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장애아동을 그룹홈에 입소시킨 어머니의 양육경험
Nurturing Experience of Mother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dmitted to a Group-Home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6 no.8, 2016년, pp.257 - 267  

황연화 (푸른솔 그룹홈) ,  임종호 (한라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장애아동을 그룹홈에 입소시킨 어머니의 양육경험 과정에 관한 질적연구이다. 연구 대상은 장애아동을 그룹홈에 입소시킨 어머니 8명이며, 연구방법으로는 심층면접 조사를 실시하였다. 개방코딩 결과 총 34개의 개념과 28개의 하위범주, 13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이러한 범주들을 종합하여 '양육한계 봉착에 처한 후 그룹홈 입소로 관계 회복'을 핵심범주로 선택하였다. 실천 전략은 어머니의 양육단계에 따른 심리상담을 제공해야 하고, 장애아동 아버지들을 위한 프로그램을 제안하며, 학령기 비장애자녀에 대한 지원 방안이 모색되어야 하고, 대상자의 욕구에 적합한 차별화된 장애인시설이 필요하다. 정책적 차원에서는 돌봄 크레딧을 통해 장애아동 가족의 빈곤 문제의 최소화, 고운맘카드의 활용과 초기 의료사회복지적인 개입 필요, 시설순회학급 설치 확대, 성년후견제도 활용과 소득분위에 따른 장애아동 양육수당의 차등적 지급 등이 고려되어야 함을 제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research subject is 8 mothers who put their physical/mentally impaired children in a group home, as the research method, this study conducted an in-depth interview survey.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collected data from the in-depth interview on 8 mothers who put their disabled children to th...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그룹홈이란 무엇인가? 그룹홈은 대규모 집단 시설 위주의 보호에서 소규모 가정 형태 보호로의 전환을 강조하는 지역사회 중심의 보호를 위한 새로운 보호 형태이다. 아동 그룹홈은 공동생활 가정을 운영하여 부모의 사망, 이혼, 가정폭력 및 학대, 가출 등으로 인해 보호가 요구되는 아동들을 돌보는 제도이다.
장애인복지에서 부모의 양육경험 분석에 대한 관심이 고조된 이유는? 첫째, 과거에는 자녀의 단순한 의식주 해결 및 장애 치료라는 단순한 접근방법이 주된 양육방법이었지만, 최근 장애아동의 재활을 위해선 결정적 시기를 놓치지 않으려는 조기교육의 강화 및 주변의 가능한 사회적 자원체계를 활용한 양육 스트레스의 경감을 추구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서는 가정 이외의 보육시설이 필요함을 주장하는 선행연구들[1-3]을 찾아볼 수 있고, 장애자녀 어머니의 경험을 구조화하는 사회적인 맥락과 요인들을 확인하는 것은 필수적인 작업으로 인식되고 있는 실정이다. 둘째, 가족 내의 기능 약화에 따른 대안 모색이 절실하기 때문이다. 장애자녀를 둔 부모들은 중증장애아동의 오랜 간호 및 양육에 따른 스트레스 가중, 학령기 비장애인 자녀의 스트레스[4], 부부관계 갈등[5], 친인척들의 곱지 않은 시선에 대한 부담 등으로 가족 내의 기능 약화에 따른 대안 모색이 절실한 가운데 시설을 선택하게 된다. 10-11세 자폐아동을 2년 간 스웨덴의 그룹홈에 보낸 5가족 10명의 부모들의 경험에 관한 연구[6]에서, 아동들이 그룹홈에 입소하기 전에 부모들이 겪은 경험은 비탄과 슬픔에 대한 경험, 아동들의 행동을 규제하기 어려움에 따른 총체적인 소진, 사회적 고립, 아동들의 형제들에 대한 부정적인 경험을 표현하였다. 2년이 지난 후 아동들의 향상으로 가족들은 안도하였고 미래에 대한 희망이 증가하였다고 밝혔다. 셋째, 가정 양육의 한계에 봉착한 가족들이[23] 장애아동의 입소를 위해 어쩔 수 없는 대안으로 선택하는 것은 소규모 시설이나 그룹홈이기 때문이다. 또한 부모들이 어린 자녀를 부모와 상시 분리하기보다는 부모가 원할 경우 언제든지 자녀를 방문할 수 있고, 장애아동 역시 주말에 가정에서 가족들과 지내는 형태를 선호하기 때문이다[7].
아동 그룹홈에서 이루어지는 아동 보호 사업에서 경험할 수 있는 것은? 아동 그룹홈은 공동생활 가정을 운영하여 부모의 사망, 이혼, 가정폭력 및 학대, 가출 등으로 인해 보호가 요구되는 아동들을 돌보는 제도이다. 아동 그룹홈에서 이루어지는 아동 보호 사업은 소집단이기 때문에 아동과 성인 간의 거리가 대규모 시설보다 가깝고, 아동 개개인에 대한 개별 처우가 가능하며, 지역 사회 안에서 아동이 일반 가정의 아동과 유사한 풍부한 생활 경험을 할 수 있다. 또한 동료 집단의 상호 작용이 아동의 문제 행동을 수정하고 통제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2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박민수, 장애아동 복지시설의 만족도에 관한 실증 연구 : 장애아동 부모와 시설종사자를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2. 김현희, 시설입소 장애아동 부모의 스트레스 영향요인 연구, 목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3. 김진숙, 위탁가정 아동의 적응과정 연구 : 근거이론 접근,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7. 

  4. 김나영, 윤호열, "장애아동 부?모의 스트레스 분석," 발달장애학회, 제3권, pp.127-138, 1999. 

  5. 이계윤, 장애아동을 둔 취업모의 시간관리 전략과 양육부담감의 관계에 관한 연구 : 장애아동전담 보육시설을 이용하는 어머니를 중심으로, 숭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5. 

  6. Y. Benderix and B. Nordstrom, "Parents' Experience of Having a Child with Autism and Learning Disabilities Living in a Group Home: A Case Study,"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Research & Practice, Vol.10, No.6, pp.629-641, 2006. 

  7. 강동현, 장애인공동생활가정(Group Home)의 운영 실태와 개선방안 연구 : 인천지역 중심으로, 인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8. 이영희, 장애인 그룹홈의 운영실태와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9. 선현규, 장애인공동생활가정 활성화방안에 관한 연구 : 서울특별시를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10. 유현란, 장애인 공동생활가정제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11. 하춘자, 장애인 그룹홈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12. 우상열, 장애인 그룹홈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13. 조성금, 요보호아동 그룹홈의 활성화 방안, 명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14. 선현철, 장애인공동생활가정의 이용만족도에 관한 연구 : 서울특별시를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15. 박재현, 장애인공동생활가정 사회재활교사의 임파워먼트와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한일장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16. 황수정, 공동생활가정 정신지체장애인의 사회통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이화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17. 김길자, 장애인공동생활가정에 대한 인근 지역주민의 태도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0. 

  18. 박상수, 장애인 공동생활가정의 현황분석 : 대전지역 공동생활가정 중심으로, 대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0. 

  19. 차혜경, 발달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경험 : 끝없는 긴장의 재구성,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8. 

  20. 김수지, 신경림 역, 근거이론의 이해, A. Strauss, & J. Corbin, 서울: 한울 아카데미, 2008. 

  21. 남연희, 정신지체아동 어머니의 양육부담 경감을 위한 사회적 지원체계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1 

  22. 김미량, 이연주, 이정호, "장애아동 부모의 양육스트레스와 여가제약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9, No.1, pp.366-375, 2009. 

  23. 정소연, "가족임파워먼트 척도(Family Empowerment Scale)의 요인구조 검증 및 단축형 척도 개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3, No.7, pp.214-227, 2013. 

  24. 유용식, 권순신, "장애이해교육이 비장애아동의 장애아동에 대한 수용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3, No.4, pp.508-517, 2013. 

  25. 김성태, 아동 그룹 홈의 운영 실태와 개선 방안에 관한 사례 연구,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