誌 =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v.28 no.2, 2016년, pp.61 - 78  

임정하 (고려대학교 가정교육과) ,  정순화 (고려대학교 가정교육과) ,  송지은 (고려대학교 대학원 생활과학과)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남북한 가정생활분야 관련용어 가운데 아동 가족분야의 용어를 비교 고찰함으로써 통일 이후 가정생활교육의 효율성을 도모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남북한 용어비교를 위한 자료 수집은 북한 용어 사전, 통일부 및 정부기관 발행보고서와 관련 웹사이트, 북한의 가정생활을 주제로 한 단행본을 활용하였고, 수집된 용어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고등학교 기술 가정 교과 내용체계 가운데 '인간발달과 가족'영역을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발달영역용어가 관계영역용어보다 큰 차이를 보였으며, 발달영역 중에서는 '사랑과 결혼' '임신 중 생활과 출산'에서, 관계영역 중에서는 '자녀 돌보기'에서 큰 차이를 보였다. 둘째, 남북한 용어에서 차이를 보이는 주요 내용은 호칭관련, 혼례관련, 임신관련, 출산관련, 자녀돌봄관련 내용이었다. 셋째, 남북한 용어 차이의 주요 양상은 상이한 남북한 사회체제로 인한 차이, 말다듬기로 인한 차이, 표기법으로 인한 차이가 주를 이루었다. 본 연구는 남북한 아동 가족분야 용어 비교를 통해 통일 이후 가정생활교육의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terminologies used in child and family domains of family life education in South and North Korea. The terminologies relevant to child and family domains in North Korea were selected from various sources including dictionaries that are deve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북한에는 가정과 교과서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남북한의 교과서를 대비시켜 비교할 수 없었다는 점은 본 연구의 한계로 볼 수 있다. 그러나 관련 북한문헌을 포괄적으로 고찰함으로써 이러한 한계점을 보완하고자 노력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금까지 가정과 용어비교 연구를 찾아보기 어려운 상황에서 아동 가족분야 남북한 용어를 비교분석함으로써 통일 이후 가정 생활교육 및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 그러나 관련 북한문헌을 포괄적으로 고찰함으로써 이러한 한계점을 보완하고자 노력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금까지 가정과 용어비교 연구를 찾아보기 어려운 상황에서 아동 가족분야 남북한 용어를 비교분석함으로써 통일 이후 가정 생활교육 및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고등학교 기술 가정 교과 내용체계 가운데 ‘인간발달과 가족’영역을 기준으로 남북한 용어를 비교하고자 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고등학교 기술 가정교과 내용체계 가운데 ‘인간발달과 가족’영역을 기준으로 남북한 용어를 비교함으로써 통일 이후 가정생활교육 및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시하는 것이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고등학교 기술 가정 교과 내용체계 가운데 ‘인간발달과 가족’영역을 기준으로 남북한 용어를 비교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앞으로 통일세대 주역으로 성장하게 될 청소년들을 위한 통일대비 가정생활교육및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1. 가정생활교육 아동가족분야의 남북한 용어는 차이를 보이는가?
  • 2. 가정생활교육 아동가족분야의 남북한 용어 차이의 주요 내용은 무엇인가?
  • 3. 가정생활교육 아동가족분야의 남북한 용어 차이의 주요 양상은 어떠한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남한에서 사용되는 표준어는 어떠한 규정을 따르고 있는가? 또한 남한에서는 표준어를, 북한에서는 문화어를 사용함으로써 나타난 표기법의 차이도 남북한 언어 이질화의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남한에서 사용되는 표준어는 “표준어는 교양 있는 사람들이 두루 쓰는 현대 서울말로 정함을 원칙으로 한다.”라는 1988년 정부에서 발표한 규정을 따르고 있다. 그러나 북한에서는 1964년과 1966년 두 차례의 김일성 교시를 통해 북한의 언어정책이 제시되었으며, 특히 1966년 김일성 교시에서 표준어라는 명칭은 서울말을 표준으로 하는 것으로 잘못 이해할 수 있으므로 북한의 표준어로 ‘문화어’라는 명칭을 사용하도록 하고, 문화어는 사회주의 민족어의 전형으로서 혁명의 수도 평양말을 기준으로 하여 인민의 혁명적 지향과 생활감정에 맞게 문화적으로 가꾸어진 조선 민족어의 본보기라고 정의하였다.
문화적 상징으로서 언어가 가지는 특징은 무엇인가? 통일 이후 사회통합을 도모하기 위한 다각적 접근 가운데 많은 연구자들은 남북한의 문화적 이질감을 해소하기 위해 가장 먼저 연구되어야 하는 분야 중 하나가 바로 언어의 차이라는 점에 의견의 일치를 보이고 있다. 문화적 상징으로서 언어는 특정 문화를 이해하는 데 있어서 가장 기본적인 도구이다. 문화는 언어라는 상징을 이용하는 규칙뿐 아니라 그 상징과 관련된 의미를 가르쳐준다는 점에서 언어 사용 방식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Samovar & Porter, 2007).
언어의 이질화를 유발하는 것들에 대한 일련의 조치에도 불구하고 지적할 수 있는 사항은 무엇인가? 언어 이질화를 유발하는 이러한 일련의 조치에도 불구하고 실제로 남북한 모두에서 한자사용이 폐지되고 한글전용이 실시되었으며, 이에 따라 세로쓰기가 가로쓰기로 바뀌면서 그나마 남북의 언어생활에는 큰 차이가 없다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다. 그러나 실증적인 연구결과들은 남북한 언어 이질화의 양상을 뚜렷이 보여주고 있고, 남북한 언어의 차이는 언어가 의사소통의 기본적인 수단이라는 점에서 통일 이후 통합의 걸림돌로 작용할 수 있음을 지적하고 있다. 한국어 분석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남북한 방송극의 언어문화구조의 차이를 분석한 연구(Park & Lee, 2011)에서도 언어학적 변인과 내용어 변인에서 남북 간 언어 차이가 드러났고, 북한이탈주민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도 북한이탈주민들은 한국에 와서 어휘, 발음의 차이로 인해 의사소통의 어려움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Yang, 2012), 북한이탈주민들을 대상으로 한 또 다른 연구에서도 북한이탈주민들은 남한의 의식주 생활, 쇼핑, 교통수단, 통신기기 등 일상생활과 관련된 용어에 대한 의사소통의 어려움과 함께 각 교과목별 교과서에 수록되어 있는 남북한 용어의 차이로 인해 학습능력이 저하되는 등 어려움을 경험한다(Kwon, 2013)고 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1)

  1. Chang K-H (2001). A study on the comparison of the art terms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한국고등직업교육학회논문집, 2(3), 393-404. 

  2. Chi S-A & Kim S-J (1999). A study o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South.North Korea in preparation for reunification. Korean Journal of Comparative Education, 9(1), 1-23. 

  3. Cho J-S (2007). 남북한말 비교사전. Hanibook. 

  4. Cho S-R (2003). 북한용어소사전. Seoul: Yonhap News. 

  5. Choi K-H, Kim S-O, & Jang Y-U (2005). A comparison of IT vocabulary of ICT education of South and North Korea. Paper presented at the meeting of Korean Language Information Science Society, 103-108. 

  6. Choi Y-G (2007). Language difference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and the way to recover the linguistic identification. Korean Studies, 10, 199-228. 

  7. Choi Y-H, Lee M-H, Lim Y-J, Kim S-A, Yoo T-M, Jeon H-J,. . . Seong E-J (2014). 고등학교 기술.가정. 서울: (주)천재교과서. 

  8. Choi Y-S, Yang M-H, Lee C-K, & Im H-Y (2015). A critical examination of the studies on linguistic unification of the two Koreas. Journal of Multi-Cultural Contents Studies 18, 395-426. 

  9. Chung C-H (2009). 사진으로 보는 북녘생활문화2: 탁아소와 유치원 생활. Minjog21, 95(2), 136-141. 

  10. Chung M-K & Hwang H-K (2007). A study on strategies for unification education in clothing & textiles area of practical arts of elementary school(I).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20(4), 145-170. 

  11. Chung M-K & Kim Y-J (2008). A study on strategies for unification education in dietary life and housing area of practical arts of elementary school(III).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21(2), 157-177. 

  12. Chung M-K (2008). A study on strategies for unification education in family & consumer life area of practical arts of elementary school(II).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21(1), 129-152. 

  13. Chung S-H & Lim J-H (2014). A comparison of the Korean family values between the North and the South. The Korean Journal of the Human Development, 21(4), 97-127. 

  14. Do H-Y (1999). A comparative study on family consciousness of the South and North Korean residents. 북한연구학회보, 3(2), 83-96. 

  15. Gil B-M & Lee J-G (2000). 남북한 수학 교과서 내용 비교 연구I: 초등학교 6학년 과정을 중심으로.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3(2). 47-58. 

  16. Han G-S, Kim S-Y, & Kim S-K (2003). 산부인과학실습지도서. Pyongyang Medical College. 

  17. Han M-K, Kim T-Y, Park K-Y, Kim, B-S, & Lee J-J (2007). Comparison of neonatal medical terminology betwee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Korean Journal of Perinatology, 18(2), 119-124. 

  18. Heo S-K (2010). The study on practical experiences of parents from North Korea regarding their children's education: Focusing on the different educational system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Un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North Korean Studies, Seoul, Korea. 

  19. Hong Y-P (2007). The direction of dictionary compilation in Gyeoremal keunsajeon(Unabridged and unified Korean dictionary). 한국사전학, 9, 23-52. 

  20. Huh S (1995). Comparison of the parasitological terminology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아시아문화, 11, 203-212. 

  21. Institute for Unification Education (2011). 북한 여성의 일상생활. Institute for Unification Education. 

  22. Institute of North Korea Studies (2012). 월간북한 5. 북한연구소. 

  23. Jang H-G (2004). A comparative analysis studyon secondary math curriculum and textbooks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eimyung University. 

  24. Jeon H-H (2011). A study on the preparation for the 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reflected on the German unification.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Peace and Security Studies, Sangji University. 

  25. Kang B-S (2011). The critical study on North Korean vocabulary of Korean language textbooks-focusing on the 8th grade Korean language textbook developed according to the revised curriculum in 2007. Korean Language Education Research, 42, 215-240. 

  26. Kang D-S (2008). 남북한 도로교통 용어 비교. Transportation Technology and Policy, 5(2), 149-150. 

  27. Kang J-H (2010). Children's rights to food and health, the rights to protection, and the rights to education in North Korea kindergarten. Journal of Korean Council for Children and Rights. 14(4), 487-507. 

  28. Kim H-J (2006). A comparative study of South and North Korea's secondary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for the unification-Focusing the mathematical terms.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Changwon National University. 

  29. Kim H-J (2013). Heterogeneity between South Korean and North Korean language and the pedagogical methods to overcome-Pragmatic analysis of advertisement and news. Korean Language Research, 33, 137-163. 

  30. Kim J-L & Choe G-S (2003). Comparison of geological terminology used in South and North Korea.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4(8), 691-703. 

  31. Kim J-W (2003). The comparative study of geography textbooks of secondary and high school in South and North Korea.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9(2), 153-168. 

  32. Kim K-S (1995). Comparative study on the pre-school education in South and North Korea.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ngsil University, Seoul, Korea. 

  33. Kim K-S (2009). The actual state and unification plan of South and North Korean biological terms. The Journal of Human Studies, 24, 79-107. 

  34. Kim M-J (2010). 조선녀성에 나타난 북한의 가족담론 분석.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35. Kim S-C & Kim K-H (2009). The lexical differences of the terminology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n pedagogical field: Based on the textbooks of nine subjects. Linguistics, 55, 27-59. 

  36. Kim S-J (2002). Focusing upon the news of the summit conference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in June 15, 2000: A study on the comparison about the nonverbal communication of the broadcasting news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화법연구, 4, 147-181. 

  37. Koo S-H (2010). Comparative study of the geography education contents in North and South Korean elementary school : On the basis of textbook comparative analysis.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Gyeongi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38. Korea Institute for National Unification (2001). 남북한 여성 생활문화 비교 연구. Korea Institute for National Unification. 

  39. Korea Institute for National Unification (2003). 북한주민의 일상생활과 대중문화. Korea Institute for National Unification. 

  40. Kwak M-R (2006). 남북한 음악 용어의 비교 분석 : 중등학교 교과서를 중심으로.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yungHee University. 

  41. Kwon S-H (2013). 북한이탈주민을 위한 필수 생활 어휘 자료집.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42. Lee H-B (1995). 남.북한 언어학 및 음성학 분야 학술 용어의 비교연구. 한글학회, 133-150. 

  43. Lee H-S (2005). Comparative study on the chemistry textbooks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and preservice science teachers' understanding on chemistry terminologies.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Chosun University. 

  44. Lee J-S (2009). Comparison of statistics terminology betwee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Paper presented at the meeting of the Korean Society for Quality Management, 99-102. 

  45. Lee K-C, Lee K-Y, Lee E-Y, Lee S-H, Kim D-N, Park Y-S, & Choi, Y-S (2001). 북한의 가정생활문화.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46. Lee K-M (2001). A comparative study on oriental medicine terminology of North and South Korea. Paper presented at the meeting of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11-16. 

  47. Lee S-Y & Jeong O-R (2006). A study on the vocabularies in Korean textbook of the first grade of junior high school in North Korea. The Academy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74, 193-223. 

  48. Lee S-Y (2007). A study on the vocabulary distribution of Korean textbooks for grade one students of middle schools in South and North Korea. The Academy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77, 553-582. 

  49. Lee Y-J, Seo M-H, Kim S-H, & Park Y-J (2011). A study on child-care in North Korea for preparation of unification(Research Report, 2011-19). Seoul: Korean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 

  50. Lee Y-S (2012). Comparative analysis of the terms in biology textbook between South Korea vs North Korea : Focusing on higher organism 6.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51. Lim J-H & Chung S-H (2015). The value of children in South and North Korea.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33(6), 77-95. 

  52. Lim J-T (1996). Study on the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in South and North Korea. The Journal of Future Early Childhood Education, 2(1), 97-126. 

  53. MBC (2013). 통일전망대 [television broadcast]. Available from http://www.imbc.com/broad/tv/culture/unity/ 

  54.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2013). A study on the consciousness and values of Korean. Seoul: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55. Ministry of Education (2015). 실과(기술.가정)/정보과 교육과정. Notification no. 2015-74 of Ministry of Education. Retrieved from http://ncic.go.kr/mobile.dwn.ogf.inventoryList.do. 

  56. Ministry of Unification (n.d.a). 남북한 언어비교. Retrieved from http://nkinfo.unikorea.go.kr/nkp/term/skNkLangCompare.do 

  57. Ministry of Unification (n.d.b). 북한 용어사전. Retrieved from http://nkinfo.unikorea.go.kr/nkp/term/termDicaryList.do. 

  58. Park J-M & Lee C-H (2011). Differences of language styles in South and North Korea's broadcasting drama analyzed by K(Korean)-LIWC. Broadcasting & Communication, 12(3), 5-30. 

  59. Park K-S, Lee K-H, & Yim, J-H (2004). A comparative study of the way of introducing fractions in mathematics textbooks of South and North Korea, Th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14(4), 367-385. 

  60. Park S-G & Kwon P-R (2003). A contrastive study on the South and North Korean languages : Focused on pronunciation and vocabulary. 국어문학, 38, 29-52. 

  61. Park S-G (2004). A contrastive study on the South and North Korean languages II: Focused on narrative skills, speech and broadcasting speech. 국어문학, 39, 117-141. 

  62. Samovar, L., & Porter, R. (2007). Communication between cultures. H-S Chung, S-H Kim, & Y-H Choi(Trans.). Communication Books. 

  63. Seong Y-H & Kim S-J (2001). A comparative study on the day care systems for childre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hild Welfare, 12, 108-133. 

  64. Shin S-H (1998). 남북한 언어의 이질화 현상과 동질성 회복 방안. 사림어문연구, 11, 5-24. 

  65. Statistics Korea (n.d.). 북한통계용어. Retrieved from http://kosis.kr/bukhan/statsWord/statsWord_01List.jsp 

  66. Wang H-S (1990). Aspect of kinship terms in North Korea. Journal of Korean Linguistics, 20, 168-202. 

  67. Yang O-S (1996). A comparison of child care service in South and North Korea. Korean Journal of Child Care and Education, 5, 93-112. 

  68. Yang S-K (2012). Linguistic Accommodation of North Korean Refugees.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69. Yim J-H (2003). A study on the teaching "approximate value" in secondary school: Focused on the comparison of mathematics textbooks of South and North Korea. Th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13(1), 77-94. 

  70. Yoon M-W (2000). 남.북한 음악용어의 비교. 한국전통음악학, 341-363. 

  71. 조선민주녀성동맹 (전호, 1980-2013). 조선녀성. 조선민주녀성동맹 근로단체출판사.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