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쇠고기의 단기 저장 중 이화학 분석을 통하여 가정에서 쇠고기 저장 시 냉동 저장 조건을 탐색해보았다. 쇠고기의 지방 산패 정도를 나타내는 TBA가에서는 $-5^{\circ}C$ 저장군이 $-20^{\circ}C$ 저장군과 유사한 경향을 보였으며, 쇠고기의 단백질 신선도를 나타내는 VBN 함량과 일반세균수도 $-5^{\circ}C$ 저장군과 $-20^{\circ}C$ 저장군이 유사한 추세를 보이며 증가하였다. 적색도와 전단력에서는 $-5^{\circ}C$ 저장군이 $-20^{\circ}C$ 저장군보다 $-1^{\circ}C$ 저장군과 흡사한 경향을 보였다. 이에 대해 식품의 유통기한에 대한 식품의약품안전처의 고시(2014)에 따르면 식육의 설정실험 지표는 TBA가, 휘발성염기질소, 세균수, 대장균수이므로 본 실험의 TBA가와 VBN 함량, 일반세균 수 항목에서 $-5^{\circ}C$에서의 저장이 $-20^{\circ}C$ 저장과 유사한 결과를 나타낸 점에 의의가 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쇠고기의 단기 저장 시 $-5^{\circ}C$에서의 저장은 $-20^{\circ}C$에서의 저장과 유사한 측면을 보이며 약 52일간 저장이 가능할 것으로 예측되어 쇠고기의 단기 저장 시 신선도 유지에 효율적이라고 생각된다. 추후 온도 조절뿐만 아니라 가정용 냉장고의 습도, 쇠고기의 포장 방법, 저장 시 용량 등 여러 인자들의 조절로 가정 내 쇠고기의 냉동 저장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changes in pH, volatile basic nitrogen (VBN), thiobarbituric acid (TBA), $a^*$ (redness), shearing force, and microbial content (total plate count; TPC) in beef during freezing storage at -1, -5, and $-20^{\circ}C$ for 21 days. TPC as an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쇠고기의 단기 저장 중 이화학 분석을 통하여 가정에서 쇠고기 저장 시 냉동 저장 조건을 탐색해보았다. 쇠고기의 지방 산패 정도를 나타내는 TBA가에서는 −5°C 저장군이 −20°C 저장군과 유사한 경향을 보였으며, 쇠고기의 단백질 신선도를 나타내는 VBN 함량과 일반세균수도 −5°C 저장군과 −20°C 저장군이 유사한 추세를 보이며 증가하였다.
  •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쇠고기의 단기저장을 통하여 소비자들이 가정에서 쇠고기를 보다 오래 저장할 수 있도록 가정용 냉장고의 냉동실 내 온도 조건을 제시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서, 온도 조건에 따라 쇠고기를 단기간 저장하며 쇠고기의 화학적 품질 측정 지표라고 할 수 있는 pH, 적색도, VBN(휘발염기 질소), TBA가, 일반세균의 변화를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유효기간을 예측하고자 하였으며, 유효기간 설정을 위해 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육류를 냉동저장을 하는 이유는? 육류는 부패성이 높아 보관에 유의하여야 하므로 장기간 보관 시 일반적으로 냉동저장을 하며, 냉동저장을 할 때에는 0°C 이하에서 보관하여 호냉성 세균을 제외한 대부분의 미생물 생육과 증식을 억제시킴으로써(8) 신선도를 유지시킨다. 그러나 쇠고기 냉동저장 시 건조에 의한 동결소 형성, 단백질 변성과 세포조직 파괴에 의한 보수성과 물성변화, 고기 표면의 탈수, 지방질 산패에 의한 향미 변화로 인해 품질 저하를 초래한다고 보고되고 있다(9).
냉동저장의 온도는? 육류는 부패성이 높아 보관에 유의하여야 하므로 장기간 보관 시 일반적으로 냉동저장을 하며, 냉동저장을 할 때에는 0°C 이하에서 보관하여 호냉성 세균을 제외한 대부분의 미생물 생육과 증식을 억제시킴으로써(8) 신선도를 유지시킨다. 그러나 쇠고기 냉동저장 시 건조에 의한 동결소 형성, 단백질 변성과 세포조직 파괴에 의한 보수성과 물성변화, 고기 표면의 탈수, 지방질 산패에 의한 향미 변화로 인해 품질 저하를 초래한다고 보고되고 있다(9).
쇠고기의 화학적 품질 측정 지표 중 하나인 적색도의 측정 방법은? 쇠고기 시료를 블랜더(blender) (KF-HM500, Namyang Kitchen Flower Ltd., Gimpo, Korea)를 이용하여 마쇄한 후 색도계(Spectrophotometer CM-3500D, Konica Minolta, Osaka, Japan)를 사용 하여 CIE a* (redness, 적색도) 값으로 나타냈다. 이 때 표준백판 은 L*=96.85, a*= −0.10, b*= −0.16으로 표준화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2015 major statistics data of food and rural affairs. Available from: http://lib.mafra.go.kr. Accessed Sep. 1, 2015. 

  2. Park MH, Kwon JE, Kim SR, Won JH, Ji JY, Hwang IK, Kim MR. Physicochemical and microbiological properties of pork by various thawing methods. J. East Asian Soc. Diet. Life. 22: 298-394 (2012) 

  3. Cho SD, Lee DU, Yoon EK, Kim GH. Safe intake methods of meat and fish & shellfish. J. Food Hyg. Saf. 7: 9-14 (2012) 

  4. Kim MR, Kim YJ, Kim JE, Choy H, Lee JH, Kim YS. Monitoring for benzimidazole residues in fresh meat from local markets of Seoul city. The Report of S. I. H. E. 49: 264-273 (2013) 

  5. Heo EJ, Ko EK, Seo KH, Kim YJ, Park HJ, Wee SH, Moon JS. Validation of PCR and ELISA test kits for identification of domestic animal species in raw meat and meat products in Korea. J. Food. Hyg. Saf. 29: 158-163 (2014) 

  6. Park YC, Jin SO, Lim JY, Kim KH, Lee JH, Cho TY, Lee HJ, Han SB, Lee SJ, Lee KH, Yoon HS. Application for identification of food raw materials by PCR using universal primer. J. Food. Hyg. Saf. 27: 317-324 (2012) 

  7. Koh BRD, Kim JY, Na HM, Park SD, Kim YH. Development of species-specific multiplex PCR assays of mitochondrial 12S rRNA and 16S rRNA for the identification of animal species. Korean J. Vet. Serv. 34: 417-428 (2011) 

  8. Kim YH, Yang SY, Lee MH. The effect of freezing rates on the physico-chemical changes of beef during frozen storage at - $20{\circ}C$ . Korean J. Food Sci. Technol. 20: 447-452 (1988) 

  9. Miller AJ, Ackerman SA, Palumbo SA. Effects of frozen storage on functionality of meat for processing. J. Food Sci. 45: 1466-1471 (2006) 

  10. NIFDSE. Research on Consumer Education for Health Control (Hygiene Management of Refrigerator at Home). National Institute of Food and Drug Safety Evaluation, Cheongju, Korea. pp. 63-68 (2009) 

  11. Vieira C, Diaz MT, Martinez B, Garcia-Cachan MD. Effect of frozen storage conditions (temperature and length of storage) on microbiological and sensory quality of rustic crossbred beef at different states of ageing. Meat Sci. 83: 398-404 (2009) 

  12. Farouk MM, Wieliczko KJ, Merts I. Ultra-fast freezing and low storage temperatures are not necessary to maintain the functional properties of manufacturing beef. Meat Sci. 66: 171-179 (2004) 

  13. Seol KH, Kim KH, Kim YH, Youm KE, Lee MH. Effect of temperature and relative humidity in refrigerator on quality traits and storage characteristics of pre-packed Hanwoo loin. CNU J. Agric. Sci. 41: 415-424 (2014) 

  14. Damen FWM, Steenbekkers LPA. Consumer behaviour and knowledge related to freezing and defrosting meat at home: An exploratory study. Brit. Food J. 109: 511-518 (2007) 

  15. Witte VC, Krause GR, Bailey ME. A new extraction method for determining 2-thiobarbituric acid values of pork and beef during storage. J. Food Sci. 35: 582-585 (1970) 

  16. Demeyer DI, Vandekerckhove P, Moermans R. Compounds determining pH in dry sausage. Meat Sci. 3: 161-167 (1979) 

  17. Bartholomew DT, Blumer TN. Microbial interactions in countrystyle hams. J. Food Sci. 42: 498-502 (1977) 

  18. Jung IC, Lee KS, Moon YH. Changes in the quality of ground beef with additions of medicinal plants (cinnamon, licorice and bokbunja) during cold storage. J. East Asian Soc. Diet. Life 19: 224-230 (2009) 

  19. Jeong JY, Hur SJ, Lee SJ, Yang HS, Moon SS, Lee JI, Kim YH, Joo ST, Park GB. Effects of submersion aging in chilled water on lipid oxidation, myoglobin oxidation and purge loss of vacuumpacked hanwoo meat. Korean J. Food Sci. An. 22: 222-227 (2002) 

  20. Livingston DJ, Brown WD. The chemistry of myoglobin and its reactions. Food Technol. 35: 244-252 (1982) 

  21. Tarladgis BG, Watts BM, Younathan MT, Dugan jr L. A distillation method for the quantitative determination of malonaldehyde in rancid foods. J. Am. Oil Chem. Soc. 37: 44-48 (1960) 

  22. Kanner J. Oxidative processes in meat and meat products: Quality implications. Meat Sci. 36: 169-189 (1994) 

  23. Turmer EW, Paynter WD, Montie EJ, Bassert MW, Struck GM, Olson FC. Use of the 2-thiobarbituric acid reagent to measure rancidity in frozen pork. Food Technol. 8: 326-330 (1954) 

  24. Park GB, Kim YJ, Lee HG, Kim JS, Kim YH. Changes in freshness of meats during postmortem storage 1: Changes in freshness of pork. Korean J. Ani. Sci. 30: 672-677 (1988) 

  25. Lee MS, Park SK, Bae DH, Ha SD, Song KB. Effect of soy protein film packaging on the qualities and the microbial growth of beef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Preserv. 11: 565-568 (2004) 

  26. Brewer MS, Harbers CAZ. Effect of packaging on phys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ground pork in long-term frozen storage. J. Food Sci. 56: 627-631 (1993) 

  27.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Korean Food Standards Codex. Available from:. http://www.foodsafetykorea.go.kr/foodcode/menu_01_03.jsp?idx32. Accessed Dec. Jun. 30, 2015. 

  28. Kim YJ, Cheong JH. Effect of packaging methods on the shelf-life of chilled Korean cattle beef. Agric. Sci. Technol. 34: 75-81 (1999) 

  29. Huff EJ, Parrish FC. Bovine longissimus muscle tenderness as affected by postmortem aging time, animal age, and sex. J. Food Sci. 58: 713-716 (1993) 

  30. Bouton PE, Harris PV. The effects of cooking temperature and time on some mechanical properties of meat. J. Food Sci. 37: 140-144 (1972) 

  31. Song HI, Moon GI, Moon YH, Jung IC. Quality and storage stability of hamburger during low temperature storage. Korean J. Food Sci. An. 20: 72-78 (2000) 

  32. Moon YH, Kim YK, Koh CW, Hyon JS, Jung IC. Effect of aging period, cooking time and temperature on the textur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boiled pork loi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 471-476 (2001) 

  33. Brown MH. Meat Microbiology. Applied Science, London, UK. P. 287 (1982) 

  34. Shin HY, Ku KJ, Park SK, Song KB. Use of freshness indicator for determination of freshness and quality change of beef and pork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Sci. Technol. 38: 325-330 (2006) 

  35. Choi CH, Kim JH, Kim YJ. Evaluation of beef freshness using visible-near infrared reflectance spectra. Korean J. Food Sci. An. 31: 115-121 (2011) 

  36. Simmonds CK, Lamprecht EC. Microbiology of Frozen Fish and Related Products. Elsevier Applied Science. Newyork, USA. pp. 169 (1985) 

  37. Kim SM. Quality changes of frozen scallop (Patinopecten yessonensis(Jay)) stored in the domestic refrigerator. J. Korean Soc. Food Sci. Nutr. 26: 450-455 (1997) 

  38. Jeong JW, Jo JH, Lim SD, Kang TS. Change in quality of frozen breaded raw shrimp by storage temperature fluctu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23: 532-537 (1991) 

  39. Jin SK, Kim IS, Hur SJ. Changes in microbe, pH, VBN of exportation by-products of pork and establishment of shelf-life during storage at $4{\circ}C$ . Korean J. Intl. Agri. 14: 58-64 (200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