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꾸지뽕(Cudrania tricuspidata) 잎으로부터 분리된 다당류 추출물의 면역 활성
Immunomodulatory Activity of Crude Polysaccharide Separated from Cudrania tricuspidata Leaf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5 no.8, 2016년, pp.1099 - 1106  

변의백 (한국원자력연구원) ,  장범수 (한국원자력연구원) ,  성낙윤 (공주대학교 식품공학과) ,  변의홍 (공주대학교 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꾸지뽕 잎으로부터 추출된 다당류인 CTP의 처리가 면역세포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평가하였다. CTP는 에탄올 침전법에 의하여 추출하였고, 면역 활성능의 평가는 대식세포주인 RAW 264.7 세포와 미분화 골수세포로부터 유도 분화시킨 대식세포 및 마우스 비장으로부터 유리시킨 비장세포에 CTP를 농도별로 처리하여 관찰하였다. 선천면역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대식세포에 CTP를 처리하였을 때 세포 증식률, NOcytokine 분비능이 CTP 처리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관찰되었을 뿐만 아니라 비장세포에서도 이와 유사하게 세포 증식률이 증가하고 Th 1 type의 cytokine 분비능 또한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보아 꾸지뽕다당류 추출물인 CTP는 다양한 면역세포의 활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생각하며 이를 활용하여 다양한 식품 및 건강보조식품을 개발한다면 그 경제적 가치가 매우 클 것으로 생각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immunomodulatory activity of crude polysaccharide separated from Cudrania tricuspidata leaf. C. tricuspidata polysaccharide (CTP) was extracted by ethanol precipitation. Immunomodulation activity was tested in macrophage cells (RAW 264.7 and bone-marr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예로부터 전통약재로 쓰여 오던 꾸지뽕으로부터 다당류 성분을 추출하고 추출된 다당류 성분의 면역 활성에 관하여 알아보기 위하여 대식세포주(RAW 264.7), 마우스 골수세포로부터 분화된 대식세포(macrophage) 및 비장에서 유리시킨 비장세포(splenocyte) 등의 다양한 면역세포에 처리하여 면역세포의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관찰하였다.
  • 본 연구는 CTP의 면역 활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관찰하기 위하여 다양한 농도의 CTP를 대식세포주인 RAW 264.7 세포와 마우스에서 분리한 미분화 골수세포에서 분화시킨 대식세포에 처리하여 대식세포의 증식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관찰하였다. RAW 264.
  • 본 연구는 꾸지뽕 잎으로부터 추출된 다당류인 CTP의 처리가 면역세포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평가하였다. CTP는 에탄올 침전법에 의하여 추출하였고, 면역 활성능의 평가는 대식세포주인 RAW 264.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꾸지뽕의 서식지는? 꾸지뽕(Cudrania tricuspidata)은 뽕나무과에 속하는 낙엽교목으로서 한국을 비롯한 일본, 중국, 러시아 동부지역 등에서 주로 서식하며, 일부 아시아지역에서는 전통약초로써 주로 사용되고 있다. 열매는 자수과라고 부르고 열매들이 모여 덩어리를 이루는 형태를 나타내며, 지름이 약 2~3 cm로 둥근 모양이다.
선천성면역에 관여하는 세포는? 면역체계는 크게 선천성면역과 후천성면역으로 분류되는데 각각의 면역단계에 따라 역할을 수행하는 면역세포들이 다르다. 선천성면역에 관여하는 세포로는 대식세포와 수지상세포 등이 있으며, 이들은 감염 초기에 활성화되어 침입을 통제하거나 침입한 병원균에 대한 정보를 내부에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후천성 면역은 주로 면역 T 세포가 매개하는 면역반응으로 감염 중기에 활성화되어 감염된 세포를 직접 죽이거나 병원성 물질에 대한 항체 생산을 촉진하여 무력화시키는 작용을 유도한다(16).
꾸지뽕 열매의 특징은? 꾸지뽕(Cudrania tricuspidata)은 뽕나무과에 속하는 낙엽교목으로서 한국을 비롯한 일본, 중국, 러시아 동부지역 등에서 주로 서식하며, 일부 아시아지역에서는 전통약초로써 주로 사용되고 있다. 열매는 자수과라고 부르고 열매들이 모여 덩어리를 이루는 형태를 나타내며, 지름이 약 2~3 cm로 둥근 모양이다. 주로 9~10월에 붉은색을 나타내는 이열매는 해열, 양혈, 근육 이완 등에 매우 효과가 좋다고 알려져 동아시아에서 전통 한방 약재로 주로 사용되고 있다(1). 약리 활성이 가장 널리 알려진 꾸지뽕의 잎, 줄기 부분은 xanthones, flavonoids 등의 폴리페놀(polyphenol) 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다고 보고되고 있으며, tyrosinase 저해, 항산화, 암세포 독성, 항염증 활성에 대한 연구가 기 보고된 바 있다(2-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Jung GT, Ju IO, Choi SR, You DH, Noh JJ. 2013. Food nutritional characteristics of fruit of Cudrania tricuspidata in its various maturation stages. Korean J Food Preserv 20: 330-335. 

  2. Park KH, Park YD, Han JM, Im KR, Lee BW, Jeong IY, Jeong TS, Lee WS. 2006. Anti-atherosclerotic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catecholic xanthones and flavonoids isolated from Cudrania tricuspidata. Bioorg Med Chem Lett 16: 5580-5583. 

  3. Jeong GS, Lee DS, Kim YC. 2009. Cudratricusxanthone A from Cudrania tricuspidata suppresses pro-inflammatory mediators through expression of anti-inflammatory heme oxygenase-1 in RAW264.7 macrophages. Int Immunopharmacol 9: 241-246. 

  4. Lee BW, Lee JH, Lee ST, Lee HS, Lee WS, Jeong TS, Park KH. 2005. Antioxidant and cytotoxic activities of xanthones from Cudrania tricuspidata. Bioorg Med Chem Lett 15: 5548-5552. 

  5. Shi L, Dong Q, Ding K. 2014. Structure elucidation and immunomodulatory activity in vitro of a xylan from roots of Cudrania tricuspidata. Food Chem 152: 291-296. 

  6. Ryu YB, Curtis-Long M, Lee JW, Kim JH, Kim JY, Kang KY, Lee WS, Park KH. 2009. Characteristic of neuraminidase inhibitory xanthones from Cudrania tricuspidata. Bioorg Med Chem 17: 2744-2750. 

  7. Zheng ZP, Tan HY, Chen J, Wang M. 2013. Characterization of tyrosinase inhibitors in the twigs of Cudrania tricuspidata and their structure-activity relationship study. Fitoterapia 84: 242-247. 

  8. Paulson JC. 1989. Glycoproteins: what are the sugar chains for?. Trends Biochem Sci 14: 272-276. 

  9. Ruoslahti E. 1989. Proteoglycans in cell regulation. J Biol Chem 264: 13369-13372. 

  10. Zhu H, Zhang Y, Zhang J, Chen D. 2008.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n anti-complementary protein-bound polysaccharide from the stem barks of Eucommia ulmoides. Int Immunopharmacol 8: 1222-1230. 

  11. Bao X, Wang Z, Fang J, Li X. 2002. Structural features of an immunostimulating and antioxidant acidic polysaccharide from the seeds of Cuscuta chinensis. Planta Med 68: 237-243. 

  12. Hwang YC, Shin KS. 2008. Characterization of immuno-stimulating polysaccharides isolated from Korean persimmon vinegar. Korean J Food Sci Technol 40: 220-227. 

  13. Lee MS, Shin KS. 2013. Macrophage activation by polysaccharides from Korean's commercial and traditional soy sauces. Korean J Food Nutr 26: 797-805. 

  14. Lee EH, Park HR, Shin MS, Cho SY, Chio HJ, Shin KS. 2014. Antitumor metastasis activity of pectic polysaccharide purified from the peels of Korean Citrus Hallabong. Carbohydr Polym 111: 72-79. 

  15. Ankathatti Munegowda M, Xu S, Freywald A, Xiang J. 2012. $CD4^+$ Th2 cells function alike effector Tr1 and Th1 cells through the deletion of a single cytokine IL-6 and IL-10 gene. Mol Immunol 51: 143-149. 

  16. Skapenko A, Kalden JR, Lipsky PE, Schulze-Koops H. 2005. The IL-4 receptor $\alpha$ -chain-binding cytokines, IL-4 and IL-13, induce forkhead box P3-expressing $CD25^+CD4^+$ regulatory T cells from $CD25^-CD4^+$ precursors. J Immunol 175: 6107-6116. 

  17. Kim HM, Han SB, Oh GT, Kim YH, Hong DH, Hong ND, Yoo ID. 1996. Stimulation of humoral and cell mediated immunity by polysaccharide from mushroom Phellinus linteus. Int J Immunopharmacol 18: 295-303. 

  18. Mahomoodally F, Mesaik A, Choudhary MI, Subratty AH, Gurib-Fakim A. 2012. In vitro modulation of oxidative burst via release of reactive oxygen species from immune cells by extracts of selected tropical medicinal herbs and food plants. Asian Pac J Trop Med 5: 440-447. 

  19. Yoshida Y, Wang MQ, Liu JN, Shan BE, Yamashita U. 1997. Immunomodulating activity of Chinese medicinal herbs and Oldenlandia diffusa in particular. Int J Immunopharmacol 19: 359-370. 

  20. Byun EB, Sung NY, Byun EH, Song DS, Kim JK, Park JH, Song BS, Park SH, Lee JW, Byun MW, Kim JH. 2013. The procyanidin trimer C1 inhibits LPS-induced MAPK and $NF-{\kappa}B$ signaling through TLR4 in macrophages. Int Immunopharmacol 15: 450-456. 

  21. Kim K, Sohn H, Kim JS, Choi HG, Byun EH, Lee KI, Shin SJ, Song CH, Park JK, Kim HJ. 2012. Mycobacterium tuberculosis Rv0652 stimulates production of tumour necrosis factor and monocytes chemoattractant protein-1 in macrophages through the Toll-like receptor 4 pathway. Immunology 136: 231-240. 

  22. Kim JH, Sung NY, Byun EH, Kwon SK, Song BS, Choi JI, Yoon Y, Kim JK, Byun MW, Lee JW. 2009. Effects of $\gamma$ -irradiation on immunological activities of $\beta$ -glucan. Food Sci Biotechnol 18: 1305-1309. 

  23. Morel F, Doussiere J, Vignais PV. 1991. The superoxide-generating oxidase of phagocytic cells. Physiological, molecular and pathological aspects. Eur J Biochem 201: 523-546. 

  24. Wink DA, Hines HB, Cheng RY, Switzer CH, Flores-Santana W, Vitek MP, Ridnour LA, Colton CA. 2011. Nitric oxide and redox mechanisms in the immune response. J Leukoc Biol 89: 873-891. 

  25. Wang H, Actor JK, Indrigo J, Olsen M, Dasgupta A. 2003. Asian and Siberian ginseng as a potential modulator of immune function: an in vitro cytokine study using mouse macrophage. Clin Chim Acta 327: 123-128. 

  26. Ryu HS. 2008. Effects of Job's Tears (Yul-Moo) extracts on mouse splenocyte and macrophage cell activation. Korean J Food Nutr 21: 1-6. 

  27. Cha JH, Kim YS, Lee EM. 2010. Effects of Prunellae Spica water extract on immune response in macrophage cells. J Oriental Obstet Gynecol 23: 91-100. 

  28. Kim KO, Kim HS, Ryu HS. 2006. Effect of Sorghum bicolor L. Moench (Sorghum, su-su) water extracts on mouse immune cell activation. J Korean Diet Assoc 12: 82-88. 

  29. Zalys R, Zagon IS, Bonneau RH, Lang CM, McLaughlin PJ. 2000. In vivo effects of chronic treatment with [ $ $Met^5$ $ ]-enkephalin on hematological values and natural killer cell activity in athymic mice. Life Sci 66: 829-834. 

  30. Abbas AK, Lichtman AH. 2003. Cell and tissues of the immune system. In Cellular and Molecular Immunology. 5th ed. WB Saunders Co., Sydney, Australia. p 264-269. 

  31. Wang JE, Jorgensen PF, Ellingsen EA, Almiof M, Thiemermann C, Foster SJ, Aasen AO, Solberg R. 2001. Peptidoglycan primes for LPS-induced release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in whole human blood. Shock 16: 178-182. 

  32. Medzhitov R. 2001. Toll-like receptors and innate immunity. Nat Rev Immunol 1: 135-14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