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과 미국 초등학교 3학년 학생들의 자연수 덧셈과 뺄셈 문제해결 분석
An Analysis on the Problem Solving of Korean and American 3rd Grade Students in the Addition and Subtraction with Natural Numbers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 Series C : Education of primary school mathematics, v.19 no.3, 2016년, pp.177 - 191  

이대현 (광주교육대학교)

초록

자연수의 덧셈과 뺄셈은 학교수학을 해 나가는데 기본기능이며, 학생들은 다양하고 효율적인 전략을 활용하여 덧셈과 뺄셈 문제를 해결할 수 있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교육 환경과 문화가 다른 한국과 미국 초등학교 3학년 학생들이 자연수 덧셈과 뺄셈 문제해결에서 어떤 차이를 나타내는가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덧셈과 뺄셈 수식문제와 문장제 모두에서 한국 학생들의 정답률이 높았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또한 학생들이 문제해결에 이용한 방법 면에서도 차이가 나타났다. 합병과 구잔 상황의 문장제 해결 방법의 수에서도 한국학생들이 통계적으로 유의미 결과를 나타냈는데, 이것은 두 나라 학생들이 계산 학습에서 익히고 활용하는 방법의 차이와 각 나라의 계산 수업에서 강조점 및 교실 수업 문화를 반영한다고 볼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tudents can calculate the addition and subtraction problem using informal knowledge before receiving the formal instruction. Recently, the value that a computation lesson focus on the understanding and developing the various strategies is highlighted by curriculum developers as well as in report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한국과 미국 초등학교 3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연구 목적에 맞게 본 연구에서 제작한 검사 도구를 활용하여 조사연구를 실시하였다. 새 학년도의 시작 시점이 다른 두 나라의 특징을 고려하여 두나라 학생들 모두 3학년 과정으로 진급한지 한 달 정도 지난 후에 본 검사에 참여하도록 하였다.
  • 마지막 단계에서는 학생들이 해결한 검사 도구를 이용하여 학생들의 문제해결 과정을 분석하였다. 이 과정에서는 학생들이 덧셈과 뺄셈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보이는 문제해결의 정도와 방법에서 유사성과 차이점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학교교육에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 이 절에서는 자연수 영역에서 한국과 미국 초등학교 3학년 학생들의 덧셈과 뺄셈 문제에 대한 해결 정도를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몇 가지 논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덧셈과 뺄셈 수식 문제에 대한 두 나라 학생들의 정답률에서 모두 한국 학생들의 정답률이 높았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 이 절에서는 자연수 영역에서 한국과 미국 초등학교 3학년 학생들의 덧셈식과 뺄셈식 문제에 대한 해결 정도를 분석하였다. 수식 문제의 분석에서는 덧셈식과 뺄셈식의 각 2문제에 대하여 정답은 1점씩, 오답은 0점으로 처리한 정답률과 두 나라 학생들 사이에 평균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교육 문화와 환경이 다른 한국과 미국의 초등학교 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덧셈과 뺄셈 수식 문제와 문장제에 대하여 정답률에 기반을 둔 문제해결 능력과 문제해결 방법을 분석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하여 두 나라 학생들 간의 덧셈과 뺄셈 문제에 대한 해결 능력뿐만이 아니라, 수식에 대한 해결 능력과 문장제에 대한 해결 능력간의 관계를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과 미국의 초등학교 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덧셈과 뺄셈 문제에 대한 문제해결력과 방법을 비교ㆍ분석해 보았다. 연구대상으로 한국의 초등학교 3학년 학생 100명과 미국의 초등학교 3학년 학생 68명이 참여하였고, 본 연구에서 제작한 검사 도구를 이용하여 조사연구를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문제해결 측면에서 계산은 어떻게 계산되어야 하는가? 계산 교육에서 중요한 것은 단순히 결과를 산출하는 것을 넘어서, 문제해결을 위한 하나의 과정으로 인식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문제해결 측면에서 계산은 기본 셈의 숙달을 통해 논리적으로 계산을 할 수 있어야 한다. 학생들은 다양하고 효율적인 계산 전략들을 배우고 익히지 않고서는 이를 활용할 가능성은 적다.
계산 교육에서 중요한 것은 무엇인가? 계산 교육에서 중요한 것은 단순히 결과를 산출하는 것을 넘어서, 문제해결을 위한 하나의 과정으로 인식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문제해결 측면에서 계산은 기본 셈의 숙달을 통해 논리적으로 계산을 할 수 있어야 한다.
한국과 미국 초등학교 3학년 학생들이 자연수 덧셈과 뺄셈 문제해결에서 어떤 차이를 나타내는가를 분석한 결과는 어떠한가? 본 연구에서는 교육 환경과 문화가 다른 한국과 미국 초등학교 3학년 학생들이 자연수 덧셈과 뺄셈 문제해결에서 어떤 차이를 나타내는가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덧셈과 뺄셈 수식문제와 문장제 모두에서 한국 학생들의 정답률이 높았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또한 학생들이 문제해결에 이용한 방법 면에서도 차이가 나타났다. 합병과 구잔 상황의 문장제 해결 방법의 수에서도 한국학생들이 통계적으로 유의미 결과를 나타냈는데, 이것은 두 나라 학생들이 계산 학습에서 익히고 활용하는 방법의 차이와 각 나라의 계산 수업에서 강조점 및 교실 수업 문화를 반영한다고 볼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교육과학기술부 (2011).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11). Mathematics Curriculum. Seoul: The Author.) 

  2. 교육부 (2015).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별책 8].(The ministry of Education (2015). Mathematics Curriculum. The ministry of Education Notification No, 2015-74호[Separate Volume 8]) 

  3. 김민경 (2004). 현실적인 문장제에 대한 초등학생의 반응 분석. 학교수학, 6(2), 135-151.(Kim, M. K. (2004). An Analysis on the Elementary Students' Response about the Realistic Word Problem. School Mathematics, 6(2), 135-151.) 

  4. 김진숙 (1998). 초등학교 수학교과서 문장제에 대한 문제해결 관점에서의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 논문.(Kim, J. S. (1998). A study on the problem solving perspective about word problem in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textbook. Doctoral dissertation in Ihwa woman university.) 

  5. 박지현.김수진 (2015). 수학 인지적 속성에 따른 TIMSS 2011 8학년 성취도 상위권 특성 비교. 수학교육학연구, 25(3), 303-321.(Park, J. H., Kim, S. J. (2015). The Comparison of Higher Level Character of TIMSS 2011 8th Grad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25(3), 303-321.) 

  6. 이대현 (2016). 한국과 미국 초등학생들의 직관적 사고에 의한 수학 문제해결 분석.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 55(1), 21-39.(Lee, D. H. (2016). An Analysis on the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via Intuitive Thinking of Korean and Americ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 Series A, 55(1), 21-39.) 

  7. 정소윤.이대현 (2016). 초등학교 2.3학년 학생들의 자연수의 덧셈과 뺄셈에 대한 문제해결 능력 분석.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C , 19(2), 127-142.(Jeong, S. Y., Lee, D, H. (2016). An Analysis on the Elementary 2nd.3th Students' Problem Solving Ability in Addition and Subtraction Problems with Natural Numbers.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19(2), 127-142.) 

  8. Baroody, A. J. (1987). Children's Mathematical Thinking. New York: Teachers College, Columba University. 

  9. Baroody, A. J., & Coslick, R. T. (1989). Fostering Children's Mathematics Power: An Investigative Approach to K-8 Mathematics Instruction. Mahwah,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Publishers. 

  10. Chapin, S. H., O'Connor, C., & Anderson, N. C. (2013). Classroom Discussions in Math: A Teacher's Guide for Using Talk Moves to Support the Common Core and More (3rd ed.). Ca: Scholastic Inc. 

  11. Kammi, C. (2000). Young Children Reinvent Arithmetic; Implications of Piaget's Theory(2nd). 강완, 김진호, 신국환 (역) (2005). Piaget의 발생적 인식론을 적용한 수학수업-1학년-. 경문사. 

  12. Polotskaia, E., Savard, M, & Freiman, V. (2015). Duality of Mathematical Thinking When Making Sence of Simple Word Problems: Theoretical Essay. Eurasia Journal of Mathematics, Science & Technology Education, 11(2), 251-261. 

  13. Reys, R. E., Lindquist, M. M., Lambdin, D. V., & Smith, N. L. (2009). Helping Children Learn Mathematics, 9th Edition. John Wiley & Sions. 

  14. Suh, J. M., & Seshaiyer, P. (2014). Developing Strategic Competence by Teaching Using the Common Core Mathematical Practices. In Karp, K, & McDuffie, A. R.((Eds.). Using Research to improve Instruction. (pp. 77-87).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15. The California Department of Education(2015). Mathematics Framework for California Public Schools-Kindergarten through Grade Twelve-. The California Department of Education. 

  16. Van De Walle, J. A., Karp K. S., & Bay-Williams, J. M. (2004).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Mathematics: Teaching Developmentally. New York: Allyn & Bacon. 

  17. Xin, Y. P. (2007). Word problem Solving Tasks in Textbooks and Their Relation to Student Performance, Th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100(6), 347-36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