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성인의 연령계층별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Influencing Suicidal Ideation by Age Group in Adults 원문보기

韓國保健看護學會誌 =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v.30 no.2, 2016년, pp.326 - 336  

정은숙 (평택대학교 간호학과) ,  심문숙 (건양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help with the development of an intervention program in efforts to prevent suicidal ideation and suicide. The study also sought to generate strategies for improving health conditions by ascertaining and analyzing potential factors that may influence suicidal ide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청․장년층과 중년층을 대상으로 자살생 각은 자살행위의 초기 결정요인으로서 자살시도의 중 요한 원인이라는 점과 자살예방을 위한 정책수립의 중 요한 지표를 제공하고자 시도된 연구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성인들의 연령계층별 자살생각 관련 요인의 유 사점과 차이점을 파악하여 연령계층에 맞는 자살생각 감소를 위한 지역사회 내 정책 및 상담, 교육, 중재 프 로그램을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로 제공하기 위하여 수 행하였다.
  • 본 연구는 서술적 조사연구로서 성인의 연령계층별 자살 생각의 차이와 자살 생각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파악하는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성인들의 연령계층별 자살생각 관련 요인 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파악하여 연령계층에 맞는 자살 생각 감소를 위한 지역사회 내 정책 및 상담, 교육, 중 재 프로그램을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로 제공하기 위하여 연구하였다. 기존의 선행연구들은 청소년, 노인을 대상으로 연구가 이루어졌는데 본 연구는 청․장년층과 중년층을 대상자로 하여 연령계층별 자살생각과 관련 요인을 비교 분석하였다는 점에 그 의의가 있다.
  • 본 연구는 청․장년층과 중년층을 대상으로 자살생 각은 자살행위의 초기 결정요인으로서 자살시도의 중 요한 원인이라는 점과 자살예방을 위한 정책수립의 중 요한 지표를 제공하고자 시도된 연구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성인들의 연령계층별 자살생각 관련 요인의 유 사점과 차이점을 파악하여 연령계층에 맞는 자살생각 감소를 위한 지역사회 내 정책 및 상담, 교육, 중재 프 로그램을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로 제공하기 위하여 수 행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성인의 연령계층별 자살생각의 차이와 자살생각과 관련된 요인을 파악하여 자살예방 프로그램 및 자살예방 정책마련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함이며, 구체적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청장년층, 중년층으로 구분하여 자살생각과 관련된 요인에 대하여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자살에 대한 전 연령층의 영향요인을 구별하여 볼 수 있다는 점과 생애주기별 연령계층별 자살생각의 차이점뿐만 아니라 유사점을 함께 파악하여 자살생각과 연관된 요인과 연령계층별 대상에 맞는 교육 및 자살예방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시도되었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청장년층, 중년층으로 구분하여 자살생각과 관련된 요인에 대하여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자살에 대한 전 연령층의 영향요인을 구별하여 볼 수 있다는 점과 생애주기별 연령계층별 자살생각의 차이점뿐만 아니라 유사점을 함께 파악하여 자살생각과 연관된 요인과 연령계층별 대상에 맞는 교육 및 자살예방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시도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포괄적인 자살의 개념은? 자살의 개념은 포괄적이어서 자살생각, 자살시도 및 자살행위에 이르는 연속적 개념으로 정의할 수 있는데, 이중 특히 자살생각은 자살시도자의 처음 경고 신호로 이후 심각한 자살행동으로 연결되기도 하며, 자살시도의 위험성을 높이는 것과 관련되어 있다. 살아오면서 자살을 생각해 본 사람들 중 34%는 자살계획을 세우 고 이 중 72%는 계획을 실행에 옮기며, 26%는 계획 없이 즉각적인 자살을 시도한다(Kim, Jung, & Kim, 2014).
자살생 각의 위험요인 중 신체적 건강요인은 무엇이 있는가? , 2011; Song, Son, & Park, 2010; Patricia, 2003). 신체적 건강 요인으 로는 만성질환의 수, 심각한 신체적 질환, 활동제한, 삶의 질, 수면시간, 고위험 음주, 현재 흡연 여부 등이 확인되었다. 또한 정신건강 요인으로 우울, 불안, 스트 레스, 정신과 질환(정신신경증 등) 및 약물 오남용 등 이 있다(Chin, Lee, & So, 2011; Jang & Kim, 2005; Kahng, 2010; Kim et al., 2010; Suominen et al.
우리나라 정부는 자살률을 낮추고자 어떤 노력을 하고 있는가? OECD 가입국 중 자살률 1위라는 불명예스러운 기 록을 가지고 있는 우리나라는 정부차원에서 자살률을 낮추고자 자살예방기본계획을 세우고 실태조사 및 자살 고위험자에 대한 상담 등 다양한 실천적·정책적 방 안들을 마련하고 있다. 또한 정신건강사업에서 생명 사랑 및 자살예방 사업이 중점이 되어 자살예방 문화 조성을 위한 생애주기별, 서비스 범주별 자살예방 사업과 지역사회 자살예방 사업 등이 진행되었다(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5). 2014년 자살에 의 한 사망자수가 13,836명으로 전년 대비 591명 (-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Awata, S., Seki, T., Sato, S., Hozawa, A., Omori, K., Kuriyama, S., Arai, H., Nagatomi, R., Matsuoka, H,, Tsuji, I., & Koizumi, Y. (2005). Factor associated with suicidal ideation in an elderly urban Japanese population: A community-based, cross-sectional study. Psychiatry and Clinical Neurosciences, 59(3), 327-336. http://dx.doi.org/10.1111/j.1440-1819.2005.01378.x 

  2. Baek, H. C. & Lee, J. H. (2014). "Factors affecting suicidal ideation of the low-income elderly living alone". Journal of Korean Acad Community Health Nursing, 25(3), 180-186. http://dx.doi.org/10.12799/jkachn.2014.25.3.180 

  3. Beck, A. T., Steer, R. A., Beck, J. S., & Newman, C. F. (1993). Hopelessness, depression, suicidal ideation, and clinical diagnosis of depression. Suicide and Life-Threatening Behavior, 23(2), 139-145. http://dx.doi.org/10.1111/j.1943-278x.1993.tb00378.x 

  4. Bridge, J. A., Goldstein, T. R., & Brent, D. A., (2006). Adolescent suicide and suicidal behavior.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47(3), 372-394. http://dx.doi.org/10.1111/j.1469-7610.2006.01615.x 

  5. Chin, Y. R., Lee, H. Y., & So, E. S. (2011). Suicidal ideation and associated factors by sex in Korean adults: A population-based cross-sectional survey. International Journal of Public Health, 56(4), 429-439. http://dx.doi.org/10.1007/s00038.011.0245.9 

  6. Choi, H. J., Chang, D. G., Kim, H. S., Cha, S. H., & Lee, E. W. (2015). Factors associated with suicidal ideation among adolescents in Korea: using the 2013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KYRBS). Health Service Management Review, 9(1), 31-38. 

  7. Han, S. S., Kang, S. W., Yoo, W. K., & Phee, Y. G. (2009). A study of the determinants of suicidal ideation among the elderly in korea. Journal of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9(1), 192-212. 

  8. Jang, M. H. & Kim, Y. H. (2005). The relationship of stress,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in the elderly. Journal of the Korean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Academic Society, 14(1), 33-42. 

  9. Jeon, H. J. (2012). Epidemiologic studies on depression and suicide. Journal of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55(4), 322-328. http://dx.doi.org/10.5124/jkma.2012.55.4.322 

  10. Jeon, H. G., Shim, J. M., & Lee, G. C. (2015). An empirical analysis of effects of depression on suicidal ideation of korean adults. Korean Contents Association Review, 15(7), 264-281. 

  11. Kahng, S. K. (2010). Does depression predict suicide?: Gender and age differ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suicidal attitudes.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Studies, 41(2), 391-399. 

  12. Kessler, R. C., Borges, G., & Walters, E. E. (1999). Prevalence of and risk factors for lifetime suicide attempts in the national comorbidity survey. Achieves of General Psychiatry, 56(7), 617-626. http://dx.doi.org/10.1176/ajp.155.4.536 

  13. Kim, K. H., Kim, J. S., Lee, B. S., Lee, E. K., Ahn, Y. M., & Choi. M. H. (2010). A study about the factors affecting the suicidal thought in Korean elders. Journal of Korean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Academic Society, 9(4), 391-399. 

  14. Kim, S. Y., Jung, M. Y., & Kim, K. N. (2014). Factors associated with suicidal ideation by age group among Korean adults.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31(2), 1-14. http://dx.doi.org/10.14367/kjhep.2014.31.2.1 

  15. Kim, K. T., Choi, S. S., Park, M. J., Park, S. H., Ko, S. H., & Park, H. S. (2011). The effect of family structures and psycho-social factors on suicidal ideation of senior citizens.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52, 205-228. 

  16. Kim, Y. J. & Kang, H. J. (2011). Study on variables related to adults' suicidal ideation. Journal of Family Relations, 16, 45-61. 

  17. Korea Suicide Prevention Center. (2015). Korea Suicide Prevention Annual report. 

  18. Lee, Y. J., Kim, S. J., Cho, I. H., Kim, J. H., Bae, S. M., Koh, S. H., & Cho, S. J. (2009).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leep duration and suicidal idea in an urban area of South Korea. Sleep Medicine and Psychophysiology, 16(2), 85-90. 

  19.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5). White book 2015. 

  20. No, Y. H. (2007). Determinants of suicidal ideation: a microeconometric analysis.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Economics and Policy, 13(1), 41-58. 

  21. Nock, M. K., Borges, G., Bromet, E. J., Cha, C. B., Kessler, R. C., & Lee, S. (2008). Suicide and suicidal behaviour. Epidemiologic Reviews, 30(1), 133-154. 

  22. Patricia, A. H. (2003). Evidenced-based protocol; elderly suicide-secondary prevention. Journal of Gerontological Nursing, 29(1), 6-17. http://dx.doi.org/10.1176/ajp.154.5.626 

  23. Ra, C. K. & Cho, Y. (2013). Differentiated effects of social participation components on suicidal ideation across age groups in South Korea. BMC Public Health, 13(1), 880-890. 

  24. Radloff, L. S. (1977). The CES-D scale: A self report depression scale for research in the general population. Applied Psychological Measurement, 1, 385-401. 

  25. Shin, S. J. & Jo, Y. T. (2007). Social capital and suicidal impuls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4(3), 35-49. 

  26. Sim, M. Y. & Kim, G. H. (2005). Risk and protective factors for suicidal ideations of korean adolescents.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10(3), 313-325. 

  27. Song, Y. D., Son, J. A., & Park, S. M. (2010). An analysis of eco-systematic factors influencing suicidal ideation of the elderly who are living alone.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30(2), 643-660. 

  28. Suominen, K., Isometsa, E., Suokas, J., Haukka, J., Achte, K., & Lonnqvist, J. (2004). Completed suicide after a suicide attempt: A 37-year follow-up study.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61(3), 562-563. http://dx.doi.org/10.1176/appi.ajp.161.3.562 

  29. Youn, M. S., Kim, S. H., & Chae, W. S. (2010). The effects of alcohol use, mental health factors on seniors' ideation of suicide. Journal of the Korean Alcohol Science, 11(1), 27-4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