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보리와 밀 혼합막걸리의 품질특성으로 이화학적 특성, 색도, 환원당, 유기산, 효모수, 관능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보리는 흰찰쌀보리를 이용하였고, 금강밀, 백중밀, 조경밀을 1:1로 혼합하고 수입밀과 쌀을 대조구로 하여 $25^{\circ}C$에서 7일간 발효 후 착즙한 술덧을 시료로 하였다. 이화학적 특성으로 pH, 총산, 당도 및 알코올 함량을 측정한 결과, pH는 4.04~4.12로 밀 품종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고, 총산은 0.94~1.06%로 나타났다(p<0.05). 당도는 밀 혼합막걸리가 $12.67{\sim}13.44^{\circ}Brix$ 수준으로 쌀 혼합 막걸리 $11.76^{\circ}Brix$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알코올 함량은 15.13~16.53%의 범위로 나타났다. 밀 품종간 색도 L값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고, a값은 0.26~0.60 범위를 보였으며, b값은 밀 혼합막걸리가 쌀 혼합막걸리 보다 유의적으로 높아 좀 더 황색에 가까웠다(p<0.05). 환원당은 5.65~7.85 mg/mL의 범위로 나타났으며, 유기산은 금강 밀 혼합막걸리에서 lactic acid를 제외한 citric acid, malic acid, pyruvic acid가 가장 높게 검출되었다. 효모수는 밀이 혼합된 막걸리가 7.17~7.46 logCFU/g으로 쌀이 혼합된 막걸리 6.06 logCFU/g 보다 더 높았다. 관능적 특성에서 우리밀과 수입밀 간의 유의적은 차이는 없었으나, 맛은 백중밀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5). 이러한 결과로 보리 막걸리 제조 시 황색도, 효모수, 맛 등에서 높은 수준을 보였던 우리밀이 보리 막걸리 제조 시 혼합 곡물로 더 적합하였다. 따라서 밀 원료를 수입밀에서 금강밀이나 백중밀로 대체 시 일부 품질 증대와 함께 원료국산화에 따른 막걸리 프리미엄화 전제조건을 충족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quality of barley (Huinchalssalbori) and domestic wheats (Keumkangmil, Baegjoongmil, Jogyeongmil). The pH and total acidity of mixed Makgeolli were 4.04~4.12% and 0.94~1.06%, respectively. The total acidity, sugar and alcohol contents of Makgeolli, but not p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최근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소비자들은 안전하고 품질이 우수한 농산물을 선호하고 있으며, 특히 국내산 농산물이 수입산에 비해 상대적으로 안전하다고 인식하고 있어 소비가 증가하고 있다. 우리나라 전통주인 막걸리 또한 현재 시중에서 유통되는 대부분의 보리막걸리가 수입밀을 혼합하여 제조 및 판매되고 있어, 본 연구에서는 수입밀을 국산 밀로 대체한 막걸리의 품질 평가를 통해 국산밀 소비증대 방안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막걸리의 다른 이름은 무엇인가? 막걸리(Makgeolli, Korean rice wine)는 전분질 원료와 국을 주원료로 하여 발효시킨 술덧을 혼탁하게 제성한 것으로, 우리나라 고유의 전통주이며, 탁주 또는 농주라고도 한다(KFDA 2015). 국세청 통계자료에 의하면 막걸리의 생산량은 2010년 한류에 따른 막걸리 열풍으로 2009년 대비 47.
탁주는 일반 주류와 달리 어떤 성분을 많이 함유하는가? 막걸리는 일반 주류와 달리 생체 내 신진대사에 관여하는 비타민 B군과 10여종의 필수아미노산, 유기산 및 간 기능을 도와주는 acetylcholine 등이 함유되어 있으며(Woo 등 2010; Kim 등 2011), 이외에도 유산균 및 효모에 의한 정장작용과 미량 생리활성물질이 함유되어 있어, 약주와 과실주보다도 영양적으로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Lee & Han 2001; Kwak 등 2014). 막걸리의 주 원료는 쌀과 밀이지만 수수(Woo 등 2010a), 조(Woo 등 2010b), 팥(Chen 등 2013), 현미(Lee 등 2014), 보리(Park 등 2015) 등의 다양한 잡곡류을 이용한 연구와 고구마(Cheon 등 2013), 베리류(Jeon & Lee 2011; Lee 등 2013; Lee 등 2014) 등 부재료를 이용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졌고, 최근에는 막걸리의 항암성에 대한 연구(Shin 등 2015)가 보고됨에 따라 침체된 막걸리 시장의 소비활성화를 기대하고 있다.
보리는 쌀, 밀, 귀리 등 다른 곡류보다 어떤 영양소를 더 많이 함유하는가? 한편, 보리(Hordeum vulgare L.)는 4대 주요 곡물 중 하나로 쌀, 밀, 귀리 등 다른 곡류보다 많은 식이섬유 및 β-glucan을 함유하고 있어 기능성 식품소재로 관심이 증가되고 있는 식량자원이다(Seo & Park 2014). 또한, 보리의 가공학적 특성은 다른 곡류보다 발효가 잘 되며, 찰보리와 메보리는 전분의 특성이 달라 가공방법에 따라 다른 특성을 나타내기도 한다(Choe & Youn 200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ACC International (AACCI). 2010. Approved Methods of Analysis, 11th Ed. Methods 26-31.01. 44-15.02, 46-30.14, 08-0.4.01, 56-70.01, 56-0.01, 38-12.02 

  2. Baek CH, Choi JH, Choi HS, Jeong ST, Kim JH, Jeong YJ, Yeo SH. 2013.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own rice Makgeolli produced under differing conditions. Korean J Microbiol Biotechno 41:168-175 

  3. Chen Y, Hwang JA, Chang YH. 2013. Quality characteristics of Makgeolli added with red bean. Korean J Food Cookery Sci 29:777-784 

  4. Cheon JE, Baik MY, Choi SW, Kim CN, Kim BY. 2013. Optimization of Makgeolli manufacture using several sweet potatoes. Korean J Food Nutr 26:29-34 

  5. Choe JS, Youn JY. 2005. The chemical composition of barley and wheat varieti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223-229 

  6. Choi JH, Jeon JA, Jung ST, Park JH, Park SY, Lee CH, Kim TJ, Choi HS, Yeo SH. 2011. Quality characteristics of Seoktanju fermented by using different Nuruks. Korean J Microbiol Biotechno 39:56-62 

  7. Jeon MH, Lee WJ. 2011. Characteristics of blueberry added Makgeolli.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444-449 

  8. Kim GM, Jung WJ, Shin JH, Kang MJ, Sung NJ. 2011. Preparation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Makgeolli made with black garlic extract and Sulgidduk.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759-766 

  9. Kim JY, Yi YH 2010. pH, acidity, color, amino acids, reducing sugars, total sugars, and alcohol in puffed millet powder containing millet Takju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42:727-732 

  10. Kim SM, Han AR. 2012. Storage properties and biogenic amines production of Makgeolli brewed with different proportions of rice and wheat flour. Korean J Food Sci Technol 44: 583-591 

  11. Kim YJ, Ju JC, Kim RY, Kim WT, Park JH, Chun SS. 2011. Cooking properties of fresh pasta using Korean Wheat and Durum Rimachinata.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1474-1481 

  12.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KFDA). 2015. Handbook on the food code. http://fse.foodnara.go.kr/residue/RS/jsp/menu_02_01_03.jsp?idx69(accessed Sep 2015) 

  13. Kwak HJ, Kim JY, Lee HS, Kim SM. 2014. Formation of biogenic amines by Lactobacillus plantarum isolated from Makgeolli. Korean J Food Sci Technol 46:438-445 

  14. Lee HN, Lee JM, Chang YH. 2013. Quality characteristics of Makgeolli supplemented with cranberries.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3:85-91 

  15. Lee HS, Park YS, Bai DH. 2014. Quality characteristics of Makgeolli (rice wine) fermented with Koji by starch types. Food Eng Prog 18:215-221 

  16. Lee KH, Choi HS, Choi YH, Park SY, Song J. 2014 Changes in isoflavone content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Cheonggukjang prepared with Bacillus subtilis HJ18-3 and KACC 15935. Korean J Food Preserv 21:121-128 

  17. Lee SA, Kim GW, Hwang ES, Shim JY. 2014. Stability of anthocyanin pigment in aronia makgeolli. Food Eng Prog 18:374-381 

  18. Lee TS, Han EH. 2001. Volatile flavor components in mash of Takju prepared by using Aspergillus oryzae nuruks. Korean J Food Sci Technol 33:366-372 

  19. National Tax Statistics (NTS). 2015. http://stats.nts.go.kr/national/major_detail.asp?year2015&catecodeA10004# 

  20. NTS Liquors Licence Aid Center. 2010. Coursebook on the preparation of Takju and Yakju. NTS Liquors Licence Aid Center, Seoul, Korea. pp. 20-39 

  21. Park CW, Jang SY, Park EJ, Yeo SH, Kim OM, Jeong YJ. 2011. Comparison of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mmercial Makgeolli type in south Korea. Korean J Food Preserv 18: 884-890 

  22. Park HY, Choi ID, Oh SK, Woo KS, Yoon SD, Kim HJ, Sim EY, Jeong ST. 2015. Effects of different cultivars and milling degrees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barley Makgeolli. J Korean Soc Food Sci Nutr 44:1839-1846 

  23. Park KT, Kim MY, Chun SS. 2009. Quality characteristics of Korean wheat wet noodles with pomegranate cortex powder. Korean J Cul Res 15:128-136 

  24. Ryu IS. 2014. Textbook of Korea traditional alcoholic drink. 1st ed. Gyomunsa, Paju, Korea. pp. 140-153 

  25. Seo JS, Park ID. 2014. Quality properties of barley Kochujang added with germinated barley powder. Korean Soc Food Culture 29:187-194 

  26. Shin EJ, Kim SH, Kim JH, Ha JH, Hwang JT. 2015. Dealcoholized Korean rice wine (Makgeolli) exerts potent antitumor effect in AGS human gastric adenocarcinoma cells and tumor xenograft mice. J Microbiol Biotechnol 25:1485-1492 

  27. Song JC, Park HJ, Shin WC. 1997. Change of Takju qualities by addition of cyclodextrin during the brewing and aging. Korean J Food Sci Technol 29:895-900 

  28. Woo KS, Ko JY, Song SB, Lee JS, Oh BG, Kang JR, Nam MH, Ryu IS, Jeong HS, Seo MC. 2010a.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 wine prepared by addition of sorghum (Sorghum bicolor L. Moench) using different Nuruk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548-553 

  29. Woo KS, Lee JS, Ko JY, Song SB, Oh BG, Kang JR, Nam MH, Ryu IS, Seo MC. 2010b.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 wine fermented from foxtail millet (Setaria italica Beauvios) and Nuruk at different addition rates. Korean J Food Sci Technol 42:298-303 

  30. Woo SM, Shin JS, Seong JH, Yeo SH, Choi JH, Kim TY, Jeong YJ.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own rice Takju by different Nuruk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301-30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