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사의 SBAR 환자보고가 의사소통의 명확성과 간호사와 의사의 협력관계에 미치는 영향: 단일군 전후실험 설계

The Effect of SBAR Reports on Communication Clarity and Nurse-Physician Collaborative Relationships: A One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근관절건강학회지 = Journal of muscle and joint health, v.23 no.2, 2016년, pp.105 - 113  

김화영 (동아대학교병원) ,  정연진 (동아대학교 대학원 간호학과) ,  강지연 (동아대학교 간호학과) ,  문현숙 (동아대학교병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ituation-Background-Assessment-Recommendation (SBAR) reports on communication clarity and nurse-physician collaborative relationships. Methods: SBAR forms in one group were measured at baseline, at 2 weeks, and at 4 weeks postinte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적절한 자기표현과 명확한 의사소통은 협력관계 증진에 기여하며, 향상된 협력관계는 환자 간호의 질을 높이는 중요한 요소이다(Manojlovich & DeCicco, 2007; Schmalenberg & Kramer, 2009).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간호사가 의사에게 환자보고를 하는데 있어서 구조화된 의사소통 틀인 SBAR를 적용한 후 그 효과를 의사소통 명확성과 간호사와 의사의 협력관계 측면에서 검증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간호사의 SBAR 보고가 의사소통 명확성과 간호사와 의사의 협력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한 단일군 전후실험 설계(one group pretest-posttest design)인 유사 실험연구이다.

가설 설정

  • 가설 1: SBAR 보고 적용 전과 후 간호사의 의사소통 명확성에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 가설 2: SBAR 보고 적용 전과 후 간호사와 의사의 협력관계에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 , 2004). 간호사의 명확하지 않은 의사소통은 두 직종 간의 협력관계 형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반대로 간호사와 의사간의 명확한 의사소통은 협력관계의 향상에 필요요건이고, 협력관계는 환자 돌봄의 질에 영향을 미친다(Schmalenberg & Kramer, 2009).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Institute for Healthcare Improvement가 의사소통의 명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제시한 SBAR은 무엇인가? 의사소통의 명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미국의 의료 질 향상 기구인 Institute for Healthcare Improvement (IHI, 2011)에서는 표준화된 의사소통 방법인 상황-배경-평가-제안(Situation-Background-Assessment-Recommendation, SBAR)을 제안한 바 있다. SBAR는 환자의 현재 상황(situation), 기본임상 정보 및 배경(background), 현 상태의 평가(assessment), 환자 치료에 대한 보고자의 제안(recommendation)을 포함하는 구조화된 의사소통 도구로 짧은 시간 동안 빠르고, 명확한 의사소통을 가능하게 해준다(Cornell, Gervis, Yates, & Vardaman, 2013; Leonard et al., 2004).
의사소통은 간호사에게 어떤 요소인가? 의사소통은 간호사가 대상자와의 치료적 관계 및 다양한 직종과의 협력관계를 형성하여 성공적인 간호중재를 이끄는데 있어서 중요한 요소이다(Park, 2015). 그러나 의료기관이 대형화되고, 복잡해질수록 직종 간 다양한 의사소통 방식과 위계적인 조직문화로 인해 의사소통의 어려움이 더욱 증가하고 있다(Lee, 2002; Leonard, Graham, & Bonacum, 2004).
간호사와 의사 간에 의사소통 문제가 발생하는 이유는? 간호사와 의사 간에 의사소통 문제가 발생하는 이유는 이들이 서로 다른 방식으로 의사소통을 하고 있기 때문일 수 있는데, 일부 의사들은 간호사들의 의사소통 방식이 명확하지 않다는 점을 문제로 지적하고 있다(Casanova et al., 2007; Haig, Sutton, & Whittington, 2006; Leonard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Beckett, C. D., & Kipnis, G. (2009). Collaborative communication: Integrating SBAR to improve quality/patient safety outcomes. Journal for Healthcare Quality, 31(5), 19-28. http://dx.doi.org/ 10.1111/j.1945-1474.2009.00043.x 

  2. Casanova, J., Day, K., Dorpat, D., Hendricks, B., Theis, L., & Wiesman, S. (2007). Nurse-physician work relations and role expectations. Journal of Nursing Administration, 37(2), 68-70. 

  3. Cho, H. J. (2013). The effect of SBAR program education on a nurse's communication clarify and self express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National University, Seoul. 

  4. Cornell, P., Gervis, M. T., Yates, L., & Vardaman, J. M. (2013). Improving shift report focus and consistency with the situation, background, assessment, recommendation protocol. Journal of Nursing Administration, 43(7), 422-428. http://dx.doi.org/10.1097/NNA.0b013e31829d6303 

  5. De Meester, K., Verspuy, M., Monsieurs, K. G., & Van Bogaert, P. (2013). SBAR improves nurse-physician communication and reduces unexpected death: A pre and post intervention study. Resuscitation, 84(9), 1192-1196. http://dx.doi.org/10.1016/j.resuscitation.2013.03.016 

  6. Finnigan, M. A., Marshall, S. D., & Flanagan, B. T. (2010). ISBAR for clear communication: One hospital's experience spreading the message. Australian Health Review, 34(4), 400-404. http://dx.doi.org/10.1071/AH09823 

  7. Haig, K. M., Sutton, S., & Whittington, J. (2006). SBAR: A shared model for improving communication between clinicians. Journal on Quality and Patient Safety, 32(3), 167-75. 

  8. Hojat, M., Fields, S., Veloski, J., Griffiths, M., Cohen, M., & Plumb, J. (1999). Psychometric properties of an attitude scale measuring physician nurse collaboration. Evaluation & Health Professions, 22(2), 208-220. http://dx.doi.org10.1177/01632789922034275 

  9. Im, S. I., Park, J., & Kim, H. S. (2012). The effect of nurse's communication and self-leadership on nursing performance.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1(3), 274-282. http://dx.doi.org/10.5807/kjohn.2012.21.3.274 

  10. Institute for Healthcare Improvement. (2011). SBAR technique for communication: A situational briefing model. Massachusetts: Author. Retrieved May 7, 2016, from http://www.ihi.org/resources/Pages/Tools/SBARTechniqueforCommunicationASituationalBriefingModel.aspx 

  11. Kim, E. M., Yu, M., & Ko, J. W. (2015). Development of nurse's handover standards between hospital units using SBAR.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1(1), 127-142. 

  12. Kim, S. H., & Lee, M. A. (2014). Effects of emotional labor and communication competence on turnover intention in nurses. Journal Korean Academy Nursing Administration, 20(3), 332-341. http://dx.doi.org/10.11111/jkana.2014.20.3.332 

  13. Knaus, W. A., Draper, E. A., Wagner, D. P., & Zimmerman, J. E. (1986). An evaluation of outcome from intensive care in major medical centers. Annals of Internal Medicine, 104(3), 410-418. http://dx.doi.org/10.7326/0003-4819-104-3-410 

  14. Lee, J. W., Bak, Y. I., Baek, S. J., Lee, J. U., Lee, H. Y., & Jeung, Y. O. (2014). How hospital nurses communicate with physician?. Journal of Humanities, 71(1), 345-385. 

  15. Lee, J. Y. (2002). Characteristics of each medical department in a general hospital, communication between nurses and docto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16. Lee, S. M., & Sohn, S. K. (2015). Relationship between assertiveness and attitudes toward nurse-physician collaboration in general hospital nurses.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ch, 21(2), 156-164. http://dx.doi.org/10.14370/jewnr.2015.21.2.156 

  17. Leonard, M., Graham, S., & Bonacum, D. (2004). The human factor: The critical importance of effective teamwork and communication in providing safe care. Quality and Safety in Health Care, 13(Suppl 1), i85-i90. http://dx.doi.org/10.1136/qshc.2004.010033 

  18. Manojlovich, M., & DeCicco, B. (2007). Healthy work environments, nurse-physician communication, and patients' outcomes. American Journal of Critical Care, 16(6), 536-543. 

  19. Marshall, S., Harrison, J., & Flanagan, B. (2009). The teaching of a structured tool improves the clarity and content of interprofessional clinical communication. Quality and Safety Health Care, 18(2), 137-140. http://dx.doi.org/10.1136/qshc.2007.025247 

  20. Park, K. O. (2015). Nurses' experience of health communication with doctors in the clinical fields. Journal of Korean Academy Nursing, 21(1), 53-63. http://dx.doi.org/10.11111/jkana.2015.21.1.53 

  21. Park, Y. H. (2009). A study on the communication system model and recognition analysis of president-staffs communication in universit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Wonkwang University, Iksan. 

  22. Randmaa, M., Martensson, G., Swenne, C. L., & Engstrom, M. (2014). SBAR improves communication and safety climate and decreases incident reports due to communication errors in an anaesthetic clinic: A prospective intervention study. BMJ Open, 4(1), e004268. http://dx.doi.org/10.1136/bmjopen-2013-004268 

  23. Schmalenberg, C., & Kramer, M. (2009). Nurse-physician relationships in hospitals: 20000 Nurses tell their story. Critical Care Nurse, 29(1), 74-83. http://dx.doi.org/10.4037/ccn2009436 

  24. Weiss, S. J., & Davis, H. P. (1985).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collaborative practice scales. Nursing Research, 34(5), 299-305. 

  25. Williams, M. E., Williams, T. F., Zimmer, J. G., Hall, W. J., & Podgorski, C. A. (1987). How does the team approach to outpatient geriatric evaluation compare with traditional care: A report of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35(12), 1071-1078. http://dx.doi.org/10.1111/j.1532-5415.1987.tb04923.x 

  26. Woodhall, L. J., Vertacnik, L., & McLaughlin, M. (2008). Implementation of the SBAR communication technique in a tertiary center. Journal of Emergency Nursing, 34(4), 314-317. http://dx.doi.org/10.1016/j.jen.2007.07.00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보고서와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