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역별 산딸기 열매의 유용물질 함량, 항산화 활성 및 암세포 성장억제 효능 분석
Bioactive Component Analysis, Antioxidant Activity, and Cytotoxicity on Cancer Cells on Rubus crataegifolius Clones by Region 원문보기

韓國林學會誌 =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v.105 no.2, 2016년, pp.193 - 201  

최은영 (대구한의대학교 화장품약리학과) ,  김은희 (대구한의대학교 화장품약리학과) ,  이재봉 (대구한의대학교 화장품약리학과) ,  김혜수 (국립산림과학원 특용자원연구과) ,  김문섭 (국립산림과학원 특용자원연구과) ,  이수광 (국립산림과학원 특용자원연구과) ,  김세현 (국립산림과학원 특용자원연구과) ,  이욱 (국립산림과학원 특용자원연구과) ,  김동권 ((주)다이텍 신상품개발센터) ,  이진태 (대구한의대학교 화장품약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산딸기 열매의 지역별(장성, 화성, 울산, 순창, 포항) 영양성분, 항산화 활성 및 암세포 성장억제 효능 분석을 통하여 기능성을 갖는 산딸기 품종을 육성하고자 수행하였다. 모든 지역의 산딸기 열매에서 일반성분은 탄수화물 함량이 높게 나타났으며, 무기성분은 칼슘($996.6{\mu}g/g{\pm}0.8%$)이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나트륨($6.2{\mu}g/g{\pm}1.0%$)은 가장 낮았다. 유리아미노산은 총 26종, 구성아미노산은 총 18종을 분석하였다. 전자공여능 실험 결과 울산 산딸기가 $500{\mu}g/ml$의 농도에서 열수추출물은 80%, 에탄올추출물은 82.6%의 높은 소거능을 보였다. 또한 암세포 성장억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세포독성 실험 결과, B16F10 cell은 울산 산딸기 열수추출물과 포항 산딸기 에탄올추출물, H1299 cell은 순창 산딸기 열수추출물과 포항 산딸기 에탄올추출물 그리고 MCF-7 cell은 장성 산딸기 열수추출물과 순창 산딸기 에탄올추출물에서 각각 세포독성이 나타났다. 따라서 이와 같은 기초자료를 바탕으로 기능성 특성을 지닌 산딸기를 선발하여 기능성 품종으로의 개발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nalyze the nutritional composition, bioactive components, antioxidant activity, and cytotoxic assay of cancer cells on Rubus crataegifolius (RC) : R. crataegifolius from Jangseong (RC-J), R. crataegifolius from Hwaseong (RC-H), R. crataegifolius from Ulsan (RC-U), R. 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이러한 다양한 연구에도 불구하고, 국내에서 재배된 산지별 산딸기에 대한 기초자료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장성, 화성, 울산, 순창 및 포항에서 수집하여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유전자 원부 산딸기 클론보존원에서 재배되어 수확된 산딸기 열매에 대한 영양적 가치를 조사하고, 항산화 활성과 암세포 성장억제 효과를 살펴봄으로써 유용물질 함량과 기능성 효능을 갖는 산딸기 신품종을 육성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산딸기란? 산딸기(Rubus crataegifolius BUNGE.)는 장미과(Rosaceae) 산딸기속(Rubus)에 속하는 낙엽활엽관목으로 전국 각지 산야에서 높이 2 m로 자라며, 열매는 둥글고 6~7월에 붉게 익는다(Lee, 2006). 분포지는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중국, 러시아 및 일본이며 공통적으로 열매를 식용한다.
산딸기에 함유된 사포닌의 효능은? 한방에는 눈을 밝게 하고 몸을 경쾌하게 하며 머리털을 희지 않게 하며 소변을 바르게 하는 동시에 살결을 부드럽고 아름답게 해준다고 기록되어 있다(Ahn, 1998). 특히 산딸기에 함유되어 있는 탄닌 성분은 항암 효과가 있어 암을 예방하고 사포닌은 거담, 진해, 콜레스테롤 대사를 촉진하여 감기, 열성 질병, 폐렴, 기침 등에도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중국에서는 산딸기 뿌리를 도생근(倒生根)이라고 하여 활혈(活血), 지혈, 조혈, 불임증, 월경불순 등에 이용하고 있다(Kwon et al.
산딸기의 효능에 대해 한방에서 기록한 내용은? 산딸기와 유사한 복분자(Rubus coreanus)와는 영양학적 측면에서 다소 차이가 있다(National Rural Living Science Institute, 2001). 한방에는 눈을 밝게 하고 몸을 경쾌하게 하며 머리털을 희지 않게 하며 소변을 바르게 하는 동시에 살결을 부드럽고 아름답게 해준다고 기록되어 있다(Ahn, 1998). 특히 산딸기에 함유되어 있는 탄닌 성분은 항암 효과가 있어 암을 예방하고 사포닌은 거담, 진해, 콜레스테롤 대사를 촉진하여 감기, 열성 질병, 폐렴, 기침 등에도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Ahn, D.K. 1998. Ilustrated Book of Korea Medicinal Herbs. Kyohak Publishing Co., Ltd., Seoul, Korea. pp. 946-947. 

  2. AOAC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198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4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3. Ban, S.E., Jin, S.W., Choi, B.S., Kim, Y.S, Kim, J.K., Hwang, G.B., Seo, I.S., Koh, Y.W., and Seo, K.S. 2013. Biological active and physicochemical components of Rubus coreanus Miquel fruits.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5: 151. 

  4.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0. 

  5. Cha, H.S., Lee, M.K., Hwang, J.B., Park, M.S., and Park, K.M. 2001.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Rubus coreanus Miquel.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30(6): 1021-1025. 

  6. Cha, H.S., Youn, A.R., Park, P.J., Choi, H.R., and Kim, B.S. 2007. Comparison of physiological activities of Rubus coreanus Miquel during Maturatio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36(6): 683-688. 

  7. Choi, J.W. Yoo, Y.M., Kim, M.Y., Nam, J.H., Nugroho, A., and Park, H.J. 2008. Anti-hyperlipidemic and anti-hyperlipidemic effects of the triterpenoid-rich fractions from Rubus coreanus and Rubus crataegifolius and their main component, niga-ichi-goside F1,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Natural Product Sciences 14: 260-264. 

  8. Francis, F.J. 1989. Food colorants : Anthocyanins. Critical Reviews in Food Science and Nutrition 28: 273-314. 

  9. Giusti, M.M. and Wrolstad, R.E. 2001. Characterization and measurement of anthocyanins by UV-visible spectroscopy. In Current Procotols in Food Analytical Chemistry. Wrolstad RE, ed. John Wiley & Sons, New York. p F1.2.1-F1.2.13. 

  10. Gross, J. and Lapiere, C.M. 1962. Collagenolytic activity in amphibian tissues: a tissue culture assay.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54: 1197-1204. 

  11. Heo, J.C., Park, J.Y., An, S.,M., Lee, J.M., Yun, C.Y., Shin, H.M,, Kwon, T.K., and Lee, S.H. 2006. Antioxidant and antitumor activities of crude extracts by Gastrodia elata Blume.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13(1): 3-7. 

  12. Jeong, C.H., Jang, C.W., Lee, K.Y., Kim, I.H., and Shim, K.H. 2012. Nutritional compon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Boysenberr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41(4): 450-455. 

  13. Jung, H.N., Lee, H.J., Cho H.N., and Hwang, K.T. 2012. Antioxidant and anti-proliferative activities of Rubus fruits in ko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41(12): 1649-1655. 

  14. Kim, K.J., Kim, S.J., Ban, S.E., Jin, S.W., Choi, B.S., Kim, Y.S., Kim, J.K., Hwang, G.B., Seo, I.H., Koh, Y.W., and Seo, K.S. 2013. Biological active and physicochemical components of Rubus coreanus Miquel Fruits.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5: 151. 

  15. Kim, H.Y., Kim, I.H., and Nam, T.J. 2009. Effects of Capsosiphon fulvescens extracts amino acids absorption in rats. Journal of Life Science 19(11): 1591-1597. 

  16. Kim, J.M. and Shin, M.S. 2011. Characteristics of Rubus coreanus Miq. fruits at different ripening stages.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43(3): 341-347. 

  17. Kim, J.S. 2005. Cancer chemoprevention and NSAID-activated gene (NAG-1). Biochemistry and Molecular Biology News 25: 286-291. 

  18. Kwon, K.H., Cha, W.S., Kim, D.C., and Shin, H.J. 2006. A research and application of active ingredients in bokbunja (Rubus coreanus Miquel). Korean Journal of Biotechnology and Bioengineering 21: 405-409. 

  19. Lee, C.B. 2006. Korea illustrated plant book I. Hyangmoonsa, Seoul, Korea. pp. 532. (in Korean) 

  20. Lee, H.H., Moon, Y.S., Yun, H.K., Park, P.J., and Kwak, E.J. 2014. Contents of bioactive constitu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cultivated and wild raspberries. Korean Journal of Hort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32(1): 115-122. 

  21. Lee, S.W., Yoon, S.R., Kim, G.R., Kyung, H.K., Jeong, Y.J., Yeo, W.H., and Kwon, J.H. 2011. Effect of Nuruks and crude amylolytic enzyme on free amino acid and Volatile components of Brown Rice Vinegar prepared by static culture.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43(5): 570-576. 

  22. Lee, Y.C., Lee, J.H., Kim, S.D., Chang, M.S., Jo, I.S., Kim, S.J., Hwang, K.T., Jo, H.B., and Kim, J.H. 2015. Chemical composition, functional constitu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berry fruits produced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44(9): 1295-1303. 

  23. Lee, Y.J. and Kwak, E.J. 2012.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functional materials of raspberry in cultivar. Journal of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11: 129. 

  24. Mosmann, T. 1983. Application to proliferation and cytotoxicity assay. Journal of Immunological Methods 65: 5-63. 

  25. National Rural Living Science Institute, 2001. Food composition table. 6th ed.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epublic of Korea. 

  26. Orlowski, M.G., Sessa, J.P., and Green, J.P. 1974. Glutamyl transpeptidase in brain capilaries : Possible site of a blood brain barrier for amino acid. Science 184: 66-68. 

  27. Statistics Korea. 2012. 2011 Cause of Death Statistics. Daejeon, Korea. 9-10. 

  28. Suthanthangjai, W., Kajda, P., and Zabetakis, I. 2005. The effect of high hydrostatic pressure on the anthocyanins of raspberry (Rubus idaeus). Food Chemistry 90: 193-197. 

  29. Weinberg R.A. 2007. The biology of cancer. Garland Science, New York, NY, USA. 588-597. 

  30.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2. World Health Statistics 2012. World Health Organization, Geneva, Switzerland. pp. 80-81. 

  31. Youn, S.J., Cho, J.G., Choi, U.K, and Kwoen, D.J. 2007. Change of biological activity of strawberry by frozen storage and extraction method. Journal of Life Science 17(12): 1734-1738. 

  32. Yang, J.W., Jung, S.K., Song, K.M., Kim, Y.H., Lee, N.H., Hong, S.P., Lee, K.H., and Kim, Y.E. 2015. Quality characteristics of Sikhye made with berries. Journal of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25(6): 1007-101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